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공부 - 2500년 인문고전에서 찾은
조윤제 지음 / 흐름출판 / 2014년 3월
평점 :
‘말이 곧 그 사람 자신이다.’라는 말이 있다. 사람들의 대부분은 말을 할 때 별 생각 없이 내 밷는다. 말은 말하는 사람의 됨됨이를 잘 보여주고, 그 말이 살아가는 데 큰 경쟁력이 된다. 그러므로 말실수를 가급적 하지 않는 바른 언어 습관이 그 사람의 인격을 높여주고, 이는 곧 사회적인 인정으로 이어진다.
이 책은 현재 기획과 번역을 하며 집필 활동에 열중하고 있는 조윤재씨가 논어, 맹자, 장자 등의 철학서, 사기, 십팔사략, 전국책 등의 역사서, 설원, 세설신어 등의 설화집을 비롯한 다양한 고전에서 찾아낸 현자와 영웅들의 명 대화를 담은 책으로 그들의 대화 속에서 인생의 깊이와 넓이를 느껴보고, 우리는 어떻게 말을 공부하고, 말를 해야 할지에 대해서 알려준다.
말은 단순히 입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성품과 가치관, 그리고 본성이 집약되어 나오는 것이다. 또한, 말이란 자기만족을 넘어 소통을 목표로 하는 이상, 상대방의 심리와 상황을 읽는 감각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을 단순히 기술로 배우려 하기 때문에 곧잘 실패한다.
이 책을 읽어보면 매를 든 훈장님에게 살살 눈치 보며 배우는 기분이 든다. 그럼에도 책장이 순순히 잘 넘어가는 이유는 저자의 정리된 글을 통해, 내 입에서 나오는 말이 곧 나의 인격이고 이는 상대방에게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려주는 바로미터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옛말에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라고 했다. 천 냥 빚을 갚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빚을 지지 않고 말로써 자신의 품격을 높이려면 평소 언어 습관을 바르게 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을 도우미 삼아 오늘부터 공부를 한다면 많은 유익을 얻을 것이다.
이 책은 <논어>, <사기>등의 고전에서 나오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말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을 10편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촌철살인寸鐵殺人, 단 한 마디로 끝내라’, 제2편은 ‘언중유골言中有骨, 평범한 말 속에 깊은 뜻을 담는다’, 제3편은 ‘지피지기知彼知己, 나를 알고 상대를 알면 백 번 대화해도 위태롭지 않다’, 제4편은 ‘언어유희言語遊戱, 유머와 감성으로 통하라’, 제5편은 ‘우화우언寓話寓言, 이야기로써 풍자와 교훈을 전한다’, 제6편은 ‘이류이추以類而推, 비유와 인용을 활용한다’, 제7편은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으로부터 마음으로 말한다’, 제8편은 ‘일침견혈一針見血, 한 방에 핵심을 찔러라’, 제9편 ‘선행후언先行後言, 먼저 실천하고 그 다음에 말하라’, 제10편은 ‘일언천금一言千金, 사람을 살리는 말, 망하게 하는 말’ 등 2500년 전에 이야기 했던 것들을 중요한 핵심만을 골라 엮었다.
공자의 가르침을 세 가지로 압축한 ‘논어’의 맨 마지막 문장을 보면 ‘삼부지(三不知)’란 말이 나온다. “천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고(不知命 無以爲君子也), 예를 알지 못하면 세상에 당당히 설 수 없으며(不知禮 無以立也),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不知言 無以知人也).”
세상을 살면서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말을 잘 해야 한다. 말을 제대로 배워야 나의 격도 높아지지만,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능력을 키울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서 우리의 말의 품격을 한 단계 높이고, 다른 이들의 말을 잘 들어서 좋은 벗을 만드는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자신은 물론 사람을 다스리는 말을 하고 싶다면, 그리고 사람 공부를 하고 싶다면, 말을 매워야 할 것이다. 다가가면 따뜻하고, 말은 합리적이며, 바라보면 기품과 위엄이 느껴지는 사람, 그러한 사람의 말을 이 책으로 공부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