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12 - P69

Are you gonna run some errands? - P69

볼일 보러 나갈 거야? - P69

Hey, aren‘t yougoing out for a jog?
I thought you said you would go jogging early this morning. - P69

조깅하러 안 가? 오늘 아침일찍 조깅하겠다며. - P69

I did? Another me must have said nonsense... I‘m good in bed today. - P69

내가 그랬어? 내가 가끔 그런 쓸데없는 말을 해.
오늘은 침대에 있는 게 딱 좋다. - P69

Are you going to...? - P69

MONDAY 14 - P75

I went to a water park with my kids. - P75

난 애들 데리고 워터파크 다녀왔어. - P75

There‘s only one message you should read when spending time at the pool with your kids. - P75

아이들과 수영장에서 시간을 보낼 때 당신이 읽어야 할 메시지는 단 하나뿐입니다. - P75

Watch me, not your phone. - P75

휴대폰 말고 저를 봐 주세요. - P75

오늘 하루 너무 힘들었어.
It was a long day. - P80

TUESDAY 15 - P81

Most days, I get home at 8-ish. - P81

보통은 8시 정도에 집에 도착해요. - P81

UNWIND O‘CLOCK - P81

긴장을 푸는 시간 - P81

Spending an hour out of 24 hours a day to re-energize yourself won‘tbring the world to an end. - P81

하루 24시간 중 1시간을 자신을 돌보는 데 쓴다고 세상이 무너지지 않잖아. - P81

대부분의 경우 - P81

정신 좀 차려. - P86

WEDNESDAY 16 - P87

I sit at my computer and work in the afternoon. - P87

오후에는 컴퓨터로 작업해. - P87

How to treat insomnia without medication - P87

약 없이 불면증 치료하는 방법 - P87

Insomnia goes away when I sit at my desk. - P87

책상에만 앉으면 불면증이 사라져요. - P87

프리랜서 - P87

본업 day job - P92

부업 a side gig - P92

THURSDAY 17 - P93

I have an office job. - P93

전 사무직이에요. - P93

Am I the only one who believes that a place called a company is full of mysterious energy? - P93

회사란 곳은 참 신비한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고 믿는 건 저뿐인가요? - P93

The desk phone starts ringing and I‘m already tired before answering the phone. - P93

전화가 울리는데 받기도 전에 피곤해지는 걸요. - P93

I‘m looking for work. - P98

FRIDAY 18 - P99

Are you good at public speaking? - P99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거 잘해? - P99

The conflict between my brain and heart asthe presentation day approaches... - P99

발표하는 날이 다가올 때 뇌와 심장의 갈등 - P99

This way, Heart.
심장아, 이쪽이야. - P99

I can‘t hear you.
안들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NDAY 07 - P39

I drinkcoffeebefore I start my day? - P39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커피를 마셔요. - P39

How do you take your coffee? - P39

커피 어떻게 드세요? - P39

Very seriously. - P39

매우 진지하게요. - P39

~하기 전에. - P39

before - P39

I always drink enough water before I go out. - P39

전 나가기 전에 늘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요. - P39

TUESDAY 08 - P45

Just remember, safety first! - P45

기억하세요, 안전제일! - P45

Just in case you have forgotten, your kids don‘t float. - P45

Give them something that does float. - P45

혹시 잊고 계실까 봐 말씀 드리는데요, 여러분의 자녀들은 물에 뜨지 못합니다. - P45

그러니 뜰 수 있게 하는 무언가를 입혀 주세요. - P45

Wear it! - P45

입으세요! - P45

시작해 볼까요? - P45

WEDNESDAY 09 - P51

I‘m digging some clams and sea snails. - P51

조개랑 골뱅이 좀 잡으려고. - P51

They don‘t seem to knowthat salting mud flats can harm our neighborsliving here. - P51

저 사람들은 갯벌에 소금 뿌리는 게 여기 사는 우리 이웃들한테 안 좋은 거 모르나 봐. - P51

Hey, it‘s salty! - P51

아, 짜다고! - P51

Stop salting us! - P51

소금 좀 그만 뿌려! - P51

Let‘s goclam digging together! - P51

조개잡기를 함께 떠나 볼까요? - P51

THURSDAY 10 - P57

You must check the tide schedule. - P57

너 물때 꼭 확인해야 해. - P57

They‘re here to mess with us again. - P57

쟤네 우리랑 한바탕하려고 또 왔어. - P57

Now that you‘re here, let me give you some advice. - P57

이왕 이렇게 왔으니까 조언 좀 해주지. - P57

You must follow thelocal clamming rules. - P57

And leave beforethe tide rises.
Do you understand? - P57

여기만의 조개 캐기 규칙을 따라야 해. - P57

그리고 물 들어오기 전에 나가. 알아들었어? - P57

FRIDAY 11 - P63

You must soak the clams in brine. - P63

조개는 소금물에 꼭 담가야 해. - P63

Support Group for Ruined Clam Pancakes. - P63

망가진 조개전 그룹 테라피. - P63

What the heck did we do wrong? - P63

아니, 우리가 잘못한 게 뭐야!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재연ㆍ알렉스 시그리스트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동아출판

머리말 - P3

Intro - P3

Contents - P4

차례 - P4

구성 및 학습 Tips! - P6

Here we go! - P6

Open up! - P6

Out loud! - P6

I have a question! - P6

Hear and say! - P7

Focus! - P7

Jay‘s English Adventure - P7

Now, You Can Speak! - P7

이건 영어로 어떻게 말해요! - P7

TUESDAY 01 - P9

I‘m afraid of cockroaches. - P9

난 바퀴벌레는 질색이야. - P9

WEDNESDAY 02 - P15

We have to installwindow screens. - P15

우리 창문에 방충망 설치해야 돼. - P15

THURSDAY 03 - P21

On Tuesdays, I have to separate the recycling? - P21

화요일에는 재활용을 분리배출해야 돼. - P21

FRIDAY 04 - P27

I just saw a house centipede. - P27

나 방금 돈벌레 봤어. - P27

SATURDAY 05 - P33

This weekend, I don‘t have to do anything? - P33

이번 주말에는 꼼짝도 안 해도 돼. - P33

MONDAY 07 - P39

I drink coffee before I start my day? - P39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커피를 마셔요. - P39

영어회화 레벨 ①

EBS FM

for your dream

Speak Today, Start English!

