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당뇨병 식사 가이드 - 약이 되는 당뇨밥상
차봉수.연세 세브란스병원 영양팀.CJ프레시웨이 지음 / 비타북스 / 2011년 8월
당뇨란 주위에 앓고 있는 사람들이 꽤 많은, 흔한 질병이면서도, 식사때도 가려야할 것이 많은 무척이나 까다로운 질병이기도 하다. 설탕 뿐 아니라 음식의 맛을 결정하는 소금도 자제해야하는 편이고, 비만 역시 당뇨에 치명적인 조건이라 체중 조절까지 해야하니 여러모로 신경 써야할 점이 많아서 당뇨 식이 하면 흔히 입맛을 잃게 하는 그런 식단을 떠올리기가 쉽다. 이 책은 당뇨병 뿐 아니라 체중 조절을 하고 싶은 일반인들에게도 골고루 영양 섭취를 하면서 맛있는 식사까지 할 수 있는 균형있는 식단을 알차게 마련해주고 있는 고마운 책이다.
주위에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여럿 있는데 대부분 고기를 좋아하고, 간식과 술 등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 식사 때마다 주위 사람들의 잔소리에 무척이나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곤 했다. 건강을 생각하자면, 외식도 자제해야하고, 고기, 튀긴 음식, 인스턴트 음료수, 술 등은 더욱 마시면 안되건만 당뇨약을 먹으면서도 좋아하던 입맛을 갑자기 돌리는게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긴 했기 때문이다. 나 또한 비슷한 식성을 갖고 있어서 조심해야겠다 생각을 하지만, 아직까지는 식사 때마다 큰 경각심을 갖지 않고, 입맛에 맞는 음식을 찾곤 했는데 이 책을 보면서, 아, 당뇨 환자들도 충분히 맛있는 식사를 즐기면서 할 수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식사를 준비하는 주부들 입장에서는 좀 귀찮을 수도 있겠지만, 사실 다른 가족들도 같이 먹을만한 맛있는 식단들인지라 자연스레 같이 건강한 식단을 짜서, 체중 조절까지 하게 되고, 당뇨도 예방할 수 있으면서 당뇨를 앓는 환자의 고충을 이해하게까지 되니 정말 유익한 책이 아닐 수 없었다.
사실 체중감량보다 더 중요하게 짚어주는 부분이 영양 밸런스가 맞는 밥상이었다. 굳이 표준 체중까지 억지로 내리려 하지말고, 2kg만 줄일 수 있는 밥상이어도 충분하다며 최고의 당뇨 식에 대한 정의를 새로이 내려주기도 한다. 당뇨 밥상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첫 부분에서 꼼꼼히 짚어주기에 레시피 이전에도 당뇨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돕는데 안성맞춤인 책이었다.
무엇보다 밥상 자체만 보면, 이게 당뇨 식이가 맞나 싶을 정도로 화려하다. 고기도 제법 등장하고 (껍질을 벗긴 닭고기, 오븐에 구운 안심 등은 굳이 자제해야할 단백질이 아니라 섭취 권장할 단백질에 들어간다고 한다.) 다양한 레시피로 잃었던 입맛을 살려주면서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의욕을 북돋워줄수 있는 자극제가 되지 않나 싶었다.
미식을 사랑하는 내가 봐도 맛있어 보이는 식단, 당뇨는 아직 없지만, 체중 조절은 해야하는 상황이었기에 이 책을 보며 체중 조절 식단으로 활용해도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또한 간이 자극적이지 않아 아이와 함께 하는 건강 밥상으로도 좋을 것 같아 당뇨가 아직 없는 우리 세식구 식단으로도 좋아 보였다. 다양한 메뉴 개발로 콩나물 장조림, 나물 햄버거 스테이크, 닭살 깨소스 볶음, 청국장 덮밥, 컬리플라워파스타 등의 새로운 메뉴가 선보여 일반인들도 즐거이 맛볼 수 있는 기대할만한 새로운 반찬들이 돋보였다. 짜기로 소문난 우리나라 김치의 경우에도 저염 물김치, 저염 김치등의 레시피가 소개되어 당뇨 뿐 아니라 고혈압을 앓는 많은 사람들, 그리고 저염 식단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일반 사람들에게도 참고할만한 김치레시피가 되지 않았나 싶다.
직장 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빠질 수 없는 외식에서도 당뇨 환자가 고려하면 좋을 안전한 외식밥상의 조건과 추천 베스트 식단들이 소개되어 참고하기 좋았고, 특히나 짜장면이 먹고 싶을때 참고하면 좋을 점까지 소개되어 당뇨환자들의 속속들이고민을 짚어줄만한 책이라 생각되었다.
집에서 직접 싸가는 도시락 또한 정성을 더해 건강을 잃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돋보였다.
스페셜 코너에서는 음료만들기와 간식, 음료수, 술의 열량까지 소개되어 당뇨환자가 잊지 말아야할 건강을 되새기게 하였다.
이 책은 당뇨 환자를 위한 식단을 짜는 주부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책이고, 스스로 당뇨이거나 체중 조절을 하고 싶은 당사자가 읽어도 자극이 되고 동기 부여가 되기에 충분히 도움될 그런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