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나의 멘토 - 현장에서 삶을 배우는 UNGO 활동가들
UNGO아카데미 강사진 엮음 / 책마루 / 2012년 11월
평점 :
요즘 유엔이나 국제기구에서 일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한비야 국제구호활동가, 故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등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는 국제기구와 NGO 분야의 대표 한국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유엔본부, 세계은행, IMF(국제통화기금), IAEA(국제원자력기구) 등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수는 249명이다. 유엔 사무국이 제일 많고, 세계은행이 39명, ADB(아시아개발은행)이 32명 순이다. 능력 있고 꿈 많은 젊은이들이 돈과 명성에만 집착하지 않고 국제기구와 NGO에 투신하여 인류애와 사회 공공의 가치를 위해 뛰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2012년 7월, UN과 NGO 및 시민단체 14 곳에서 일하는 활동가 14명이 강연한 것을 엮은 것으로 각자의 분야에 일하면서 꾸는 꿈과 귀중한 경험담들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유엔과 NGO의 전통적인 활동주제인 인권과 빈곤, 사회적 정의 문제부터 기후변화와 북한 문제, 교육,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UNGO는 UN과 NGO라는 의미입니다. UNGO아카데미는 UN국제기구(UNHCR,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등), NGO (참여연대, 월드비전, 평화누리 등), 그리고 유관기관(KOICA 등)에서 현직으로 일하고 있는 젊은 활동가들이 자신들의 꿈과 희망,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순서로 진행이 되었다. 다양한 단체와 전문분야에서 일 하는 모습과 그들이 가진 다양한 스펙트럼를 보여주는 것이 컨셉이다.
국제활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요즈음이지만 대부분의 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단편적으로만 전달됨으로써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정보 획득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에는 UNHCR, IVI, 유니세프한국위원회, NGO는 참여연대, 월드비전, 평화누리, 유관기관인 KOICA의 활동가가 참여하여 실무자를 위한 이야기를 7개 분야로 나누어 홍보, 북한, 시민운동, UN기구, 교육, 실무활동, 기후변화 등으로 나눠 2명씩 주제 강연으로 이뤄졌다.
한국 월드비전 홍보팀의 김효정 씨는 국제 뉴스 및 파트너십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비야 구촌가 아니라 지구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다른 나라의 다른 민족들도 진정한 한 공동체 안에 있음을 강조하고 서로 도와야 한다고 말하는 그녀는 오지탐험가에서 NGO의 긴급구호 팀장으로, 이제는 학생으로 청소년과 젊은 여성들의 멘토로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서 근무하는 장성윤 씨는 홈페이지와 SNS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을 맡고 있다.
남북한 주민들이 함께하는 연탄 나눔 이야기, 북한을 리모델링하는 새로운 전략을 말하는 박일수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남북협력팀 차장의 이야기를 통해서 북한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져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NGO 활동가의 사랑을 통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웃음 짓는 날이 오기를 꿈꾸며, 각자의 현장에서 세상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삶에 행복을 주는 일에 더 많은 분들이 동참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