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 1 : 얼굴을 보고 마음을 읽는다 - 허영만의 관상만화 시리즈
허영만 지음, 신기원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허영만의 만화 ’꼴’을 신문에서 연재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허영만의 만화 <식객>이나 <부자사전>을 읽었을 때,
간단명료하면서도 맛깔스럽게 잘 구성된 만화를 읽는 것이 정말 흥미로웠다.
그 때의 그 즐거움을 기억하며,
그것이 독서의 즐거움이라 생각하며,
이번 만화도 기대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신문을 구독하지 않으니 책으로 나올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게 되었다.
그리고 오랜 기다림 후에 드디어 이번 기회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의 머리말을 보며 왜 이 소재로 만화로 그리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고,
인간의 관상에 대한 굵직굵직한 기본을 알기 쉽게 추려서 담아내어
흥미롭게 읽게 되었다.

꼴은 사람 또는 사물의 모양새나 됨됨이를 나타낸다.
머리말의 내용처럼 관상을 공부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눈뜨는 데 3년! 통달하는데 10년 이상!
하지만 "관상공부를 하든 말든 3년은 어차피 지나간다!"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이왕 시간은 지나간다면 사람의 관상에 관심을 더 가지고 분석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꼴을 아는 것은 
다른 사람의 얼굴을 보고 마음을 읽으며 
인간을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부족한 것을 닦아서 채워 넣으려는 그 순간부터 현명한 자이다. (265p)

이 책이 사람의 꼴을 아는 데에 좋은 매개체가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권도 어서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이 되어도 좋아
김진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유난히 걷기 여행에 관한 책이 눈에 들어온다.
이번에 읽은 책은 <바람이 되어도 좋아>
남극에서 히말라야까지 그녀만의 걷기 여행이 담긴 책이다.

책의 첫 페이지를 넘기니 ’남극’을 여행한 사진과 그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정말 추워보인다.
읽을수록 더 추운 느낌이 든다.
영하 30~35도 사이라니!
지금 이곳은 거기에 비하면 추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하니,
"남은 내 생에 다시 오지 못할 확률 99.999퍼센트......" (75p)라는 말이 확실히 와닿는다.
내 평생 그 곳에 가지 않을 확률 또한 99.999%

여행을 좋아했던 나는 더이상 떠돌아다니지 말고 정착을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그래야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너무 뻔한 나의 미래에 두려워지고 있다는 것...그것이 요즘 느끼는 현실이다.
그래서 저자가 일기에 적어 넣었다는 글귀가 마음을 울린다.

만약 내가 백수가 되어도 나는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회사와 집을 오가는 미래는 나를 공포스럽게 한다.
나는 원래 여행가가 되었어야 한다. (275p)

하지만 일단 아무 것도 저지를 수 없는 현실에서
잠깐 이렇게 책으로나마 마음 속의 일탈을 경험해본다.
내 평생 가지 않게 될 곳 대부분과 내 평생 꼭 가게 될 곳 한 군데를 찜해놓고,
’언젠가는...’이라는 시간을 기다리며 오늘도 하루를 보낸다.
이 책은 시들어가던 나의 마음을 활활 불태워주는 열정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전에 가장 눈길을 끌었던 것은 작가의 말이었다.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이야기였습니다. 
고종황제의 막내딸로 태어났지만, 황녀로서의 고귀한 삶을 살지 못했던 여인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흔적도 없이 잊혀져버린 그 삶이 너무 아파 도저히 떨쳐낼 수 없었습니다."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내가 알고 있었던 것이 사실 그것이 다였다.
더 알려고 하지도 않게 되었고, 더 알게 되지도 않았다.
그저 그렇게 역사 속에서 짧은 문장으로...그것도 잊혀져가고 있는 황녀의 이야기 <덕혜옹주>를 이번에 읽게 되었다.

그녀에 대한 책이 국내에 단 한 권밖에 없다는 사실, 그것도 일본 번역서로 밖에 없다는 사실이 정말 의외였다.
왜 아무도 그녀의 삶에 대한 글을 쓰지 않았던 것인가?
왜 아무도 그 이야기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인가?

어느 시대라고 마냥 좋기만 한 때는 없겠지만,
특히 암울했던 시대...나라를 빼앗긴 망국의 시간들은 '황녀'라는 위치가 더 고통스러웠을지도 모르겠다.
일본에 볼모로 잡혀가서 감내해야 했던 시간들이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황녀이면서 자신의 생각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상황이 답답했다.
특히 일본으로 갈 수밖에 없었던 상황, 일본인과 결혼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 정신병원에 들어가서 보내야했던 세월을 읽으며 마음이 먹먹했다.

