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의 제국 2 - 격투장의 공포
마이클 콜먼 지음, 김난령 옮김, 송수정 외 그림 / 높이나는새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이 인간을 다스리는 노예 제도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비인간적이라고 반대했었다. 하지만, 곰의 제국은 다르다. 인간보다 훨씬 신체적 능력이 강하고, 게다가 말을 하고 인간의 기술들을 가지게 된 이 곰들은 인간들을 종처럼 부리게 된다. 이들은 인간들을 샙이라 부른다. 그리고 인간들은 곰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있지만, 곰들은 인간이 뭐라 말하는지 알아들을 수 없다는 이점이 존재했다. 

두 명의 어린 아이는, 마치 강제수용소와 같은 아우성 탑을 탈출하여 왕과 왕비가 사는 버킹곰 궁전으로 향한다. 여기서 인간들은 갤리샙이 되어 죽도록 노를 젓게 되기도 하고, 온몸에 쥐약이 발린 채 그대로 쥐덫이 되어 떨어지기도 하고, 여왕의 광대샙이 되어 충실한 개처럼 따르면 여왕곰의 간식을 얻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마치 중세 시대의 인간의 모습에 비유된 것 같았다. 곰들은 지배층이고, 이 곰들 사이에도 평민, 귀족, 왕 등 다양한 계급들이 존재한다. 이 곰들 밑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똑똑하지만 노예가 되어버린 인간이다. 이를 그대로 대입하면, 곰들은 단지 지배층에 속하는 사람들을 곰으로 형상화한 것이 아닐까? 

격투셉이라는 것을 보게 되었을 때에는, 이 곰들이 곧 인간이라는 것에 대하여 확신하게 되었다. 이들은 격투셉들에게 날카로운 곰발과 곰가면을 씌우고 죽도록 굶게 한 다음 두 격투셉을 풀어서 서로가 피투성이가 되도록 싸우게 한다. 이건 마치 피에 굶주린 로마 시민들을 달래기 위하여 세운 콜로세움의 검투사들과 같은 신세였다. 그들은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해 미친듯이 싸운다. 그리고 서로가 피투성이가 되어 한쪽이 이기게 되었을 때, 그들을 기다리는 것은 승리자의 또다른 살육 아니면 죽음이다. 

곰의 제국은, 결국 지배자의 제국과 같은 뜻이다. 사람들은 이 곰들이 둔하고 멍청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곰들을 지배층에 대입하면, 결과가 나온다. 지배자들은 마치 자신이 더 부유하므로 더 똑똑한 줄 알지만, 아무리 무기가 없는 볼품없는 노예들일지라도 지혜를 가지고 이겨낼 수 있다는 뜻을 갖추고 있다. 곰들로부터 벗어난 벤자민 일행은 앞으로도 이 곰들의 지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나는 그런 그들에게 격려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라마조프 집안의 형제들 3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30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서상범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라마조프 집안의 이야기를 이 책으로써 드디어 끝맺음하게 되었다. 지금 회상해보더라도 이들은 참으로 끔찍한 삶을 살고 있었다. 부도덕한 아버지로 인해 태어난 세 명의 아들. 아니, 네 명이라 해야 옳을 것이다. 백치를 겁탈하고 낳은 자식 스메르쟈코프를, 마치 선심쓰듯이 데려와 하인으로 부리고 요리사 교육을 시켜 요리를 하도록 했으니 말이다. 이 카라마조프식 사고는 정말 이해할수가 없다. 아니, 인간으로서는 해선 안될 짓이라 생각된다. 

디미트리는 2권에서 아버지에 대한 살의 혐의를 받았고, 결국 모든 정황상 그의 유죄를 뒤집을만한 증거가 없어서 결국 그는 시베리아로 유형을 떠난다. 물론 독자들은 2권에서 디미트리가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직접적인 장면을 보지 못해 매우 궁금해할 것이다. 정말 제 3의 범죄자가 존재하는가? 아니면 일부러 디미트리의 살해 장면을 공개하지 않았는가? 이것이 바로 이책을 읽도록 이끄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해설서에서, 이 책이 작가 도스토옙스키가 도박을 위해 원고료를 당겨서 쓰다시피 한 작품이란 사실에 매우 놀랬다. 아무리 천재 작가였다지만, 도박을 위해서 그가 써낸 작품들은 모두 하나같이 그의 범죄성을 그대로 실어놓은 책이기 때문이다. 아버지에 대한 직접적인 살인의 혐의를 안게 된 디미트리, 평소에 아버지를 죽이고 싶어했지만 전혀 드러내지 않는 이반... 하지만 막내 알렉세이조차도 더러운 카라마조프 집안의 피가 흐르며, 결국 이에 벗어나지 못함을 알고 절망한다. 하지만, 비록 도박을 위해 쓰여진 작품일지라도(어쩌면 이 도박은 그의 창작욕을 더 왕성하게 돋구어준 자극제와 같은 것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매우 훌륭하다. 

