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주제 ㅡ잘 보고갑니다.^^
다른 글들은 읽었는데 이글은 안보여서 꼭꼭 숨어있나 했는데..찾아서 다행입니다.
이 글을 보기 전에 저는 로쟈님의 글을 신문였나 ㅡ기고문 였는지 ㅡ이미 보았습니다 .
어느 정도는 수긍을 , 어느 면에서는 반발을 했었습니다. 서평은 누구나 할수있다 ㅡ로
시작하면서 말미엔 그러나 , 전문 서평가들에게 맡겨짐이 옳다는 취지의 글로 읽혔습니다.
그러니까 앞으로 전문 서평꾼을 길러야 한다 ㅡ그런 얘기인거죠. 전문 서평이 어디에 쓰일까요?
짧게 압축하여 책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글 ㅡ이 어디에 들어갈까요?
그러면서 다른 분 ㅡ예를 들어 ㅡ북스피어의 마포 김사장 님 ㅡ역시 이 부분에 동의한다 ㅡ면서 ㅡ
책시장이 넓은 아마존과 타 매체의 영역들을 거론했고 말이죠 ㅡ이른바 ㅡ띠지나 그런 걸 보면 흔히
보게 되는 타임지, 보스턴글로브, 인디펜던트,등등
서평은 그럼 짧고 간결하고 전달력 좋은 300자 이내의 글들여야 한다는 얘기가 되는데
지금 여러분이 놓고 계신 주제는 이런 몇 자평 ㅡ은 생각 외로 하고 계실거라고 ..봅니다.
전문 서평꾼은 ㅡ한마디로 이름 좀 있고 글을 압축력있게 잘 전달하는 독약가 ㅡ여야 한다는 말 입니다.
약도 되고 독도 될 글을 가감없이 쓸 ㅡ (그는 돈을 받고 쓰니..결코 그 해당책에 독을 풀 수는 없겠지만 )하여
여기서 논의하는 분들은 자발적 책을 읽고 쓰는 분들은 모두 독후감이든 리뷰든 이름 붙이는 건 자유 ㅡ
그 글로 돈을 받는 다면 (1회성 상금이 아닌 )그 분은 상황이 다를 것이고, 아마도 다른 차원에 계시지 않을까요?
저는 짧은 글로 책을 평하는 걸 나쁘게 보지 않아서 그것은 또 좋은데 ..
여기에선 긴 글이 아니면 그리 인정을 안하죠.
오히려 별점이나 그런 면도 짧은 글에서 더 맵게 주어지는 편인데..
알라딘이나 북플의 이벤트에 맞물려 하는 댓글이벤트는 솔직히 나쁘게 쓰면 안될테니 사탕을 물고 써야하고요.
결론은 여러분 논쟁과 상관없이 ㅡ저들이 말하는 서평은 매우 짧는 글을 말한다는 것 .
왜? 보통 책의 홍보로 할애되는 지면이란 그리 많지 않고 ㅡ전문적일수록 지루하게 여겨 대충 보기 때문에...
간결할 필요가 있다는 말입니다 ㅡ당장 ㅡ알라딘 서재의 MD 추천(책) 의 내용을 보시죠.
절대 주구장창 길지 않습니다.
육하원칙 넣어 개인의 생활과 버무려 ㅡ그건 정말 ㅡ여기 ㅡ우리들끼리 ㅡ
알라딘 인지 누굴 위한 건진 몰라도 완전 서비스차원 인거죠..
그리고 ㅡcyrus님이 궁금해하시는 이달의 당선작 ㅡ은 알라딘에서 소위 독후감이랄만한
일정 범위의 수준을 고루 담은 잘 쓴 글을 선정하는 것 ㅡ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누가 선정하는지는 저도 모르고...^^ 왜...주느냐..왜 뽑느냐..그건 알라딘 서재 달인을 뽑아
당근과 채찍을 주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ㅡ 자...이렇게 하면 뭔가 하는것 같으니 책 읽고
돌아서 다른 곳으로 가는 회원도 관리하고 뭔갈 하고 있다느누개인적 성취감 과 언젠간 뭐든
되겠지 하는 마음에 열심히 우유통에 빠져 치즈가 될때까지 허우적 거리다 ㅡ운이 좋아
응고가 좀 되면 살아남아 빛을 보는거고 ..그게 아니면 ..헛발질만 계속하다 꼬르륵 이란 거죠.
그러니..애초..독후냐 서평이냐 ㅡ따지지 말라고 할 자격이 제겐 없으니, 개인적 견해정도를
밝히자면 자기 스타일대로 가는 것 ㅡ하고자 하는바를 하라 !는게 ㅡ제 생각 입니다 ..
지극히 엉망진창인 썰을 풀어 실례가 많았습니다 ㅡ안떠들면 ㅡ여기선 간첩 ㅡ분위기인지라 ^^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