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눈물, 한권으로 보는 그림 세계지리 백과>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아프리카의 눈물 - MBC 창사 특집기획 다큐멘터리
MBC [아프리카의 눈물] 제작팀 지음, 허구 그림, 이은정 글 / MBC C&I(MBC프로덕션)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모든 인류의 출발지점인 아프리카는, 아마 옛날에는 넓은 초원이 펼쳐진 아름다운 장소였을 것이다. 지금은 가뭄과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어, 제대로된 물조차 공급받지 못하는 삶을 살고 있다. 이들은 폭력적인 침략자에 의해 모든 것을 빼앗겼을지라도, 아직도 외부 문명에 완전히 길들여지지 않은채 독자적인 문명을 유지하더라도 스스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느낄 것이다. 그들의 행위는 분명 누가 보더라도 잔혹해 보일지라도, 나는 이들을 야만인이라 부르고 싶지 않다. 그들도 그러한 문화를 갖게 된 사연이 있기 때문이리라. 

일부다처제, 이빨 뽑기, 마취제 없이 문신하기, 바늘로 몸 찌르기, 예의를 갖춰서 상대방을 때리기... 분명 이해는 할 수가 없다. 이들은 왜 스스로에게 고통을 가하고, 또 이 고통을 참아내야만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여기는 걸까? 이들은 우리와 같은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도 더 좋은 것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통을 견뎌내야 한다. 이들도 아무에게나 좋은 것을 쥐어줄 수는 없으니, 어떤 방법에서라도 더 고통을 잘 참는 사람을 뽑는 기준이 생겨난 것이라 생각된다. 

수메르가 신들의 고향이라면, 아프리카는 인류의 고향일 것이다. 인류학자들은 모든 인류들의 공통된 시작이 아프리카라고 주장했다. 곧, 아담과 이브는 흑인이었던 셈이다. 이에 하얀 아담과 이브를 상상하던 백인들은 분개했겠지만, 순순히 자신이 아프리카인의 후손임을 인정해야 한다. 아프리카에 남은 사람들은, 당시의 환경으로 인해 다른 곳으로 이사간 민족들처럼 발전하지 못했다. 이는 기후의 차이로 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더운 기후는 이들이 빠르게 활동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고 예측한다. 그렇다고 그들이 백인들보다 멍청한가? 전혀 그렇지 않다. 흑인의 피가 섞인 현 미국 대통령을 보면, 결코 지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없다. 환경의 차이에 의해 뒤떨어진 인종을, 쓸모없다고 약탈하고 파괴하는 악랄함이 멈추어야하지 않겠는가? 

지금 아프리카는 식민지라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었지만, 아직도 악의 세잔 세력이 남아있다. 백인들이 아무 기준도 주지 않고 쥐어준 총은 내전을 불러 일으켰고, 자로 잰 듯이 국경이 나뉘어진 국가들은 서로간의 종교, 민족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내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순수한 사람들이 정치적 입지를 굳히기 위해 서로에게 총질을 시작하면서, 낭자한 유혈 사태를 일으키고 있다. 피의 아프리카는 언제 회복될 수가 있을까? 아프리카가 눈물을 흘리지 않는 그 날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캘버트, 세계를 가다 - 1권 북미 남미
V.M. 힐라이어 지은이, 박찬영 개정판 지음, 문희경 옮김, 문수민 그림 / 리베르스쿨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아메리카 대륙은 예전부터 무척이나 가고 싶었던 장소이다. 아메리카는 각 나라마다 특별함을 담고 있다. 눈에 휩싸여 정적을 안고 있는 캐나다, 광활한 대륙과 복잡한 시내를 갖고 있는 미국 그리고 사막과 뜨거움을 연상시키는 멕시코. 그 아래에는 한때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의 속국이 되었던 국가들이 펼쳐져 있다. 세계를 여행한다고 하면, 우리는 무엇을 보아야 할까? 각 나라를 둘러볼 때 우리가 느껴야 할 것, 봐야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캘버트 스쿨 교장의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다양한 이야기가 이 책에 함께 녹아있어서 좋았다. 여행에 관한 책이랍시고, 사람들이 내는 것은 보통 무엇을 봐야 하고, 무엇이 맛있는지, 그리고 숙소는 어디가 좋은지를 알려주는 여행 지침서와 같은 형식이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진정한 여행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것 같았다. 꼭 봐야할 것만 정해서 마치 순회하는 관광객처럼 돌아다니는 것은 정말 쓸모없는 짓이라 생각된다. "자금성으로 가주세요."하고 중국에 가서는, 자금성에 대한 그 웅장함을 느끼지 못하고 빨리 사진을 먼저 찍고 다른 곳으로 떠나버리는 것은 마치 그냥 이곳을 들른 흔적을 남기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된다. 

