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라우마 - 가정 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주디스 허먼 지음, 최현정 옮김 / 사람의집 / 2022년 6월
평점 :

『트라우마』
주디스 루이스 허먼(저자) 사람의집(출판)
생각했다. 누구에게 나 있을법한 그 무언가를 나 또한 갖고 있는지 그것이 무엇이든 내 머릿속이 든 가슴속이든 사라지지 않는 것에 대하여.. 지우려 해도 지워지지 않는 까마득한 어둠 속에서 어쩌면 한줄기 빛을 바라보며 살아왔는지도 모를 수많은 사람들. 그들은 생존자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권리마저 무참하게 짓밟힌 채 살아왔지만 그래도 놓을 수 없었던 건 아마도 자신이었을 것이다.
트라우마라는 책 제목에서 밀려오는 수많은 생각들에 머리가 질끈 저려오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책을 마주하기를 나 스스로가 바랬는지도 모르겠다. 깊은 내면에 자리 잡혔던 그 아픔과 슬픔을 모조리 꺼내 훨훨 털어버리고 싶었는지도...
많은 주제들이 함께했고 특히 아동학대는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았던 아이들 그들이 커서 성인이 되어 어린 시절을 다시 떠올렸을 때 밀려오는 불안들과 마주해야 했고 그것은 곧 아직도 어딘가에서 부모라는 권리로 자식을 자신의 소유물로 대하고 있는 철저하게 이기적인 부모들이 생각나기도 했다.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는 아동학대 사건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아이들 이 아이들은 온전히 아프고 아픈 상처를 끌어안고 세상을 향해 나아가고 있지 않을까? 선과 악이 공존하기에 더 선에 의존하며 악에 맞서 싸우고 있는 피해자들과 생존자들 그들에게 희망의 빛을 주기 위해 저자 허먼은 트라우마를 쓰지 않았을까?
트라우마도 인간이 인간에게 받은 내적 외적 상처이기에 다시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상처를 치유받기 위한 단계에 우리는 서서히 다가서고 있다. 프로이트 이후 가장 중요한 정신적 의학서로 도 불리는 트라우마를 읽게 됨으로써 지금의 삶의 잣대가 무엇을 향해있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길잡이가 되어주기에 충분해 보인다. 저자는 성폭력 그리고 가정 폭력 피해자와 20여 년간 함께한 임상 작업과 연구를 통해 이 책을 내놓았다고 한다. 그래서 어쩌면 그의 글들이 더 마음속에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늘 그렇듯이 난 책을 읽을 때에 저자의 마음도 한 번쯤 생각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마음의 상처 마음의 아픔 드 모든 것들이 백 프로 다 사라지진 않겠지만 그래도 그들에게 치유가 되길 바라는 마음은 여전하다.
가장 무서운 것이 인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세상은 많이 변했고 가해를 행하는 인간들 역시 점점 진화해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트라우마는 피해자들의 생생한 증언뿐 아니라 그런 피해자들에게 트라우마의 본질과 치료 방향에 대해 제시한 만큼 어쩌면 앞으로도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커다란 힘이 되어줄 책이 될 것이다. 트라우마로 얼룩져있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내면의 긍정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고 싶다면 당장 트라우마를 잡아라! 그것이야말로 앞으로의 삶에 긍정적으로 지대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