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반철학 - 내 삶에 균형추를 달다
리칭쯔 지음, 김미경 옮김 / 움직이는서재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을 살다보면 많은 일들을 경험합니다. 간절하게 원하는 상황에서 성과는 미흡하기도,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가 돌아오기도 합니다. 그 만큼 알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인생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분들에게 현실에 대한 조언과 자신을 강하게 만드는 힘을 키워주는 것 같습니다. 나이가 많든 적든, 경험이 오래 되었든 아니든, 인생의 무게와 결과는 비슷하게 귀결된다는 말을 전하고 있습니다.
책의 구성을 보면 에세이 형식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쉬운 문장과 구조를 구성하고 있지만 그 속에 담고있는 의미는 와닿고, 공감이 됩니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비교와 경쟁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 것 같습니다. 누구의 책임도 잘못도 아닌, 발전을 거듭하며 자연스럽게 형성된 모습인 것 같습니다.
삶이 편안해 질수록 사람들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그것이 물질적인 것이 될 수 있고, 대인관계가 될 수도 있습니다.
노력에 따라 그 이상이 따라오던 시기는 지났습니다. 비움과 내려놓음에 대한 인식이 필요한 시기가 더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의 엄청난 성과가 누군가에게는 낙담과 좌절로 되돌아 갈 수 도 있습니다.
적절한 만족과 욕심을 비우고 현상을 유지하고, 평정심을 찾고 꾸준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고대의 철학에도 자주 등장하였고 현인들이 자주 주장했던 사상의 논리와도 많이 일치합니다. 인간이 살아가는 삶에서 절대적인 가치가 몇 개 있습니다. 개인의 차이가 있겠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그런 것들 말입니다.
도의적인 가치, 삶의 가치와 기본적인 윤리, 사람에 대한 사랑과 행복에 대한 만족 등이 그렇습니다. 기본적이지만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입니다. 자신의 성공을 위해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나 남의 불행을 정당화하는 모습이 우리 사회에는 쉽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상처를 받고 좌절하고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기에 이런 책들은 힐링적인 요소가 더 강하게 다가옵니다. 자신이 주는 무언 가에 대가를 바라지 말고 마음이 가는대로 베푸는 것입니다. 돌아올 것은 오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실망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것이 인생이며 이런 진통을 통해, 우리는 성숙해지는 것입니다. 이 책의 주요 내용 중에서도 저는 대인관계와 관련한 많은 글귀를 보면서 크게 감명받았습니다. 주는 것에 대한 기대를 너무 하지마라는 말이 제게는 크게 다가왔습니다.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주면은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고착적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나눔의 미덕과 베품의 아량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이런 명언이나 글귀는 돌고 도는 유행이 되었지만, 현명한 대처와 자기 관리와 유지를 위해서는 중심을 잡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기회가 있으면 위기도 있습니다. 인생사는 이런 점에서 공평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반만 만족하고 반은 기대를 접고 새로운 것도 몰두하고 그렇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어찌보면 평범함을 유지하면서 자신을 지키는 방법같습니다. 독자들의 차이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겠지만 인생에 대한 생각을 해보거나, 살아온 경험을 되돌려 본다면 많은 부분에서 크게 공감 할 것입니다. 이 책이 주는 의미는 기본에 충실하며 비움과 버리는 연습이지만 그 만한 가치를 말하고 있습니다. 가볍게 읽기에도 무리가 없으며, 읽으면서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도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