북미에서, 여행의 꽃은 아마도 미국에서 피일 것 같다. 특히 뉴욕은, 많은 여행자들에게 있어 꼭 가보고 싶은 장소가 될 듯 하다. 지금까지도 세계를 휩쓸고 있는 마천루 열풍은, 솟아오르는 거인들을 만들어냈다. 공중에서 바라본 사진을 통해 보면, 거대한 건물들이 들어서있고 바닥에 낮게 깔린 집들을 보면 정말 아무것도 아니란 생각이 든다. 막상 그 낮게 깔린 집조차도 얻기 힘든 게 현실이지만 말이다. 마천루는 영어로 skyscraper라고 한다. 하늘을 긁는 것들이란 뜻이다. 하늘로 곧게 뻗어가는 거인들의 모습을 보자니, 마치 고대 바벨탑을 연상시키는 것 같았다. 이는 과거 하늘을 정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물을 높게 쌓는 것을 택한 사람들의 뜻이 되풀이되는 것 아닐까? 언젠가는 인류는 하늘 끝까지도 거인의 손길이 미치리라 생각한다.

아르헨티나. 은의 나라라고 불리고, 실제로 원소 은, Ag 기호도 아르헨티나의 약자이다. 왜 은의 나라라고 불렸을까? 서양인들은 당시 금과 은을 노리고 각지로 여행을 떠났고, 이 아르헨티나를 발견한 순간 은의 나라라고 착각하여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 막상 은은 없은 이 곳일지라도, 이들도 언젠가는 은처럼 빛나는 국가가 될 지 누가 알겠는가? 

베스푸치 아메리고의 이름이 붙은 아메리카 대륙은 한쪽은 세계의 영광을 누리고, 한쪽은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닌 양면의 대륙이다. 이곳을 여행하며 양쪽을 모두 둘러봄으로써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느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Ugly Bugs (Paperback, New ed) Horrible Science 18
닉 아놀드 지음, 토니 드 솔스 그림 / Scholastic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벌레들은 인간과는 전혀 다른 방법의 진화를 택했다. 크기는 작고 미약할지라도, 수를 대폭 늘리거나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기로. 우리는 벌레만 보면 죽이기 위해 애를 쓰지만, 가장 죽이기 힘든 것들중의 하나가 바로 벌레들일 것이다. 물론 이는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된다. 산업재해에 약한 곤충들도 얼마든지 삶의 터전을 잃고 죽어갈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살펴볼 것은, 도시에 살면서 적응한, 우리가 끔찍하다고 생각하는 해충들의 이야기다. 

I cannot understand why people hate earthworms. I can't distinguish which is earthworm or fallen twigs. We should protect them, because they are important for making the ground fresh. They make holes and these holes give oxygen to the ground. However, earthworms living in cities can be really hard because most of the roads are packed by concretes. I think they can't make holes at concretes. 

Cockroaches are the most disgusting bugs, I think. They are all over our house, and carry harmful bacterias and diseases food by food. If we try to kill them, than they would make more kids and it won't help to reduce the number of them. People say that they would survive when every people die by something great disaster. 

