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
아시자와 요 지음, 김은모 옮김 / 하빌리스 / 2021년 10월
평점 :
품절


아시자와 요의 신작 추리소설!아이들을 지키기 위한 신의 선택은? 어떤 미스터리한 이야기가 펼쳐질지 기대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으로 보는 돈의 역사 - 명화로 읽는 돈에 얽힌 욕망의 세계사
한명훈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으로 보는 돈의 역사

한명훈(지음) | 지식의 숲(출판)

돈이 있는 곳에 인간의 욕망이 있다.

책중에서

어쩌면 당연하다고 해야 하는 것인가? 그림으로 보는 돈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도 갔었다. 인간이 있는 곳에 돈이 있었고 돈이 있는 곳에 인간이 있었다.

유럽의 은화는 바닷길을 통해 전 세계로 유통되어 달러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흑사병으로 유럽 경제가 초토화되었던 중세 암흑시대. 무너졌던 화폐경제는 유럽 각지에서 채광된 은화를 중심으로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했다고 한다. 돈으로 보는 인류의 역사는 실로 대단했다. 신기하기도 했지만 부스 앞에 장사 없다고 부는 곧 권력을 상징했던 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 없는것 같아 씁쓸하기도 했다. 그들의 욕심은 끝이 없었고 그것은 곧 멸망으로 이어졌다.

역사를 살펴보면 국가의 흥망성쇠가 유대인에 의해 좌지우지된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돈, 즉 자본력 때문이다. 유대인들이 로마의 돈과 상업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로마는 결국 인플레이션과 황제의 타락으로 인해 멸망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가 유대인을 욕할 자격은 되는가?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이다. 그들은 핍박받는 생활 속에서 자신들을 지켜내기 위해 그저 돈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 테니 말이다.



단테는 신곡에서 지옥에서 고통받는 고리대금업자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했다고 한다. 그 유명한 단테의 신곡도 다시 한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책을 읽을 때마다 역사와 신화가 관련된 책이 많은 이유도 어쩌면 인류는 반복된 역사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음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들... 왜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미래는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인데 우리는 또다시 앞에 앞에 권력 앞에서 무너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돈이 인간의 삶과 질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결코 부정할 수만은 없다.

하지만 돈이 늘 행복감만을 가져다 주지는 않지 않은가? 돈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과연 어디까지인지 책을 통해 더 낱낱이 파헤쳐 졌다. 실망감이 뒤따라왔지만 어쩔 수 없었다. 돈의 역사는 곧 신화의 역사와도 같아 보였다. 나라마다의 깊은 역사는 곧 돈과 연관돼있고 그 나라의 역사에 이제 화폐는 빠질 수 없는 소유물이 되고 말았다.

인간의 탐욕은 신화에서도 빠질 수 없는 것이니만큼 아직도 인간의 탐욕스러움으로 벼랑 끝에 서 있는 나라들이며 개인들이 이 세상에 많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그림으로 보는 돈의 역사는 단순한 역사 이야기가 아닌 우리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두 번 다시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삶을 살기 위해 그들의 역사를 읽고 뉘우치며 우리의 역사를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

앞으로의 인류는 돈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지는 삶이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다른 그 어떠한 세계사보다 더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고 안타깝게 읽었던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누가 왕의 지위에 대적하고 길가메시처럼"짐이 왕이다"라고 선포할 수 있을까? 태어난 날부터 그의 이름은 길가메시, 삼분의 이는 신이요, 삼분의 일은 인간이었네

p264

신들은 어머니 여신에게 길가메시를 상대할 만한 엔키두의 창조를 맡기는데... 인간을 창조한 것은 아루루,우열을 가리기 위한 결투가 여기저기 나타난다. 길가메시 어머니 닌순 여신,엔키두와 두 번째 사랑을 나누는 매춘부엔키두에게 야생을 떠나 우루크로 가서 인간 사회에서 자리를 잡으라고 권하는데... 인간의 본성을 성스럽게 대하는 그들의 모습이야 말로 성을 존중하고 가장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길가메시와 엔키두,삼나무 숲 원정, 저승 이야기 등 내 상상을 초월하는 이야기들로 가득한 길가메시 서사시! 신화 속 이야기는 역시 흥미로움으로 가득 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달 1 (일러스트 특별판) - 세 명의 소녀 고양이달 (일러스트 특별판) 1
박영주 지음, 김다혜 그림 / 아띠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그립지 않은 순간은 단 한 번도 없었지만 전 늘 혼자였어요.

왜 버려졌는지도 몰라요. 억울하기도 하고, 원망도 했지만 그렇다고 미워한 적은 없어요.

엄마니까요. 엄마이기 때문에 다 괜찮아져요. 둘째 따님도 그럴 거예요. 그러니까 이대로

떠나도 자식들은 여전히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

p153


엄마라는 이름의 단어가 동화 속에서는 더 슬프게 들려왔다. 루나와 노아는 주황 마을 엄지 엄마의 빛 장례식장에 참석하러 떠나는데... 옛날 죽어가는 루나를 나무 기둥을 깎아 즙을 내어 살려준 오린고나무,엄마가 자신을 위해 자식을 버렸다고 생각하는 둘째 딸 , 하지만 이내 속마음을 진실하게 전달하며 엄마와의 오해를 풀게 된다.



노아가 엄마도 자신을 버렸다며 감정을 이야기 하는 부분은 나도 마음이 슬퍼졌다. 하지만 여전히 엄마를 사랑한다는 그 말이 왜 이리도 절절한 것인지... 하늘로 승천한 엄지 엄마와 자식들 남편들의 작별 인사는 나 또한 마음이 뭉클했다.



가족들 간에도 오해는 생기기 마련이다. 어떻게 하면 서로 상처 주지 않고 잘 보듬을 수 있을까? 엄마에게 또는 부모에게 가족에 거 상처 주었던 말들이나 행동들이 나중에 얼마나 후회로 돌아올지 상상해 본다면 아니 엄지와 엄지 엄마와의 대화를 읽게 된다면 생각이 바뀌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을 찾아서
하라다 마하 지음, 문지원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악을 통한 성장이야기는 또 다른 여운을 남긴다.그 감동을 느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