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발명 DAMI 이야기백과 15
DAMI 이야기백과 편찬위원회 엮음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었던 발명품들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물론 이 발명품은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사람들에게 불행을 가져다주는 악영항을 미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의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는 역시나 이러한 발명품들이 큰 역할을 해주지 않았을까? 

최초의 발명품, 아니 발견이자 인류의 가장 큰 발걸음은 바로 불이었다. 모든 동물들이 선천적으로 두려워하는 존재이며, 이 불이 한번 산천을 뒤덮으면 모두 한꺼번에 소멸되는것은 시간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도 불을 두려워했으리라. 그러나, 벼락을 맞거나 해서 발생한 불을 우연히 이용할 줄 알게 된 고대인들은, 이 불을 이용해 모닥불을 피우고, 맹수를 쫓고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에 발명된 것들은, 모두 수렵이나 채집을 위한 것들이었다. 당연히 기초적인 삶을 위해 의식주를 해결해야만 했는데, 이로 인해서 낚시바늘, 창, 도끼, 활 등이 개발되었다. 그 후에는 가축을 기르게 되어, 지금의 축산업의 기초가 되었다. 

바퀴는 현대 생활의 기본이 되는 발명품이다. 물체를 이동시킬 때 드는 힘을 최소화시켜주는 것이 바퀴로, 교통 수단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최초의 바퀴는 아마도 수레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그냥 질질 끌고 가는 것보다, 동그란 형태의 받침을 만들어 굴리면 더 잘 굴러간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했을지도 모른다. 

위대한 과학자 레오나르도의 작품, 중국의 4대 발명품, 인간이 개발한 새로운 종류의 물질 등 우리 주위에는 다양한 발명품들이 있다. 나는 발명품을, 삶이 더 편리해지도록 도와주는 물건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 가축이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발해낸 가시철망같은 것도 일종의 발명일 것이다. 더 많은 발명품들이 등장한다면, 아마도 우리 삶은 더 편리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Can Read English! Starter 2 (Paperback + CD 1장) I Can Read English! Starter 2
Andrea L. Mack 지음 / Happy House(해피하우스) / 2006년 10월
품절


처음 영어를 시작하는 유아, 어린이에게 안성 맞춤인 첫 교재 시리즈에요.

첫부분은 chant로 cd를 통해 재미있게 듣고 따라 읽을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어요. words경우는 그림과 함께 단어를 연상할 수 있어서 구성이 돋보이구요.

Let's speak 부분 경우는 실제로 단어를 넣어서 말해 보기를 함께 하면 재미있답니다.

다음장 Listening practice의 경우는 듣고 풀어보면 도움이 되는 부분입니다.

Reading practice 읽고 풀어보는 문제입니다. 아이의 실력에 따라 해석과 함께 해보아도 피드백하기에 좋은 부분이에요.

Dictation practice 한 과를 끝내면 뒷 부분에 이렇게 받아쓰기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더 마음에 드는 책입니다.

각 단원을 공부하면서 나왔던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란 주제어로 3학년인 아이와 함께 [내가 영어책 동화 작가]라는 독후 활동을 해 보았어요.
먼저 좋아하는 음식을 고르고, 해당하는 단어를 써보고서, 문장을 만들고 난 뒤 각 page에 쓰는 것으로요. 이제 조금씩 익히게 된 문법을 활용해 보면서 재미가 있다는 아이는 이런 활동으로 Writing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주제어는 각 단원 별로 공부할 수 있는, 쇼핑이나, 미용실가기 등 중에서 정한 뒤 이러한 활동을 함께 해 볼 수 있겠습니다.

[완성된 영어책 표지]

준비물로는 전단지와 각 종 스티커, 4절 종이, 색연필 등입니다.


책 속 내용입니다.

책과 함께 이런 활동을 함께 해 줄 때 아이는 영어를 더욱 친숙하고 재미있게 느끼는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몸의 비밀 DAMI 이야기백과 11
DAMI 이야기백과 편찬위원회 엮음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람의 신체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지구에는 약 70억명의 인구가 존재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완벽하게 똑같은 사람 두 명이 존재할 수 있을까? 정답은 '아니다'다. 사람은 DNA의 염기 서열에 따라서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 DNA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거의 무한에 가깝다. 무한에 비하면 70억은 아무것도 아닌데, 이중에서 DNA서열이 완벽하게 같은 사람이 탄생할 수는 없다. 결국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아기가 탄생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아기는 하나의 세포로부터 시작된다. 아버지의 정자와 어머니의 난자가 결합하여 수정란이란 하나의 세포가 되는 것이다. 이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세포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결국 이 세포들은 각 기관으로 분화되어 우리 몸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국제 도시로 가게 되면, 다양한 피부 색을 가진 사람들이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의 색깔은 왜 각기 다른 것일까? 그 이유는, 피부 멜라닌 색소의 양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멜라닌 색소는 그 양이 많을수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는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햇빛을 받아서 비타민 D를 합성하는 역할까지도 한다. 