나 방금 닭살 돋았어. - P14

I just gotgoosebumps. - P14

귀찮게 굴지 좀 마! - P20

"Stop bugging me!" - P20

너무 더러워! - P26

It looks so sloppy! - P26

나 모기 물렸어. - P32

"I got a mosquito bite." - P32

조만간 한 번 보자. - P38

"Let‘s meet up sometime soon." - P38

Augu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의 언어인가 쳔재들의 놀이인가 - P259

( 수학 ) - P259

수학의 아름다움 - P261

갈릴레이부터 뉴턴을 거쳐 아인슈타인까지 과학의 역사에 뚜렷한 발자국을 남긴 물리학자는 대부분 수학에 능통했다. - P261

『어느 수학자의 변명』 - P262

무명의 인도 청년 라마누잔Srinivasa Ramanujan(1887~1920) - P263

진정한 수학 - P264

초급 기하학 - P265

에라토스테네스 - P266

간단한 산술 - P267

유클리드와 데카르트 René Descartes(1596~1650)의 원에 대한 정의 - P267

진정한 수학자 - P268

수학적 진리의 불멸성 - P269

정의定義(definition)와 공리公理(axiom) - P270

천재들의 지적 유희 - P27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P272

『세상의 모든 수학』 - P272

『유클리드의 창: 기하학 이야기』 - P272

‘두 직선을 가로지르는 선분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있는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으면 두 직선은 결국 그쪽에서 만난다.‘ - P273

유클리드기하학 - P274

힐베르트David Hilbert(1862~1943)가 대표 인물 - P275

괴델Kurt Gödel(1906~1978) - P276

불완전성 정리 - P277

수학적 직관 - P278

수학은 수학자들이 창조한 추상의 세계다. - P278

난 부럽지가 않아 - P279

수학 역사의 최고 천재로 널리 인하는 가우스Carl Gauss(1777~1855) - P279

수학적 직관과 사유능력 - P280

괴팅겐대학교 - P281

오일러 Leonhard Euler(1707~1783) - P282

미분기하학의 대가 리만 Bernhard Riemann(1826∼1866) - P282

집합론 창시자 칸토어 GeorgCantor(1845~1918) - P282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P283

피타고라스 정리 (x+y=z)를 알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도 이해할 수 있다. - P284

수학자들의 재능 - P286

수학을 모르면 우주의 철학을 알 수 없다고 - P287

수학을 잘하면 좋겠다는 소망이 있었고, 지금도 있다는 것을! - P288

후기
바보를 겨우 면한 자의 무모한 도전 - P289

스토리텔링 패턴 - P290

과학자는 읽지 않기 바란다. - P291

운명적 문과 - P292

인문학 잡담 - P293

『거꾸로 읽는 세계사』

『나의 한국현대사1959-2020』

『역사의 역사』

『국가란 무엇인가』

『노무현 김정일의 246분』

『후불제 민주주의』

『대한민국 개조론』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 아래 영원한 것은 없다 - P233

양자역학, 불교, 유물변증법 - P234

어떤 이들은 불교철학이 양자역학과 통한다고 한다. - P235

논리적ㆍ역사적 연관성 - P236

4대 복음서 - P237

수소 원자 - P239

지구는 태양에서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 - P240

원자는 왜 안정되어 있을까? - P240

핵력과 전자기력 - P241

원자 핵의 베타 붕괴 - P241

공상적 사회주의 - P242

거만한 바보 - P243

유물변증법 - P243

인문학은 우리 자신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산물 - P244

엔트로피 묵시록 - P245

철학자 러셀Bertrand Russell(1872~1970) - P245

에너지 보존 법칙 - P246

무질서도 - P246

엔트로피의 개념 - P247

확률 - P248

도시의 질서 - P249

『원더플 사이언스』 - P250

‘세상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 일이 있다‘ - P250

 ‘거부할 수없는 것은 순순히 받아들이라‘ - P250

열역학 법칙 - P251

레오나르도 다빈치 - P251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이론 - P252

『코스모스』 - P253

아웃소싱 - P253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도플러 ChristianDoppler(1803~1853) - P254

미국 캘리포니아 윌슨 마운틴 천문대 연구원 휴메이슨 Milton Humason(1891~1972)과 허블 Edwin Hubble(1889~1953) - P254

첫째는 ‘빅칠 ‘Big Chill (열죽음) - P255

둘째는 ‘빅 크런치 ‘Big Crunch (대함몰) - P255

셋째는 우주가 대폭발과 대함몰을 반복하는 ‘빅 바운스‘ Big Bounce - P256

엔트로피 법칙은 우주의 묵시록이다. - P256

쓸데없는 생각 - P257

그대라는 존재는 우주가 만든 기적입니다

경제학

『청춘의 독서』

『어떻게 살 것인가』

『나의 한국현대사』

『역사의 역사』

『거꾸로 읽는 세계사』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유럽 도시 기행』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양자역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김성구 지음, 불광출판사, 2018) - P235

서문
과학 공부의 즐거움

⑥ 우주의 언어인가 천재들의 놀이인가

( 수학 ) - P259

후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