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님인가, 세상인가 - 미처 몰랐던 내 안의 우상 버리기
피트 윌슨 지음, 이지혜 옮김 / 아드폰테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사람들은 삶의 만족을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무언가를 의지하는 것으로 채우려 한다. 물질적 존재인 돈이나 술, 혹은 마약에 의지하여 일시적으로 편안함을 얻으려 하는 것이다. 혹은 종교적 존재인 절대자에게 기대는 사람도 있다. 하나님께서는 그분만이 채우실 수 있는 영적 갈망을 우리 안에 심어놓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그 사실을 깨닫기까지 우리 인생은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는다. 그래서 자꾸 엉뚱한 곳에서 만족을 찾아 헤매는 실수를 저지른다.
이 책은 미국의 크로스포인트 교회 담임목사이자 떠오르는 젊은 목회자인 피트 윌슨이 우리가 내면의 깊은 욕구를 채우기 위해 하나님 대신 우리 마음속에 만들어낸 우상을 밝히 드러낸다. 저자는 우리가 갈망하는 세상의 것들이 이 시대의 우상이라고 말한다. 예전에는 금송아지를 숭배하고, 미신을 믿는 등 ‘우상’이라는 실체가 있어 자신이 우상을 섬기고 있을 때 스스로 인지했다. 그러나 지금은 드러나는 신(우상)을 섬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신에 쾌락 우상, 명예 우상, 열정 우상, 지위 우상, 인기 우상, 인정 우상, 성취 우상, 권력 우상, 종교 우상, 외모 우상, 재물 우상, 꿈 우상 등의 새로운 우상이 등장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상은 이방 종교 신전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나는 사람들이 나무에게 절할까 봐 걱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늘날의 문화가 안고 있는 진짜 문제는 외적 우상, 즉 눈에 보이는 우상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내면의 우상이다.”라고 말한다.
저자는 말하기를 “우상이란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것을 그분의 힘과 권위를 갖지 못한 무언가에게서 찾는 것, 이것이 바로 우상이다. 성공, 사랑, 재산, 가족처럼 좋은 것들을 대할 때, 하나님만 주실 수 있는 것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그것들에 매달리는 것이 우상이다. 그것들이 우리가 갈망하는 의미와 안정감, 안위와 성취감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공허한 약속을 믿는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심어주신 갈망을 느낄 때 그분 아닌 다른 것으로 그 갈망을 채우려고 애쓰는 것이 우상이다.”(p.24) 라고 했다.
우리는 범람하는 우상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래서 장 칼뱅은 “인간의 마음은 우상을 만들어내는 우상 공장”이라고 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우상에 빠져 있느냐고 묻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우상에 빠져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가장 치우쳐 있는 우상에 대해 생각해보라고 한다.
출애굽기 20장 3절에 보면 “너희는 내 앞에서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고 했다. 오늘의 ‘다른 신’이란 우상에 대한 정체성을 말한다. 우상이란 말할 것도 없이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고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마음과 공상의 세계를 하나님보다 더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며 자기 인생의 중심이자 핵심이 되어 그것이 없으면 살아갈 가치가 없다고 느껴지게 하는 짝퉁 하나님”과 같은 것이다.
덧없이 사라지는 만족감에 끊임없이 집착하게 하는 “성공에의 유혹” 역시 우상의 한 모습이다. 인간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조작할 수 있다는 교만한 환상 역시 우상의 또 다른 모습이다. 우리 마음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갖가지 우상을 몰아낼 수 있기 위해서 ‘위에 있는 것들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무엇이나 존재가 마음중심에 들어와 섬김을 받고 있다면 참된 신이신 예수 그리스도께 돌아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