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하 : 타이완 의열투쟁 조명하 - 제1차 위대한 시민의 역사 33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
조명원 지음 / 광복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보다 30년 일찍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대만으로 건너가 천황의 장인 구니노미야 육군대장이 대만을 시찰하러 왔을 때 독이 묻은 칼로 차에 뛰어 올라 목숨을 노렸으나 스치기만 하고 미수에 그쳤다.
1928년 6월 15일 중외일보에 의거소식이 실리고 10월 10일 타이베이 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져 순국한다.

조명하 선생 의거 이후 구니노미야는 일본으로 귀환하였으나 의거 8개월 후 사망한다. 직접적인 사망원인은 복막염이었으나 조명하 의사가 던진 독 묻은 칼에 스친것과 무관하다고 할 수 있다.

짧은 인생이었지만 평생을 천황을 죽이는 일념으로 독립운동을 한 그였다.



˝이곳 대만에서 구니노미야를 척살하여 조국독립의 불쏘시개가 될 것인가? 아니면 뜻한 바대로 상해로 건너가 김구 선생의 동지들과 함께 할 것인가˝ 고민했던 조명하 선생.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그러했듯,
목숨을 던지는 일에 한치의 주저함도 없었던 그들이 있었기에, 이 땅에 새겨진 독립에 대한 열망의 꽃은 지금도 향기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복회의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는 성남시, 성남문화재단의 <독립운동가 100인 웹툰 프로젝트> 제1차에 참여한 33인 작가들의 글과 그림을 책으로 엮어 세상에 널리 알리고자 한 사업이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혹시나 도서관마저 문을 닫게 될까봐 부랴부랴 1인 대출한도 10권을 채우기 위해 빌려 읽고 있는 2권의 책을 뺀 나머지 8권을 빌려왔다. 먹고 사는 문제도 아닌데..이러는 내 모습이 우습기도 하다.


올해 출간된 33인의 독립운동가 중 21번째부터 28번까지 8권의 책을 소개해 본다.(연번은 임의로 달았다.)
올해 33권의 끝이 보인다. 다 읽고 나면 읽은 것 중에 좋았던 책들을 딸에게 읽힐 예정이다. 읽힌다(?)라고 하니..무릇 독서란 게 이런게 아닐진대...


TV프로그램 <선을 넘는 녀석들> 지난 회차를 보면 3.1절 특집, 광복절 특집 편에 독립운동가의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같이 병행하면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자세한 일화들을 공부할 수 있겠다.



21번, 윤세주 <영원의 총탄, 윤세주>
22번, 남상목 <의로운 총, 민족의 탄환이 되어>
23번, 김용환 <파락호, 김용환>
24번, 김익상 <독립을 드림>
25번, 이봉창 <나, 이봉창>
26번, 고광순 <불원복 고대장>
27번, 김상옥 <그가 찾던 나라>
28번, 조명하 <타이완 의열투쟁, 조명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보는 작가 ~
자우메 카브레의 작품이 3권 연달아 나왔네요. 369번, 370번, 371번으로 스페인 문학입니다.
알라딘에서 자우메 카브레를 검색하니
딱 이 책만 검색이 될 정도로
생소한 작가네요

민음사와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이 서로 중복되지 않게 출판되니 좋으네요.
잊을만하면 적당한 텀을 두고 툭툭 신간이 나오니 부담도 안되고 돈쓸 맛(?)이 납니다.ㅠ 흐 책표지가 구매욕을 자극하네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0-12-14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생소한 작가네요.
읽으면 좋을 것 같긴한데 넘 두껍네요.ㅠ
 
이육사 : 초강의 사 - 제1차 위대한 시민의 역사 33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
천명기 지음 / 광복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감번호 264, 이원록
유일한 혈육인 딸 이옥비 여사님이 관장으로 있는 안동 이육사 문학관에
꼭 가보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짪은 40년의 인생에서 17번이나 옥살이를 하면서도 저항의 총과 붓을 놓지 않고 끝내 감옥에서 순국한 선비.

시인이 아닌 항일무장투사로
˝청포도˝와 ˝광야˝보다
˝의열단˝˝조선혁명군사 정치간부학교 출신의 무장투쟁가˝가 이육사(본명 : 이원록)를 추념하는 키워드가 되길 희망하는 작가의 글을 읽고,

중.고등학교때 이 책을 읽었더라면
그렇게 시험에 많이 출제된 시라도
정답을 맞추는 공부로써가 아니라
팬심으로 그의 시를 사랑했으리라.


어제 <선을넘는녀석들> 지난 회차 중
을사오적에 관한 주제를 봤는데
그들이 저지른 죄의 중함만큼
일제로부터 받은 땅과 현금, 작위, 각종 특권들이 어마어마했다.
독립운동가들의 행적만큼이나
친일파들의 행적을 자세히 부각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는 프로그램이었다.
특히 해방되기전 냄새를 맡고 비밀리에 현금화한 그들의 부는 밝혀지지 않은 채 지금도 계속되며 후손들은 캐나다 등 외국으로 이민을 갔다고 한다. 지자체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생가터나 주요사건들이 벌어진 곳에 기념비를 세우고 넋을 기리는 등 훌륭히 세금을 쓰고 있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지만, 친일 매국노들의 흔적을 보존해서 자세히 공부하게끔 일벌백계하는 사업 또한 의미가 크다 하겠다



당장 을사오적을 대라하면
5명 전부 알고 있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반드시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