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답게 산다는 것 - 다산 정약용이 생각한 인간의 도리, 그리고 법과 정의에 관한 이야기
정약용 지음, 오세진 옮김 / 홍익 / 2019년 9월
평점 :
품절


20191020_025346.jpg

p.172. 다산은 어떤 형사 사건을 처리할 때는 그것이 하나의 판례가 되어 향후에 사회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20191020_025514.jpg

정조의 신뢰를 한 몸에 받았던 인물인 다산 정약용은 천재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생각을 가진 인물임은 확실한듯하다. 정치적인 논리로 유배 생활을 하게 된다면 보통의 사람들은 어떤 생각으로 어떻게 지내게 될까? 다양한 모습의 유배 생활을 그려볼 수 있겠지만 유배 생활 중에 엄청난 저서들을 만들어 낼 생각은 다산만이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다산은 유배 중에 조선의 정치 제도 개혁 방안을 담은「경세유표(經世遺表)」,지방 관리들의 폭정과 그것을 바로잡을 수 있는 지침을 담은「목민심서(牧民心書)」그리고 조선 시대의 형법, 법 실행 과정, 판례 등을 모아 담은「흠흠신서(欽欽新書)」를 저술한다.


이 책<인간답게 산다는 것>은 다산의 흠흠신서」에 수록된 사건들 중에서 36건살인사건을 보여주고 있다. 18세기 조선시대의 살인 사건의 원인, 판결, 수사 과정까지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이 들려주는 가장 흥미롭고 재미난 이야기는 정조의 판결에 다산이 논평을 달아놓은 부분이다.


외도를 저지른 배우자를 죽였다면 살인일까? 아닐까?


흠흠신서논평이 흥미로웠던 것은 임금인 정조와 신하인 다산의 의견이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어떤 사건에서는 의견을 같이 하지만 또 다른 사건에서는 의견을 달리한다. 그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정조의 열린 마인드는 오늘도 싸우고 있는 극한의 이념쟁이들이 본받았으면 좋겠다.


인간답게 산다는 것에 대한 조선 사회의 생각을 다산 정약용을 통해서 들어볼 수 있었다. 다산이 들려주는 조선 사회의 모습은 역시나 유교 사상이 지배하는 답답하고 꽉 막힌 계급사회의 모습이었다. 그래서 법의 적용이 편파적이고 유동적이다. 비슷한 사건의 판결이 양반과 노비가 다르고, 남성과 여성이 달랐다. 그래도 이 책에 담긴 진짜 범인을 잡기 위해, 사건의 진실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는 정조와 다산의 모습에서 그래도 근본적으로 인간을 사랑했던 두 선지자들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20191020_025416.jpg

이 책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다산 정약용이 흠흠신서」에서 강조하는 것은 법 집행은 '인지상정'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상식에 부합하게 법을 집행하라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정조의 판결을 다산이 논평을 통해 비판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들여다본 정조는 정말 사람 좋은 임금이었던 것 같다.


친족(親族)의 원수를 갚는 복수 살인은 용서받을 수 있었을까?


법보다는 인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있는 듯한 조선시대 분위기가 오늘의 사회와는 너무나 커다란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정의'를 실현하는 길을 다양하게 열어놓은 조선 사회의 모습이 당황스럽기도 하다. 오늘 우리 사회와는 괴리를 보이는 모습들이 당황스러울 때도 있지만 조선사회에서 벌어진 36가지의 강력사건을 통해서 바라본 18세기 조선의 모습은 인간 냄새가 나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의 기원 톺아보기
찰스 로버트 다윈 지음, 신현철 옮김 / 소명출판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20191017_004206.jpg

p.634. 그리고 이 행성이 고정된 중력 법칙에 따라 자신만의 회전을 하고 있는 동안, 너무나 단순한 유형에서 시작한 가장 아름답고도 훌륭한 유형들이 끝도 없이 과거에도 물론이지만 현재에도 진화하고 있다.(초판489~490)

20191017_004411.jpg

「종의 기원」이라는 책을 모르는 이들이 있을까? 영국의 자연사 학자 다윈의 시대를 앞선 저서로 생물 시간에 배웠던 유전에 꼭 등장하니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나 또한 학교에서 처음 접했고 졸업과 동시에 책 제목과 지은이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종의 기원」이 가진 의미를 생각해보면 꼭 한 번은 읽어보고 싶었다. 인류 진화의 시작을 열었던, 당시로서는 엄청난 혁신과도 같았던 다윈의 생각을 엿보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처음 접하고 쉽지만은 않겠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책의 두께는 소위 말하는 벽돌책이었고, 지면의 넓이는 보통의 벽돌책보다 넓었다. 당황스러운 첫인상의 느낌은 정확하게 맞았다.

