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르미날 2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17
에밀 졸라 지음, 강충권 옮김 / 민음사 / 2022년 11월
평점 :

『제르미날2』
에밀 졸라(저자) 민음사(출판)
제르미날 1권에 이어 2권의 책장을 펼쳤다.1권은 등장인물들의 섬세한 묘사와 프랑스 몽수의 탄광촌의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었다면 2권에서는 등장인물들의 관계 속에서 작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사건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전개가 급속도로 빠르게 나타난다. 탄광촌에서 일을 한다는 것은 생각만으로도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노동자들은 대를 이어 탄광 일을 하게 되고 근무환경 또한 열악했지만 그런대로 그들은 살아간다.
주인공 에티엔이 임금 삭감으로 인해 파업을 주동하며 노동자들의 마음에 불씨를 피웠고 노동자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의 파업이 정의와 평등사회에 일원할 것 같았지만 실제적으로 그들의 파업은 그 당시 참으로 위험한 수단이었음을 그들은 몰랐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뻔한 결과에 맞서 외치는 그들의 마지막 처절한 몸부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어가면서 내 예상이 빗나가길 바랐건만 무리였던 것일까? 파업은 결국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는 예감 말이다.
노동자들은 왜 더욱더 철저하게 계획하지 못했던 것일까? 빵을 달라며 절규하는 노동자들을 아마도 난 제르미날을 다 읽은 후까지 그들의 목소리가 귓가에 맴돌 것 같다. 많은 독재 정치로부터 일어나는 사건들이 뇌리를 스쳐 지나간다. 노동자들의 외침 속에 엔어보 사장은 자신이라고 행복하냐는 자신의 내적 물음 속에 확답할 수 있었을까? 어쩌면 가장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그 모든 것들이 이들 노동자들에겐 그저 꿈이었을까? 결국 죽음만이 그들의 삶을 대변할 수 있단 말인가?
옛날에도 현대에도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어진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권력이 있어도 돈이 풍족해도 늘 자신들의 욕망을 찾기 바쁜 인간들의 삶은 어쩌면 자신들의 처지를 낙관하고 받아들이며 살기 위해 살아가고 있는 노동자들에 비할 것이 못되지 않나 싶기도 하다. 하지만 그런 노동자들이 갖고 있던 결핍이 분노를 낳고 폭력사태에 이르는 것을 지금 또한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마지막으로 작가 에밀 졸라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희망의 빛을 남긴다. 그것은 곧 앞으로 나아갈 우리 사회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애이자 광부들에 대한 계급의식이 싹 틔우고 있다는 것이다. 졸라의 시적 언어와 플롯으로 작품의 깊이를 한층 더 깊게 느낄 수 있게 해준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은 노동과 자본 간의 투쟁과 자본의 노예가 되어버린 인간의 모습, 성적 욕망과 억압 속에 살아가는 인간들과 계급이 나뉘어버린 그들의 성생활과 부부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거침없이 보여주고 있다. 자신이 직접 탄광에 들어가 광부들과 생활했기에 프랑스 탄광 노동자들의 삶을 너무나도 생생하게 묘사했던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메시지를 남겨주었기에 기억에 더 오래 남을 작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