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이밥 ㅣ 낮은산 작은숲 1
김중미 지음, 김환영 그림 / 낮은산 / 2002년 3월
평점 :
[charliemom]
이 책의 저자 김 중미씨는 '괭이부리말 아이들'로 소외 계층의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풀어준 바 있다. '종이밥' 또한 그러한 남매의 이야기지만, 우리에게 정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는 책이었다.
종이밥, 종이밥이란 제목을 들을 때 참 특이하단 생각을 했다. 음. 종이로 뭘 만들고 남은 찌꺼기를 말하는 건가? 아, 코끝이 찡하고 눈가가 당길만큼 마음 아프게, 종이를 씹으면 밥풀 냄새가 난다며 질겅 질겅 씹어먹어 '종이밥'이 된 것이었다. 이 책에 나오는 아이 송이는 배가 고플 때도, 집에 아무도 없어 식구가 보고 싶을 때도, 혼자서 심심할 때도 그렇게 종이밥을 먹고는 하였다
송이는 내년에 학교를 가는데,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참으로 구김살 없이 해 맑은 모습이다. 할아버지에게 늘 감동을 주는 예쁜 말들을 조근 조근 하고, 오빠에게도 쉴 새없이 종달새처럼 종알거리곤 한다. 자식들을 남겨두고 떠난 부모들의 마음은 어떨까? 생활고에 힘겨운 조부모께서 아이 둘을 거둔다는 것은 너무나 힘든 일이다. 이책을 읽으면서도 얼마나 많이 울었던지, 때아닌 울보가 되겠다 싶었다.

관절염으로 고생하며, 청소일을 하는 할머니도, 할아버지 입원비에 참으로 힘겨운 나날이셨을 것이다. 해서 어렵게 송이를 동자승으로 보내려고 했을 것이다. 때로는 귀찮고 힘들게 한 동생이었으나, 동생을 어려서부터 돌보던 철이의 심정이 어떠했을지....
친구가 자랑해서 덜컥 자기도 샀다고 거짓말한 빨간색 푸우 가방은 송이의 자존심이었을테지? 철이는 어렵게 모아뒀던 저금통을 깨고, 아껴뒀던 농수산물 상품권으로 송이 곰돌이 푸가방을 사준다. 송이는 왜 그런지도 모르면서 사진관에서 가족들 사진도 찍고, 외식으로 짜장면도 먹어서 마냥 기분이 좋기만 하다. 할머니가 그 예쁘고 빨간 가방안에 송이옷을 왜 잔뜩 챙긴 것인지도 모르면서 들떠있기만 한 송이가 집을 나서는 모습에 '바보'를 속으로만 외치던 어린 철이 마음은 얼마나 상처를 받았을지...

몸이 좋지 못한 할아버지는 떠나는 송이때문에 마음의 병이 나시고, 절에 가셨던 할머니도 결국 마음이 천갈래 만갈래 되셨을 것이다. 철이는 아침나절 내내 아파트 축대에 기대 할머니를 기다리며, 혹여 송이가 올까 기다렸는데, 할머니가 보이시고, 이윽고 종종거리며 내달리는 송이를 보았을 때, 철이도 그들의 이야기를 보던 나도 너무나 기뻤다.
할머니는 새벽에 인사도 없이 죄인처럼 송이만 데리고 도망치다 싶이 절을 나오셨다며, 내가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고 하셨는데, 읽는 우리는 알수 있지 싶었다. 못 먹어도, 못 입어도, 같이 살면서, 겪는 생활이 가족이란 넓직하고 폭신한 솜이불같은 행복이란 걸 알기 때문이겠지. 메마른 정서, 어려움을 모르는 우리 아이들. 이 책을 읽으며, 마음에 따뜻하게 해 줄 난로하나 들여놓을 것이다.
"이렇게 힘든 친구들이 있구나. 감사하게 살아야지, 꼭 나누고 살아야지."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