나는 그동안 왜 그렇게 역사에 대해 외면했던 것일까?
관심을 갖고, 궁금한 마음을 갖고, 바라보았어야 했다는 생각을 해본다.
나의 과거, 내 나라의 과거, 우리의 역사, 곧 우리의 뿌리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모른다
정이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이현 작가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달콤한 나의 도시>에서 였다.
재미있게 읽으면서 도시인들의 삶을 바라보는 시간이 되었다.
읽던 시기가 내 나이 서른이 넘어갔을 때여서 그런지,
내가 도시에서 살고 있는 30대 여성이어서 그런지,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에 중간중간 공감하며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이번에 정이현 작가의 작품 <너는 모른다>가 나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기대를 했다.
그리고 벼르고 벼르다가 이번 주말에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시체가 발견된 것은 오월의 마지막 일요일 오전 열시경이었다.'라는 무시무시한 이야기로 시작되었다.
도시의 차갑고 살벌하고 외로운 느낌을 주는 문장이었다.
그렇게 시작된 이 책의 이야기는 어느 날, 
김상호의 딸이자 진옥영의 딸, 김혜성의 배다른 동생이자 김은성의 배다른 동생인 '유지'가 사라지면서 속도가 붙는다.

저마다 상처 하나 씩 품고 사는 가족들,
각자 품고 있는 아픔이 커서, 다른 사람의 아픔까지 보듬으며 어우러지기에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가족의 모습이다.  
가족이라는 것이 원래 그렇지만,
너무 가까워도 숨막히고,
너무 멀어도 타인 같은 거리감에 오히려 타인보다 멀어지게 마련이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결속되기에는 각자 가진 이야기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유지'가 사라지면서, 김상호는 김상호대로, 진옥영은 진옥영대로, 김혜성과 김은성은 또 그들대로
각자의 죄책감을 느끼며 유지의 실종을 받아들인다.
그러면서도 서로 속마음을 이야기하며 풀어나가지 않고
'너는 모른다'라는 제목 그대로 다들 자신만의 장벽으로 
자신의 모든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처음에 느닷없는 '시체' 얘기로 궁금한 마음에 다음 부분을 읽어나갔다면
중간 이후에는 도대체 유지는 어디있는지, 발견하게 되기는 하는 건지 궁금한 마음에 끝까지 읽게 되었다.
그렇게 이 책을 읽으며 각기 다른 아픔을 숨기고 있는 가족들의 모습을 지켜보게 되었다.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은 '가족'의 모습은 책 속에서나 볼 수 있는 화목하고 아름다운 모습이 아니라
그냥 현실 속에서 있을 법한 차가운 도시 속의 가족일거라 생각하니
쓸쓸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오류
뤼디거 샤헤 지음, 박성원 옮김 / 열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예전에 <시크릿>을 읽고 힘을 얻은 적이 있다.
내가 지치고 힘들 때 나에게 힘을 주는 책이었고,
그것 하나만으로도 
다른 논란과는 관계없이 
나에게 의미 있는 책이고, 주기적으로 읽고 싶은 책으로 삼았다.
여행을 할 때 가지고 가서 읽으며 에너지를 충전하고 오기도 했고,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을 무의식적으로 집어 들었다가 새로운 힘을 얻기도 했다.

이번에 읽은 책은 <마음의 오류>다.
100만 독일인을 감동시킨 <마음의 자석>, 이 책으로 ’유럽판 시크릿’ 이라는 별칭을 얻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마음의 오류>는 <마음의 자석> 다음으로 출간한 책이다.

표지나 구성, 두께를 보았을 때, 그리고 이미 ’유럽판 시크릿’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서인지,
<시크릿>과 비교하며 읽게 되었다.
그리고 얇은 책 두께에 비해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책장이 넘어가는 데에는 시간이 좀 걸렸다.

이 책은 우리의 눈을 가리는 일곱 가지 베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무의식, 두려움, 사고, 욕구, 내적 갈등, 정념, 자기기만 등 일곱가지의 베일과 그 뒤에 숨어 있는 진실을 알려준다.

베일이란 말하자면 당신이 세계와 삶, 사건, 사물, 사람들 혹은 자기 자신을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하게끔 만드는 힘이나 상태다. (10p)
베일은 일종의 착각이다.
실재하지 않는 힘이다.
우리는 그 문제 속에 빠져들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관찰자 입장에서 지켜봐야 한다.
그리고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문제들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겠지만,
베일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벗어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 책에서 관심있게 읽은 부분은 '자기 기만' 부분이었다.
아무래도 지금 나에게 가장 생각해볼 부분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언젠가는 모든 것이 잘될 거야. 이것은 우리의 희망이다.
오늘은 모든 것이 잘 되고 있어. 이것은 우리의 착각이다." 볼테르

삶이 원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지킬 수 없다. 삶과 함께 흘러가는 것이 우리의 과제다. (186p)

앞으로 나의 삶은 어떻게 흘러가야할지.
좀더 깊이 생각해봐야겠다.
그것이 지금 나의 과제다.

일곱 가지의 베일에 대해 생각해 본 후, 
마지막 부록에 담긴 표를 보며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삶이 나를 시험하는 어느 순간이 오더라도 ’베일’을 떠올리며 마음의 오류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