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엘렌느 모렐 그림, 유하경 옮김 / 사계절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 엘렌느 모렐 그림
사계절 

파스타~

1)쌀과 멸치, 우유를 찧고 섞어주세요.  소금과 허브가루, 계란(-껍질)과 쌀을 넣고 잘 저어주세요~


2) 이 반죽을 길게 뽑아서 선을 만들고, 말린 후 자루고 묶어주면 완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엘렌느 모렐 그림, 유하경 옮김 / 사계절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 엘렌느 모렐 그림
사계절


1) 빵을 반죽하는 기계에 밀가루와 꿀을 넣어요.  이때, 밀가루는 많이 넣고 꿀을 적당히 넣으세요.
2) 반죽이 다 되면 이스트를 넣고 발효를 하세요.

3) 발효가 다 되면 모양을 만드세요.
4) 너무 뜨거우면 먹다가 데일 수 있어요.  깨끗히 가열해서 부풀려 주세요.


5) 이제 말랑말랑하게 찧고 모양을 만들어 주세요.
6) 타원 모양의 빵이 완성되면 이제 뜨겁게 구워야겠죠? 


7) 와! 맛있겠다! 그런데 이 맛있는 빵을 혼자 먹나요? 너무 크니까 잘라주면 완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엘렌느 모렐 그림, 유하경 옮김 / 사계절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알랭 쉴 지음 / 엘렌느 모렐 그림
사계절

포테이토 칩
1) 먼저 감자를 물에 담그고 깨끗히 씻습니다.
2) 그 다음은 감자를 기계에 넣으면 감자의 껍질을 까고 양동이에 넣습니다.
3) 감자의 껍질이 온전히 벗겨 지면 먹기 좋게 감자를 썰어요.
4) 먹기 좋게 썰어진 감자를 또 한 번 씻습니다.
5) 깨끗히 씻겨진 감자를 이번에는 말려요.
6) 그 다음에는 기름과 소금을 넣고 섞어요.

7) 맛있는 포테이토칩을 봉지에 넣고 헬륨을 넣으면 맛있는 포테이토 칩 완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케임브리지 과학사 1 - 생물,의학 이야기
아서 셧클리프 지음, 조경철 옮김 / 서해문집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을 위한 케임브리지 과학사 1-생물/의학 이야기

아서 셧클리프외 지음
서해문집

* 페니실린
Q1 : 페니실린이란?
A1 : 푸른 곰팡이인데 세균을 죽인다. ( 성장저지 )
Q2 : 발견한 사람, 년도는?
A2 : 1928년에 알렉산더 플레밍 (1881~1955)
(행운을 낳은 세가지 요소)
1) 페니실륨이라는 곰팡이엔 수백가지가 있는데 그 중 플레밍이 사용하던 배양기엔 페니실린을 생성하는 페니실륨 노다툼이 있었다. (!!!)
2) 페니실린이 모든 종류의 세균에 두루 작용하는 건 아닌데 배양기에 있던 세균이 페니실린의 작용을 받는 종류였다. (!!!)
3) 그것을 발견한 사람이 이상한 것을 빈틈없이 찾아내는 의학적 박물학자의 안목을 가진 플레밍 교수에서. (!!!)

나의 생각 : 이렇게 세가지 우연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구한 페니실린이 탄생하였으니 정말 신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엉뚱한 생각속에 과학이 쏙쏙!!
손영운 지음 / 이치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엉뚱한 생각 속에 과학이 쏙쏙!!

손영운 지음
이치

*Best 엉뚱한 생각
-> 우승자 : 1. 녹색인간의 탄생-> 사람이 광합성을 하면 어떻게 될까?

Q1 : 신인류 녹색인간이란?
A1 : 광합성이 가능한 인류.

Q2 : 신인류 녹색인간이 탄생하면 무엇이 달라지나?
A2 : 슈렉처럼 덩치가 커지고, 패션이 좀더 노출이 심해지고, 주거문화가 달라집니다.  또, 음식이 달라지지요.  인류의 문화 역시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대기의 구성도 달라지지요. 
* 나의 생각 - 심사위원편 : 녹색 인간이라는 신선한 발상이 인상 깊었고 조금더 현실과 가까웠고, 좀더 흥미로운 주제여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