철가방을 든 독갭이 안미란 지음 / 전필식 그림 채우리 어느 날이었습니다. 양섭이는 '장독갭'이라는 독갭이, 그러니까 도깨비를 만났습니다! 독갭이는 마법 황금 철가방을 든 녹색머리에, 좀 냄새가 나는 형이였습니다. 양섭이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왕진창 중화요리'의 배달원은 독갭이인데 사람들은 '와장창 중화요리'라고 부릅니다. 근데 양섭이는 독갭이의 철가방 덕분에 좋았는데 철가방이 고장났지 뭐예요?! 그리고 반장 엄마가 되보고 싶다던 양섭이의 엄마는 소원 성취했답니다. 너무 욕심을 헛되이 부리지 마세요!
엘리자베스 1세 - 가슴 속 가득 영국을 품다 유수미 글 / 이인종 그림 북스 아인의 12번째 생일 날, 영국에 있는 삼촌에게 특별한 선물을 받게 된 아인. 그리고 아인은 400년도 훨씬 넘은 영국에 와있었다. 그것도 베스의 침실에. 아인은 아버지 헨리8세에게 버림받은 공주 베스의 친구가 되어 주었고, 베스의 친구 다니엘(데니)와 로빈과도 알게 되었다. 베스는 메리공주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헨리8세는 언제나 메리공주나 에드워드를 아꼈다. 헨리8세가 죽은 후 에드워드는 국왕이 되었지만, 몸이 약한 에디는 일찍 죽고, 결국 메리공주가 여왕이 되고 말았다. 메리여왕은 구교도였으므로, 신교도는 모두 죽이고, 구교도의 나라인 스페인의 왕과 결혼해 국민의 신망과 민심을 잃었다. 그리고 열병을 앓은 메리여왕은 세상을 떠나고 엘리자베스가 여왕이 되었다. 어느덧 아인이 떠나온 지 15년 되는 날, 베스는 아인을 보내주었다. 그리고 언제 다시 찾아 왔고... 데니는 아인을 찾으러 인도에서 가고 있었다. 그림이 예쁘고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이렇게 만화책 같은 책은 이야기가 더 재미있는 것 같다.
사라진 책들의 천국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켈리 트럼블 글 / 로비나 매킨타니어 마셜 그림 비룡소 1. 알렉산드리아란? -기원전 331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대왕이 라코티스에 세운 도시. 알렉산드로스대왕이 죽은 후엔 프톨레마이오스 장군이 차지해 문화의 도시로 만들어 그 곳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세운다. 2. 알렉사드리아 도서관 무사(그리스신화에서 아폴론의 시중을 드는 학문과 예술의 신) 데메트리우스의 도움으로 엄청난 규모의 도서관을 세웠다. 이 도서관은 왕의 소유였지만, 오직 우세이온(무사의 궁전)의 학자와 왕만 들어갈 수 있었다. -책을 모으는 방법 1. 사들인다. 2. 부도덕한 방법 (1) 알렉산드리아에서 짐을 내리는 배들은 모두 뒤져 책을 찾아 복사본을 만든 후 원본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으로 보내고 복사본은 책 주인에게 주었다. (2) 의귀한 책들은 아테네 정부에게, 어마어마한 돈인 15달란트를 내고 원고를 빌렸는데, 원본을 되돌려 주지 않았다. (나의 생각)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실제로 있다면 꼭 가서 그 수많은 책들을 보고 싶다.
베컴머리 힙합 선생님 오혜영 글 / 신민재 그림 교학사 우별이는 조기 유학을 포기한 아이이고, 또비는 다문화 가정에서 생활하는 아이다. 그리고 둘은 맞춤법이나 우리말 때문에 꾸지람을 듣거나, 따돌림을 당한다. 우별이는 담임 이명숙선생님을 골룸이라고 속으로 놀린다. 담임 선생님은 우별이에게 혼을 많이 내기 때문이다. 이명숙선생님 대신에 마진구선생님이 기간제 선생님으로 왔을 때 기뻐서 "야호!" 소리 칠 정도로 우별이는 이명숙선생님을 싫어한다. 또비는 얌전한 아이이다. 베컴머리에, 힙합 스타일의 옷과 뛰어난 랩 실력을 가진 기간제 마진구선생님은 아이들의 눈길을 끌며, 재미있는 공부를 시작한다. 교장 선생님은 마진구선생님을 맘에 들어하지 않지만 마진구선생님은 다문화 도서관에 우별이와 또비를 데려가서 돌보게 하거나, 아이들에게 (차별하지 말라면서 ) 차별이 무었인지를 느끼게 하고 랩과 브레이크 댄스(힙합도)를 가르치는 선생님이다. 이 책을 읽고 차별은 안 좋다는 (당연한) 생각을 하면 좋겠다.
청소년을 위한 케임브리지 과학사 3 아서 셧클리프외 지음 서해문집 # 화약 거짓 : 이 모든 것이 거짓이다. -> 이유 : 화약은 중국에서 만들었는데 이 책에서는 독일에서 만들었다고 써 있었기 때문에. 사실 : 베르톨트의 생애 *화약이 미친 영향 1) 화약과 총포는 값이 매우 비싸 영주의 시설 군대 X -> 국왕의 군대 지배 -> 의회군대 지배 2) 문명국이 토착민들을 상대로 싸울 때 화약 사용. 3) 화약에 대한 비난 (초기) 나의 생각 : 화약은 중국에서 만들었는데 독일에서 만들었다고 하니까 어-이-없-다.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