20191017_004307.jpg

이 책<종의 기원 - 톺아보기>는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하지만 친절한 역자 신현철이 만들어준 길이 어렵고 난해할 것 같은 완독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역자 신현철은 대학시절 「종의 기원」의 완독에 도전했었고 그때의 어려움을 알았기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만약 역자가 만들어놓은 친절한 주석이 없었다면 완독의 즐거움은 가지지 못했을 것이다. 역자는 종의 기원이 가지는 학술적, 역사적 평가를 고스란히 전하기 위해 1859년에 발간된 초판을 번역하였다 밝히고 있다. 그래서인지 낯설고 이해하기 힘든 표현들도 등장하지만 160여 년 전의 표현을 만나본다는 설렘으로 접해본다면 충분히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이미 오래전부터 유전이나 진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결과물들을 생성해내고 있는 오늘 꼭 160여 년 전의 책 「종의 기원」을 읽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생물 진화에 대한 학술적인 것들도 있지만 우리 인류가 새로운 것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며 도전하고 답을 찾아내는 과정이 담겨있다.

 

p.18. 주석39.다윈이 살던 당신에는 신이 생물을 완벽하게 창조했기에 생물 종 하나하나는 변하지 않은 것으로 믿고 있었다.


종교적인 이유로 위험에 처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다윈은 인류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초판 이후 6판에서는 언급을 삭제했다고는 하지만 선지자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너무나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 전공자가 아닌 나로서는 반도 이해하지 못했겠지만 그래도 인류의 시작을 연구한 다윈의 고뇌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역자의 주석이라는 마법이 어려움을 반으로 줄여주고 있어서 한번 도전해 볼 만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
줄리언 반스 지음, 공진호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20191015_222247.jpg

 

20191015_222138.jpg

p.48. 역사는 우리의 동정심을 민주화한다.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2011년 맨부커상을 수상한 영국 작가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을 몰래 따라나섰다. 시대의 소음을 통해서 안면이 있는 작가인데 그 책을 통해서 만나 본 줄리언 반스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지닌 인물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을 통해서 작가의 또 다른 모습을 만나보았다. 이 책은 미술 작품과 미술가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이다. 그런데 지금껏 만나왔던 에세이들과는 다른 내용과 형식을 보여주고 있어서 첫 만남은 당황스러웠다.

 

첫 번째 이야기 제리코 ; 재난을 미술로를 읽으면서 바로 이 에세이를 가볍게 읽을 수는 없을 것 같았고 느꼈고, 그 예감은 적중했다. 이 책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라기보다는 미술 작품과 미술가에 대한 평론 같았다. 미술에 대한 상식도 부족한 내가 읽기에는 조금 벅차게 느껴졌다. 하지만 다루고 있는 내용이 너무나 흥미롭고 재미난 이야기들이어서 작가의 미술 산책을 끝까지 따라갈 수 있었다. 물론 중간중간 작가를 따라 미술 산책을 후회하기도 했지만 다음 작가의 이야기가 궁금해서 책을 덮을 수는 없었다.

20191016_214713.jpg

 

20191016_214731.jpg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등의 다양한 작가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다섯 번째로 소개된 팡탱-라투르; 정렬한 사람들이 가장 흥미로웠다. 우선 처음 만나는 작가라는 점이 흥미를 끌었고 다음으로는 그의 그림들이 가진 매력이 흥미를 가중시켰다. 마네 막시밀리안 황제의 처형이라는 작품의 설명을 보면서 그림을 올바르게 감상하기 위해서는 그림이 그려진 시대적 상황을 알고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팡탱-라투르의 작품의 설명을 읽으면서는 시대적 배경뿐만 아니라 그림에 표현된 동작 하나하나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표정이나 시선이 너무나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20191015_222520.jpg

p.51. 화가는 강 하류를 향해 술술 실려 내려가 햇빛 가득한 저수지라는 완성된 그림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조류가 맞부딪치는 망망대해에서 항로를 잡고 나아가려 안간힘을 쓰는 것이다.

20191015_222546.jpg

마네와 세잔이 모델을 대하는 모습에서 그들의 작품들이 왜 다른 느낌을 주는지 알게 되면서 이제는 미술 산책을 혼자 다녀도 되겠다는 건방진 생각을 하기도 했다. 바로 이 책이 에세이가 아니라 평론에 가까운 책이라는 증거 같다. 자기 감성을 표현하기보다는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것이다. 미술에 대한 상식이 없어 미술관 가서 무엇을 봐야할지 모르던 나 같은 사람들에게 미술 감상에 참 재미를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20191015_222414.jpg

p.160. 무릇 예술가들의 우정이란 실패보다는, 그게 어떤 것이든 성공으로인해 금이 가기 마련이다.