우리 몸에 대한 이야기가 참으로 신비하다. 많은 의학자들이 인체의 신비에 대해 연구했으며, 이제는 DNA구조를 연구하는 게놈 프로젝트까지 진행중이다. 인간에 대하여 얼마나 더 알게 될지는 미지수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FG (Paperback) - 『내 친구 꼬마 거인』원서 Roald Dahl 대표작시리즈 3
로알드 달 지음, 퀸틴 블레이크 그림 / Puffin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FG란 단어를 보면서, 참으로 다양한 생각이 들었다. '어떤 글자의 약자일까?' 할아버지가 어린 소녀를 손에 들고 있는 그림을 보면서, G라는 글자는 아마 Giant 또는 Grandfather의 약자가 아닐까, 하고 내심 고민했다가 결국 책을 읽기로 했었다. 

우리는 거인에 대해 잘 인정하지 않는다. 걸리버 여행기를 읽으면서 거인국과 소인국을 여행하는 걸리버의 이야기를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읽었겠지만, 그러한 인간은 존재하지 않을것이라고 과학적으로 증명해버린 인간도 적지 않다. 이들은 과연 존재하지 않는가? 존재했을지라도 지금의 인간과는 사뭇 달랐을 것이며, 우리가 같은 크기의 인간들은 힘을 합해 이 거인들을 무찌르는 데 주력했을 것이다. 설사 이 거인들이 착하거나 악한 것에 구애받지 않고 말이다. 원주민들도 선의를 보이거나 적의를 보이든지 상관없이 피와 총칼로 답하는 것이 사람이다. 로알드 달은, 사람들로부터 숨어 지내는 한 친절한 거인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If I see the BFG, then I think I would tell the police or the lab that there is a giant. I don't sure that they will really exist, but maybe there can be someone living between the people quietly. I know that if people find the big people. The giants will be disappear when they found from people. This is the greed of people, and dictatorship of people. 

The Big Friendly Giant showed new world to the heroine, Sophie. She met another great giants, and made small advantures with the giant. The giant had to kidnap her bacause if she tell the truth of him, then he would be in danger. This was the story of another existence that we can remove. 

We should raise the mind to accept them. I sware that they will use them as their new experimentation material. If I find the new ones, I hope people would coexist with the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대표 창작동화 1 - 스캐폴딩 논술 교과서
계림닷컴 편집부 엮음 / 계림닷컴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한국 문학에서 빛난다는 것은 무엇일까? 솔직한 심정으로, 나는 한국 작가들의 글들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었다. 과거 그들의 수필이나 소설을 원문등을 통해서 읽으려 시도했지만,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쓰이고, 지금으로 따지면 구세대의 글일 수밖에 없으니 이들의 글이 어려워보이기만 했다. 그래서 내가 주로 접한 것은 세계 명작이었다. 분명히 이 명작들은 내게 큰 도움을 주었고, 어쩌면 예전의 나는 편협한 사대주의를 버리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아름다운 한국 작품들을 많이 접함으로써 그 생각이 많이 변화된 것 같다. 원래 문무에서 문을 상당히 중시했던 만큼, 멋진 글들이 속속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대표 창작동화는, 재미있고 순수한 이야기들이 많이 적혀있었다. 

새끼 여우의 술래잡기 이야기에서는, 과거 아이들이 얼마나 순수하고 재미있게 놀았는지를 알 수가 있었다. 보통 우리는 여우를 전설의 고향과 같이 무서운 귀신과 같은 존재로 연결시키려 한다. 왜 그런 이미지가 붙었는지는 잘 알수 없지만, 여우는 예나 지금이나 둔갑술로 유명하다. 새끼여우도 인간으로 둔갑하고, 숨바꼭질을 하며 노는 아이들과 함께 어울린다. 둔갑술을 할 줄 아는 새끼여우는 아이들이 찾으려 할 때마다 돌로 변신하고, 소리를 내어 자기 위치를 알린다. 그러다가 변신에 실패하여 아이들에게 들키자, 여우는 꽁지가 빠져라 도망가고, 아이들은 실컷 웃는다. 

이러한 순수한 아이들의 면도 있었지만, 고아원에서 엄마, 아빠를 만들어 달라는 아이의 이야기가 나를 슬프게 했다. 지금은 그렇지 않겠지만, 6.25 전쟁 직후는 고아원의 최대 난기라고 할 수 있겠다. 전쟁 통에 수많은 아이들이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통에, 지원도 들어오지 않는 고아원 사정이 좋아봐야 얼마나 좋겠는가? 이러한 고아들 중에서도 지금의 사회의 중심이 된 인물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한 아이가, 고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묘기를 부린 요술사에게 요술로 엄마, 아빠를 가져다 달라고 말한다. 그에, 딸을 잃고 슬픔에 잠겼던 요술사는 아내를 데리고 와서 요술처럼 그 아이의 부모가 되어주는 감동적인 이야기도 있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창작 문화라고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많은 책을 읽지 않아서 모르겠다. 하지만, 사소한 것에 놀라 두려워하면서도 정작 심오한 것에는 아무렇지 않게 받아넘기는 아동들에 관한 문학이 적어도 내게 있어서는 커다란 빛을 발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도 더 많은 동화들을 만나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