Many people think the bugs are ugly and harmful, but it could be nothing. The small things actually cannot give harms to the people. The criminals who want to kill people can be more dangerous than the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기억의 박물관 2
랄프 이자우 지음, 유혜자 옮김 / 비룡소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박물관이란 것을 보면 기분이 색다르게 느껴진다. 박물관에 보관되어 수천 년 동안 버텨온 것들이지만, 언젠가는 사람들로부터 잊히게 되어 있는 것들. 그리고 완전히 잊히게 되면, 결국 잃어버린 기억들이 사는 세계로 사라져버리는 존재들. 우리가 잃어버려서 사라진 것들은, 아마 다시 찾으려해도 없는 이유는, 이미 우리가 찾을 수 없는 저 먼 세계로 떠나버렸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기억들을 훔쳐내어 두 세계를 모두 지배하려던 크세사노는, 그 야욕과 힘이 점점 강해져서 급기야 박물관 전체를 훔쳐내고, 사람들이 잊어서는 안되지만 금방 잊을 수 있는 기억들조차도 아무렇지 않게 훔쳐내었다. 나는 지금 중요한 것을 잊지 않았는가? 내 머릿속을 떠난, 떠나서는 안될 슬픈 기억들이 이미 이 세상을 떠나진 않았을까? 내가 흘려보낸 기억은, 그렇게 조각조각나서 흘러나갔다. 

기억이란 존재가, 지금 나에게는 꽤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 같다. 내 과거를 회상해 보았을 때, 내가 잃어버린 기억들이 꽤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단편적인 기억들 사이에서 별로 자극적이지 못했던 기억들은 모두 사라지고, 이제는 과거의 황홀했던 순간들, 고통스러웠던 순간들도 모두 하나씩 떠나간다. 이제는 내 꿈도 소중해진다. 자고 일어난 직후에 어떤 꿈을 꾸었는지를 생각해내려 애쓰지 않으면 그 꿈은 영영 잊혀지고 만다. 내가 생각하는 모든 것, 내가 꾸었던 모든 것들이, 주인을 잃지 않은 채 그대로 나에게 남아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했다. 

새해를 맞이함으로써 그의 손길이 닿은 것들은 모두 그의 암흑 속에 가리워질 뻔했지만, 폴락 가의 사람들이 모두 열심히 투쟁을 하였기에 고대에 죽어서도 자신의 욕망을 황금상에 남겨 그대로 실현한 크세사노의 야욕을 막을 수가 있었다. 비극적인 기억을 빼앗기더라도, 이 기억도 추억하는 그 순간은 기쁨이 되는 그 기분을 느낄 수조차 없게 만드는 그를 기억하는 이는 몇 명이나 될까? 잃어버린 기억들이 사는 그 곳, 아마도 그곳은 내가 평생에 걸쳐 가고 싶어할 장소 중 하나가 될 것 같다. 내가 그곳에 간다면... 내가 잃어버렸던 소중한 기억의 물결을 다시 느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Terrible Truth About Time (Paperback)
토니 드 솔스, 닉 아놀드 지음 / Scholastic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이라는 개념은 현재 수학이나 물리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는 이 시간이 절대불변의 것이라고 믿을지 몰라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우주 바깥을 여행하는 아주 빠른 속도로 달리는 우주선 안에서는 시간이 지구에서와 다르게 흘러간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믿고 있던 시간이라는 개념이 흔들리는 셈이다. 그냥 앞으로 가는 것만 같은 시간은 과연 어떤 특징들을 나타낼까? 

The time appeared when the space appeared. So, the time started when the first world made. However, we noticed time by the clock. We can tell that railroads are the inventor of watch, because people had to know accuracy time, so the clock makers tried hard to make a accyracy clock. In Korea, we also have correctness water clock and sundial. Maybe they had to know the truth of time, too. 

When a correctness clock made, we became the slave of time, too. We have to watch them many times a day. We calcurate the time that we should use for something, and we are always in hurry, The history of time made us to work efficiency, but it didn't helped people to be happy. This is why I don't like the notion, time. However, we should study more about the phenomenon if we are in different environment with eart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