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이 말하는 그리스도교는 과연 무엇일까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신이 더 이상 자신과 하나가 되지 않았을 때에만 우리는 신과 하나라고 한다. 신 또한 자신을 버리지 않는 이상 신이 될 수 없으며 그것은 곧 이데올로기적 사상과도 맞물린다.보스틸스는 지젝이 유물론자이며 철저한 기독교인으로 신은 신성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신은 인간 안에 있지만 인간적이지 않다는 것을 가리키며 비인간적인 중핵 즉 무신론적 중핵을 유물론의 관점에서 인간성을 지탱하기 때문에 지젝은 유물론과 기독교의 필연적인 연관성을 주장함에 있어서 한계에 다다랐음을 비판한다.
마르크스 절친 앙겔스는 변증법에서 3대 핵심 법칙으로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 양질전화 부정의 부정을 내새운 만큼 그 후 스탈린은 마르크스주의 변증법과 유물론을 국정 철학으로 보았다. 기독교는 시작부터 근대성을 품은 유일한 종교이며 헤겔의 논리는 실재 논리이고 헤겔은 진정으로 기독교인이라는 세 가지 주장을 제시했다. 만물의 근원을 물질로 보고 모든 정신 현상도 물질의 작용이나 그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유물론자 지젝에게 있어 기독교는 신과 함께가 아닌 신과 인간 사이의 틈으로부터 신과 하나가 될 수 있으며 공포를 자아내는 힘이고 신의 은총을 기반으로 한 종교라 하며 신은 인간의 몸 안에 있는 내재적인 초월이라 한다.
오직 자신 유물론자만이 기독교적 핵심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하며 유물론자 임을 자처하는 지젝. 그는 그리스도교의 핵심을 정확히 이해하고 무신론이 그리스도교와의 대화에서 얼마나 깊이 있고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그가 존 밀뱅크가 써낸 【예수는 괴물이다】를 통해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과연 그가 이야기하는 것처럼 신 스스로가 무신론자라는 역설적인 사상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 오히려 무신론자야말로 그리스도교를 더 이해하고 더 훌륭한 그리스도인이 되지 않을까라는 지젝의 종교적인 사상을 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무신론자임에도 훌륭한 기독교인이 되어야만 한다는 그의 생각은 날 한참 동안이나 고뇌에 빠지게 만들었다. 그의 그리스도교적 본질을 더 꿰뚫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