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뷔히너 전집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47
게오르그 뷔히너 지음,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2월
평점 :

『뷔히너 전집』
게오르크 뷔히너(저자) 열린책들(출판)
젊은 나이 요절한 비운의 작가. 그것만으로도 어쩌면 뷔히너의 작품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를까?
게오르크 뷔히너의 작품은 이번이 처음이라 더 기대가 컸던 것일까? 결론은 역시다! 밑바탕은 고전이었겠지만 어쩌면 이 작품을 계기로 난 독일문학에 더 가까이 다가간 느낌이다.
뷔히너 전집의 첫 번째 이야기 당통의 죽음! 서로가 서로를 잘 안다고 생각한다면 정말 그럴까? 아니면 나만의 착각일까? 상대방의 목소리는 죽음을 알리는 종소리 상대방의 가슴은 나의 봉분, 심장은 나의 관! 에로와 부인 그 외 몇 명이 테이블에서 카드놀이를 하고 있으면서 나누는 대화들이 꽤나 심오 있게 다가온다. 프랑스 대혁명을 배경으로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혁명가들 그들의 이야기 당통의 죽음! 그들이 말하고자 했던 혁명, 누구를 위한 혁명이고 무엇을 위한 혁명이란 말인가?!혁명 지도자 당통과 로베스피에르 그들 갈등의 끝은 무엇일까? 대본류의 소설은 익숙하지 않지만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는 것 같다. 읽으면서도 또 읽게 되는 글귀들 따로 적어두고 싶을 정도이다!,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들 그 시간들을 우리는 지금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인간은 그 누구도 아닌 자신을 위해 살아야 한다지만 모두가 그렇지만은 않다. 당통과 로데스 피에르는 자신들이 갖고 있는 생각의 차이가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자신의 방식대로 억압받지 않고 자유롭게 살길 원하는 당통과는 반대로 그런 당통을 이해하지 못하는 로베스 피에르. 결국 둘의 갈등이 파국으로 맞이하게 된단 말인가? 걷잡을 수 없는 로베스 피에의 생각과 그 주변 인물들... 큰일이다! 당통 어쩐단 말인가...
등장인물들의 대사가 어쩜 이리 기억 속에서 떠나질 않는 걸까? 특히 뷔히너 전접을 다른 그 어떤 작품보다 뇌리에 깊게 박히는 대사들이 너무나도 많다. 혁명을 만들기 위함이 그들을 만들어버린 혁명! 끝없이 서로가 서로를 물고 헐뜯는 그들... 마치 지금의 우리를 보는 것 같다. 우리 인류 앞으로도 영원히 풀리지 않을 숙제들이 아닐까? 보이체크와 마리. 그 둘 사이에서 태어난 아기. 하지만 자식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는 아버지 보이체크. 그의 삶이 지금부터 펼쳐진다. 뷔히너 전집의 두 번째 이야기 보이체크는 1780년 라이프치히의 가발쟁이 아들로 실존 인물이라고 하니 더 궁금해지는 그의 삶. 과연 어떻게 그려질까? 보이체크 또한 미완성 희곡으로 읽는 재미가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재미지다. 마리 그녀에게 남편은 그저 인색하기만 하고...
그런 마리에게 나타난 또 다른 남자 하사관. 왠지 불안하다. 보이체크와 마리 이들 부부에게 앞으로 어떤 일들이 펼쳐질까? 보이체크 그에게 점점 다가오는 어두운 그림자들... 군의관들과 마리와의 인연은 곧 악연이 되고 그 악연은 이제 보이체크의 인생마저 흔들리게 하는데...뷔히너 작품을 읽다 보면 작가의 세계관이 보인다. 어쩌면 그뿐만이 아닐지도... 그래서 고전을 사랑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그만의 작품세계 그 시대적 상황들. 그것을 모두 알 수 있는 것 그것이 야마로 내가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이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