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지 않은 마음이 어디 있으랴 - 비우고 숨쉬고 행복하라
바지라메디 지음, 일묵 감수 / 프런티어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많은 사람들이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그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그러나 성장과정을 통해 부모로부터,형제로부터,친구로부터,선생님으로부터 받은 내면의 상처는 성인이 된 후에 가정생활이나 직장생활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받은 상처 때문에 성인이 된 지금도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린 시절 형과 비교 당하며 “넌 사람의 새끼가 아니야. 짐승의 새끼야”란 말을 들었을 때 죽고 싶었다며 그 말이 평생 가슴에 꽂혀 어두운 자아상을 갖게 된 사람도 있다.
이 책은 태국의 달라이 라마로 불리는 바지라메디가 비운 마음을 다시 채우는 것이 ‘행복’임을 알려주는 책이다. 바지라메디는 끊임없이 대중과 소통하며 지친 삶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주는 정신적 멘토이다. 그의 메시지는 삶이 힘겨워 지치고 상처받은 현대인들에게 가슴 따뜻한 위로와 용기를 준다.
우리는 화, 불안, 죽음, 이별 등으로 마음의 상처를 받는다. 나 역시 이런 일들로 많은 고통을 겪은 적도 있다. 그럴 때 마다 나는 ‘왜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 것일까?’ 하고 고민했다. 그러나 곧 그 원인이 바로 마음에 있음을 알았다. 어떤 마음을 가지느냐에 따라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픔과 절망, 그리고 불안을 포함하는 고통은 세상의 진리이다. 행복은 삶의 또 다른 한 단면으로서 고통과 함께 찾아온다. 그러나 세상에 고통과 행복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고통과 행복을 초월한 선험적인 상태도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고통과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법을 베워보라’고 하면서 첫째로 상상 속의 고통은 떨쳐 버리라고 했다. 사실 살면서 진짜 고통이 찾아오는 순간은 그리 많지 않다. 우리가 고통을 견딜 수 없다고 느끼는 이유는 그것을 과장해서 바라보며 더 크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신경 쓰지 마’와 ‘무슨 상관이람’이라는 사고방식을 취하자고 말한다.
우리는 크게 소리를 지르건 혹은 혼자 분을 삭이건, 표현방식은 다르지만 누구나 화를 내고 살아간다. 아무리 덕망이 높은 수도승이라 할지라도 평생 화 한 번 안 낸다고 자신할 수는 없을 것이다. 화를 낸다는 것은 웃고 우는 것처럼 인간이 가진 자연스러운 감정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참 동안 화를 내다 보면 정작 자신이 왜 화를 내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곧잘 잊어버린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화를 다루는 9가지 응급처치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 9가지는 ‘화나게 한 사람에게서 멀어져라, 화가 다 풀릴 때까지 기다리라, 신체적·언어적·정신적 학대를 하지 마라, 바보나 아첨꾼의 곁에 있지 마라,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상기시키라, 기도처럼 마음을 편안히 해줄 다른 행동을 하라, 화가 난 상태에서 억지로 명상을 하지 마라’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는 ‘비우지 않으면 채울 수 없듯, 먼저 마음을 비워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비운 마음을 채우는 것이 행복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