 

이 책의 에세이들은 작가 줄리언 반스가 영국의 미술 전문잡지현대 화가에 실었던 에세이를 모은 것이라고 한다. 그런 까닭에 작가의 미술 지식이 상당함을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은 이 책 속에서 쉽게 만날 수 있었다. 미술 작품을, 미술가를 바라보는 특별한 관점이 좋았고 그 관점을 표현하는 특별한 형식의 글이 좋았다. 처음 만남은 낯설고 당황스러웠지만 읽을수록 작가 줄리언 반스와 함께 한 미술 산책 시간이 소중하게 느껴졌다.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특별한 방법을 만나보고 싶은 이들이 있다면 소설 작가가 바라본 미술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을 만나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키의 언어 - 더없이 꼼꼼하고 너무나 사적인 무라카미 하루키어 500
나카무라 구니오 지음, 도젠 히로코 엮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1013_192248.jpg

p.684. 하루키스트(무라카미주의자)는 대관절 어떤 사람들일까?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새 세계의 하루키 팬들이 오기쿠보에 자리한 작은 북카페를 찾아오게 괬다. 이제는 카페 이름도 로쿠지겐(ろくじげん)6차원이 아니라 무라카미 카페(ムラカミカフェ)’라고 불린다.

p.685. 어느 날, 나는 결심했다. 차라리 하루키를 연구하자.(중략)그런 마음에서 나의 끝없는 하루키를 둘러싼 모험이 시작된 것이다.

20191013_192332.jpg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팬을 보유하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많은 팬이 있다. 그런 열성 팬들을 하루키스트라 칭하며 그들에게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재미난 책 <하루키의 언어>를 만나보았다. 하루키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다면 하루키 본인보다 이 책의 저자인 나카무라 구니오를 만나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저자는 하루키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다. 그리고 그 결과물들을 마치 사전 같은 느낌의 이 책<하루키의 언어> 속에 담았다.

20191013_192711.jpg

저자는 하루키에 대한 연구 결과물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우선 머리말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커다란 나무로 표현하며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받은 작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는 무라카미 하루키 월드에 들어가기 위한 아홉 개의 키워드로 재미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 책이 다룬 하루키 문학의 창작자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짧은 연대기를 보여주고, 하루키의 작품들을 분석한 이야기를 도표를 이용해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다.

20191013_192456.jpg

무라카미 하루키의 삶과 문학 세계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한 저자는 본문에서 하루키가 사용했던 또는 그와 관련 있는 단어들을 흥미로운 그림과 함께 자세하게 들려준다. 본문은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일본 원서에는 어떤 방식으로 정리하고 있을지 궁금하다. 정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설 듯한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본문의 내용 중간중간 보여주는 저자의 ‘칼이 좋았다. 저자가 들려주는 하루키에 대한 조금 더 깊은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서 특별한 책을 더욱더 특별하게 만들어 주고 있는 듯했다.

 

하루키의 열성 팬은 아니지만 하루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어서 하루키의 책들을 다시 한번 읽게 될 것 같다. 이 책이 가진 매력은 아마도 하루키를 만나게 하는 끌림을 주고 있다는 것 같다. 그 끌림은 열성 팬에게는 하루키 월드를 여행하는 가이드가 되어줄 듯하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하루키 월드로 들어가는 입장권이 될듯하다. 하루키라는 작가를 연구할 정도로 좋아한 저자의 열정이 느껴지는 특별한 책을 통해서 하루키와의 만남을 준비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책자의 인문학 - 천천히 걸으며 떠나는 유럽 예술 기행
문갑식 지음, 이서현 사진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1013_191647.jpg

월간 조선편집장을 지낸 저자 문갑식을 따라 흥미로운 유럽 예술 기행을 떠나보았다. 이 책 <산책자의 인문학>은 제목처럼 정말 동네 산책하듯이 쉽고 편안하게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산책하듯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유럽의 예술과 문화 그리고 역사까지 만날 수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이 책<산책자의 인문학>을 통해서 르네상스에서 현재까지 우리에게 알려진 15인 위대한 예술가들의 특별한 삶을 함께 한 공간들을 만나보는 즐거움은 유럽에 한 걸음 더 다가선듯한 느낌을 준다.

20191013_191718.jpg

이 책은 총 14장으로 구성되었지만 소개되는 예술가는 15인이다. 보티첼리를 시작으로 포사이스에 이르는 동안 저자는 예술가와 유럽의 도시를 연관 지어 설명하고 있다. 그 점이 이 책이 가지는 가장 큰 매력이다.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은 예술가들의 발자취를 따라 찾아 나선 낯선 도시의 모습을, 예술가들의 환상적인 작품을 멋진 사진으로 만나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담백하게 쓴 이야기에 아름다운 사진이 더해져서 유럽의 아름다움을 온몸으로 느끼게 해주고 있는 듯했다.

20191013_191855.jpg

독서가 가진 매력 중에 하나는 모르던 것에 대한 앎을 것이다. 그 앎이 주는 즐거움이 독서의 원동력이 되는 듯하다. 개인적으로 이 책<산책자의 인문학>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것들이 많아서 너무나 즐거웠다. 페트라르카, 포사이스 그리고 르 카레 같은 작가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고, 그들의 작품들을 빨리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에 벌써 설렌다. 저자가 유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추천해준 황금전설도 만나보고 싶고,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작품이라는칸초니에레도 만나고 싶다. 이 책에 소개된 장소를 직접 다 가볼 수는 없겠지만 이 책에서 소개된 책들은 모두 한 번쯤은 꼭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