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3 세계, 기회와 도전 - KOTRA 세계 전망
KOTRA(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지음 / 알키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유로존 재정위기와 미국의 재정절벽 문제, 중국의 성장둔화 등에 따라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재집권한 미국과 시진핑 체제로 접어든 중국의 G2는 세계정세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 것인가. 세계 경제를 이끄는 이들 국가의 수장들이 앞으로 어떤 정책을 추진하느냐가 위기 극복의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이미 이런 세계 경제 위기의 영향을 상당부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내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할 예정이어서 어떤 정책들이 추진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2013년의 세계 경제와 트렌드를 예측한 책들이 잇달아 출간되어 내년의 글로벌 경제가 낙관적이지 않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책은 체계적인 정보 수집망을 갖춘 덕에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전 세계 81개국 119개 도시에 주재원을 파견하여 현지의 상황과 새로운 소식을 발 빠르게 파악하는 KOTRA가 국내 최초로 낸 세계 전망서다. 지구촌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에 대한 전망은 물론 2013년의 이슈와 트렌드, 그에 따른 변화까지 2013년 세계 속에 숨은 가능성과 기회를 찾아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에서는 글로벌 경기둔화 속에서도 획기적인 아이디어와 풍성한 정보를 갖춘다면 오히려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 하면서 체계적인 정보 수집망을 바탕으로 내년의 가장 유망한 투자처와 분야를 모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내년에도 우리에게 가장 많은 기회가 있는 지역은 신흥국가들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러시아와 남미, 미얀마, 말레이시아 등을 유망한 투자처로 꼽았다.
러시아는 최근 몇 년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왕성한 소비력을 가진 중산층 인구가 크게 늘었다. 과거에는 소비에서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됐지만, 최근에는 품질과 브랜드를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층이 늘고 있다. 코트라는 IT, 자동차 등 제조업에서 높은 경쟁력과 브랜드가치를 지닌 우리 기업들이 앞으로 러시아에서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인구 4억명의 거대시장인 남미는 최근 K-POP과 드라마 등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들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페루, 칠레, 콜롬비아, 브라질 등에서 불고 있는 한류 열풍이 한국의 음식, 패션, 상품에 대한 열광으로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IT 환경 속에서 새로 파생되고 있는 각종 신기술을 통한 사업모델들도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한다. 창업 단계에 있는 기업이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서 투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 펀딩, 인터넷을 떠도는 방대한 정보와 자료 속에서 체계화된 흐름과 모델을 만들어 경영에 활용하는 빅데이터, 연결지성 등이 유망한 사업모델로 제시된다.
이 책은 2013년 박근혜 대통령 시대에 펼쳐질 기회를 잡고 이에 도전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