하지만 정말 궁금하다. 정말 카테리나와 그루센카란 여인들이 사랑했던 사람들은 누구였을까? 카테리나는 그녀를 구원해 준 적이 있는 디미트리와 그녀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이반 사이에서 고민을 하고, 결국 이반을 택한다. 표도르 파블로비치와 디미트리를 동시에 유혹하다가, 표도르가 죽은 이후 디미트리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확인한 그루센카는 디미트리를 향해 자신의 마음을 굳힌다. 도스토옙스키는 이들의 마음을 알고 싶어하는 독자들의 심정도 알아냈다. 결국, 그는 카라마조프라는 가면을 통해서 그의 내면을 보여준 셈이다.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들려주는 서로 다른 이야기, 그러나 그 실상을 파헤치면 결국 나 자신과 같은 탐욕으로 가득찬 인간이 들어 있었다. 스크루지 이야기에서, 현재의 크리스마스 유령은 인간이 가진 가장 무서운 두 존재가 바로 가난과 무지라고 하였다. 인간은 무지라는 존재를 키움으로써 더 무서운 괴물로 변해가고 있다. 어쩌면 이 작품은 내가 가장 잊지 못할 작품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명식 2011-04-14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억울하시겠네요.어찌보면 법은 힘있는자에게 유리한거죠. 그러나 진실은 반드시 승리하실겁니다. 형제를사랑하는 마음에 돈 벌어서 나누려는 마음이 피를나눈 형제가 어려울떄 도움이않된다면 개만도못한거고 인간이를 잃거나 다름없군요.
힘내시고.하늘은 반드시 그대편이되실겁니다
 
과학동아 2011.2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지구 온난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경고했다지만, 아직도 사람들은 그에 대한 위험성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경각심을 전혀 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실제로 도표를 살펴보면 지구 평균 기온은 백 년 전에 비해 두 배로 상승했다. 이는 파장이 짧아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더라도 이산화탄소의 발생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기에 발생한 결과이다.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는 법은 무엇일까? 우리가 낳은 이산화탄소를 우리가 해결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많은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았고, 이는 육지, 해양, 기상학 적에서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육지에서는 사막에 반사판을 설치하고, 암석의 풍화와 에어 키퍼등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가두는 방법을 쓰려고 한다. 해양에서도 유기물을 뿌리거나 이산화탄소를 심해층에 방출해 그곳에 가두는 묘안도 생각해냈다. 대기권에서는 어떠한가? 구름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직접 그곳에 반사판을 설치해 태양광이 들어오는 면적을 줄여버리면 충분한 것이다. 

지구 공학도 큰 관심의 대상이었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세계 제 3위 구제역 재해국인 상황속에서 이 바이러스란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구제역 청정국이란 이미지를 벗지 않기 위해 백신  예방 접종을 피하고 있던 우리나라는, 결국 이번 사태로 인해 백신을 처방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가축을 병들게 하고 다른 가축에 대한 전염성이 강해 일단 발병하면 삽시간에 퍼져나가는 이 바이러스로 인해 가축들은 먹지도 못하고 모두 살처분되었다. 세계에서는 우리나라의 이러한 행위를 비난하고 있는 상황이니, 이를 빨리 해결하는게 얼마나 중요하는지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 

지금도 우리 주변에는 과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 많은 것 같다. 과학 동아에서는 우리가 이제 무슨 일을 해야 할지를 알려주고 있다. 바이러스와 지구 온난화 등 인류가 대처해야 할 여러가지 문제들에는 과연 방법이 없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tal Forces (Paperback, New ed) Horrible Science 9
닉 아놀드 지음, 토니 드 솔스 그림 / Scholastic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이제는 중력값을 이용해서 물체가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단계에 와버렸기에 중력이란 나에게 더 친숙한 존재이다. 괴팍한 천재 과학자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로부터 만유인력과 중력이란 개념을 생각해낸 이후, 이 중력이란 도구는 지금도 내게 있어 물리라는 과목에 속해 나를 괴롭히는 수단이다. 하지만, 앗 시리즈를 통해서 중력을 재미있게 학습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The gravity is well known to you, because you must suffered about gravity when you lived. When you threw a ball into the sky, and the ball just fallen to the ground again. And you must have tried to get our of Earth by jumping high. It just made you breathe hard. So, what is gravity? Why this gravity is catching our ankle? 

You should know about the universal gravitation. It says the small bacterias have the universal gravitation to our body. But, we just can't feel this because they are too small. The universal gravitation is inverse properted to the interval. So, if the rocket get out of the earth, than they cannot feel the power of Earth because they are too small. 

Many people tried to tide over the disturb of gravity, and I think they finally did this. They shoot many satellites and get informations from them. I hope people will know much things about gravit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volve or Die (Paperback, New ed) Horrible Science 7
필 게이츠 지음, 토니 드 솔스 그림 / Scholastic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다윈의 진화설은 아마도 현대의 과학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올바른 과학적 선택이었을 것이다. 라마르크의 용불용설 등의 이론등이 등장했으나 그 가설들은 모두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 등장한 것이 바로 자연 선택설이다. 다양한 개체수가 있고 이들 중 자연에 의해 선택받는 종만 살아남는다. 이 종이 여러가지 종으로 분화해 다시 몇 종만 살아남는다. 이것이 바로 자연선택설이다. 

However, people should know that this law is going to collapse. It realized when the animals get devided into many species. And now, the removing speed is faster than making speed. It is just like overconsumption of human, People use the nature and throw them away. They never care about this. So, this is why we should protect animals. 

Than, let's look around this book. I like Darwin's nature's choice opinion is true. For example, there are many species of pinches that live in Galapagos. Galapagos was isolated from the other lives, so the animals could evolve for its own way. And the pinches' beak prove this. The pinches must be the same species, but they have different beaks each other. Scientists said this is because they choosed different food for their lives. 

The animals choosed many ways to live themselves. Some of them failed at survives, but the survivors still seeding their lives. I hope the animals living in Earth evolve well and must survive from u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