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 - 인류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고고학적 발견들
패트릭 헌트 지음, 김형근 옮김 / 오늘의책 / 2011년 3월
평점 :
물질의 역사는 최소한 기록의 역사만큼 중요한 것이다. 종종 기록적 발견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고학과 이를 통한 발견들은 우리의 과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것이다.
7p 서문
18세기 이후 역사를 다시 썼다 해도 좋을 10가지 위대한 고고학적 발견에 대한 다룬 이책은 우선 그 소재부터가 몹시 흥미롭다.
로제타 스톤, 사해문서 등의 자세하게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기억 저편 어딘가에 남아있는 유명한 이름들부터, 트로이, 투탕카멘, 마추픽추, 폼페이, 진시황릉 등의 우리도 익숙하게 들어 조금은 알고 있는 역사적 사건들, 그리고 아시리아 도서관, 티라, 올두바이 협곡등 이 책에서 처음 만나는 고고학적 발견까지..(알고 보면 티라는 아틀란티스 유적과 관련된 이야기였다.) 10가지의 다양한 주제로 고고학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고 있다.
저자인 패트릭 헌트가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고고학과 고전문학을 가르치는 이이고 미국 지리학협회의 한니발 유적 조사단을 이끌고 있다고 소개되어 있다. 어려서부터 재미나게 보았던 인디애나 존스의 주인공을 떠올리게 하는 소개글이었다. 고고학의 전문가가 풀어내는 역사적 위대한 10가지 사건에 대한 이야기.
어렴풋이 알고 있던 , 혹은 이름만 들어보았던 기억들을 끄집어 내며, 아, 이게 이래서 유명한 사건이로구나. 이래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하는구나 하는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도 있었지만, 내가 몰랐던 부분들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다는 생각에 더 재미나게 읽었던 것 같다.
2만 6000개의 단편으로 부서진 1만개가 넘는 서판들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낸 세금을 비롯해 동물, 농산물, 판결, 재산기록, 영수증, 의학적 사례, 마법, 민간설화, 학생들이 배우던 교과서와 심지어 선생님들이 어떻게 가르쳤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발견 전까지 잃어버렸던 세계가 다시 등장한 것이다. 92p
잊혀진 과거를 끄집어 내는 일, 세계사에 처음 등장했던 군사적인 왕국 아시리아. 성경에만 남아있는듯 했던 아시리아와 그 수도 니네베의 존재는 국권이 약해지고, 바빌론의 공격을 받아 완전히 무너졌다. 완전히 무너진 처참한 도시가 되어버렸으나 도시 전체를 거대한 가마처럼 태워버렸기에 1만개가 넘는 도서관의 서판들이 구워져 아이러니하게도 더욱 오랜 시간을 버텨낼 수 있게 바뀐 것이다. 마치 도자기를 굽듯이 잘 구워진 점토들이 오랜 세월을 견뎌내 소중한 정보를 현세에 전할 수 있게 되었다.
마추픽추를 가 본 사람들은 그 곳이 세계에서 가장 장관을 이루는 장소 가운데 하나라는데 모두 동의한다.
마추픽추는 안데스 산맥의 산봉우리들이 만들어낸 우르밤바강 계곡에서 흰 물거품을 일으키며 급류가 흐르는 절벽 위에 자리잡고 있다.
마추픽추에서 가장 먼저 느끼는 건 전망의 방향이 너무 극적이라는 것과 그 곳이 어지러울 정도로 아찔한 절벽 위라는 것이다.
130p
로제타스톤의 이집트서부터 시작된 여러 역사적 사건들을 접하면서 이집트, 잉카 등의 뛰어난 문명을 자랑하던 많은 나라의 역사적 자산들이 강대국들에 의해 무참히 파괴되거나 혹은 그 나라의 자산인양 압류되어 버리는 것을 보고 사실 분통이 터지기도 했다. 값을 매길수 없는 고귀한 사해문서가 정작 발견한 베두인족에게는 아주 푼돈만 주어진채, 거래되기도 한다. 유럽, 미국 등의 세계적인 박물관에서 전시되는 많은 유물들이 그들이 침략한 나라로부터 강탈해온 것들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건만 너무나 당당하게 세상 사람들 앞에 그 물건들을 전시하고 수익을 올리고 있으니 서글픈 일이었다.
잉카를 침략한 스페인의 군대도 무자비하게 그들의 문명을 파괴했으나 너무나 높은 지대에 있고, 비밀에 붙여졌던 마추픽추는 그 정보를 입수하지 못해 손을 대지 못했기에 거의 원형 그대로 보전되었다고 한다. 남아메리카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제일 보고 싶어하는 곳으로 꼽는다는 마추픽추. 너무 먼 곳이라 여행을 꿈꾸지도 못했는데 꼭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이 되었다.
이집트 투탕카멘 역시 너무나 짧은 기간 통치하고, 이집트 역사상으로는 위대한 왕이 아니었기에 역사에는 기록되지도 않았고, 그를 신경쓰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기에 후대 왕들에 의해 대부분 도굴된 위대한 왕들의 무덤과 달리 투탕카멘의 무덤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엄청난 보물을 보유한채 그대로 발굴된 것이었다. 거기에 들어간 기본 황금양만도 11톤이 넘었고, 당시 금을 구하기 굉장히 어려웠던 시절이라는 점을 감안해봐도 또 그 역사적인 유물로써의 값어치까지 매겨진다면 천문학적인 액수로도 값을 매기기 힘든 유물들이라 한다. 살아서는 또 죽어서도 많은 이들에게 이름을 알리지 못했던 투탕카멘. 그는 지금 그의 황금마스크와 함께 고고학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고, 이집트의 위대한 왕 람세스 2세보다도 더 대중에게 알려진 신비한 왕으로 급부상하였다.
고고학자 혹은 여러 사람에 의해 아주 우연히 발견된 놀라운 발견들. 그 사실들이 어느 정도는 베일에 쌓인 것들도 많지만, 자세히 알지 못했던 발굴 과정이나 현장의 모습, 또 그 발견 자체가 사람들에게 사사해주는 의미등을 헤아려줌으로써 충분히 고마운 책이 되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