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을 쏘아 버린 대별왕 김원석 선생님의 다시 쓰는 우리 신화 1
김원석 엮음, 김정 그림 / 대교출판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태양을 쏘아 버린 대별왕

김원석 엮음 / 김정 그림
대교출판

   이 책에는 우리 나라가 만들어진 신화 이야기이다.  '대별왕', '소별왕', '해님과 달님', '처음 사람', '칠성님과 일곱 쌍둥이', '나무 도령'과 '선문대 할망'이 있다.  '대별왕과 소별왕'만 줄거리를 쓰겠다.  총맹 아가씨와 천지왕이 결혼해 낳은 대별이와 소별이는, 내기를 해서 소별왕이 거짓으로 이겨 이승을, 대별왕은 저승을 다스리게 된다.  하지만 소별왕은 너무 힘들어 대별왕의 도움을 받고서야 제대로 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 하늘을 연 영웅들 - 이 세상 첫 이야기 3
정하섭 지음, 이억배 그림 / 창비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 하늘을 연 영웅들

정하섭 글 / 이억배 그림
창비

   우리 세상을 맨 처음 만든 분은 환웅할아버지야.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만 동굴에서 백 일 동안 먹으면 사람이 되게 해 주었지만 호랑이는 뛰쳐나가고 곰만 사람이 됬어.  곰의 사람 이름은 '웅녀'야.  환웅은 웅녀와 결혼해 단군을 낳았지.  단군 할아버지는 환웅이 올 때 가져온 전부인 세계로 나라를 다스리고 조선을 만들었어.  천왕랑 해모수는 바다의 신 하백의 딸인 유화에게 반해 유화를 멋진 집으로 이끌어 잡아.  하지만 하백은 화를 내고, 하백은 용서를 하고, 시험을 하지.  하지만 유화는 참지 못해 그만 해모수 혼자만 하늘로 가고, 유화는 부리입이 생겨.  부리입의 유화를 본 금와왕은 입술을 자르고 처지를 들어.  유화는 알을 낳고 주몽이 태어나.  주몽은 다른 땅에서 아들인 유리를 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짓기 전통 과학 시리즈 3
강영환 글, 홍성찬 그림 / 보림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짓기 

글 강영환 / 그림 홍성찬
보림

  옛날엔, 아주 옛날엔 집을 동굴로 삼았다.  그리고, 움집으로 발전해 나갔다.  그런데, 움집은 습기때문에 불편했다.  그래서 초가집과 (더 발전하자) 기와집도 만들었다.  그러다가 생활 공간도 나뉘고, 큰 집과 아름다운 집도 만들었다.  그리고 집 짓기, 집터 놓기도 했다.  더욱 발전을 해 아파트, 시골집이나 주택으로 바뀌었지만, 우린 아직 옛날 집을 생각한다.  
은우가 그려 본 움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모 짝 되기
이향안 지음, 오은선 그림 / 현암사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광모 짝 되기

이향안 글 / 오은선 그림
현암사

   이슬이는 광모는 살아 있는데, 남들은 왜 죽었다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슬이는 광모가 보이는 능력이 있는 걸까요?  아니면 광모가 살아 있는 걸까요?  아마도 이슬이는 광모가 너무 좋아서 죽어도 보였나봐요.  마침내 이슬이의 광모도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마침내 광모가 사라지자, 광모 대신 원우가 짝이 되었습니다.  친구 한명이 사라지거나 잃게 되면 (죽게 되면 ), 큰 상처가 남을 것입니다.  이 책은 슬프면서도 흥미가 도는, 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딩동댕동 소리 실험실 - 소리와 진동의 원리를 저절로 알게 돼요 비룡소 홈사이언스 4
울리케 베르거 글, 데트레프 커스텐 그림, 김영진 옮김 / 비룡소 / 2005년 7월
절판


1. 눈으로 보는 진동

긴 자는 천천히 진동하고, 소리가 낮아요.
짧은 자는 빠르게 진동하고, 소리도 높죠.

2. 노래 부르는 호스

호스를 빨리 돌리면 돌릴수록, 점점 더 높은 소리가 나요.

3. 물 오르간

유리잔을 두드리면 잔이 진동해요. 하지만 잔 속에 든 물은 잔의 진동을 느리게 만들죠. 따라서 물이 많이 든 잔일수록 울리는 소리가 더 낮아요!

4. 어느 쪽에서 난 소리일까?

숟가락으로 두드리는 소리는 호스를 통해 귀로 전달돼요. 이때 소리가 전달되는 한 쪽 경로가 다른 쪽 경로보다 길지요. 따라서 어느 쪽에서 호스를 두드리는지 쉽게 알아챌 수 있지요!

5. 컵으로 만든 전화

말한 소리가 컵 밑바닥을 진동시켜요. 이 진동은 끈을 따라 다른 쪽 컵으로 이동하죠!

6. 음악 연주에 사용되는 빨대

뾰족한 빨대 끝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빨대가 진동해요.

7. 부릉거리는 피리

공기가 빨려 올라가면서 삼각형 모양의 종이도 원통 쪽으로 빨려 들어요. 하지만 삼각형 모양의 종이는 이내 파르르 떨면서 진동하기 시작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