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꽃 도감 - 눈송이의 형태
사라 잼벨로 지음, 수지 자넬라 그림, 양혜경(플로리) 옮김 / 런치박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학에 대해 많이 알려준 눈꽃 도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꽃 도감 - 눈송이의 형태
사라 잼벨로 지음, 수지 자넬라 그림, 양혜경(플로리) 옮김 / 런치박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1년내내 눈이 전혀 오지 않는 곳도 있지만 한반도는 사계절이 있고 겨울에 눈이 오는 지역도 있다. 어렸을 때 눈이 오면 눈사람을 만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눈을 자주 보지 못하는 곳에 살고 있어 눈 구경이 어렵다. 그렇지만 눈이 오면 아이처럼 눈이 좋기도 하다. 눈의 색깔은 하얀색이라는 것을 알지만 눈의 모양은 어떤지 잘 모른다. <눈꽃 도감>에서는 눈에 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어 눈의 모양, 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왜 색깔이 하얀지도 알 수 있다. 눈 결정이 만들어지는 구름의 아랫부분은 0°C 이하의 물방울로 가득하다. 이 물방울들이 떨어지는 눈 결정 주변에 달라붙어 얼면써 싸락눈이 생긴다. 우리 눈으로 보는 눈은 하얀색일뿐 모양을 쉽게 볼 수 없는데 눈 입자는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어 그 모양이 다르다. 기둥형 결정, 바늘형 결정, 편형 결정, 별 모양 가지 결정, 싸락눈, 우박, 얼음 구슬, 서리 등 다양한 입자를 가진다.




얼음과 함께 살아가는 이누이트족은 눈이라는 하나의 단어가 문장처럼 작용해 눈의 다양한 상태와 특징을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누이트어는 눈의 색조와 윤곽을 시각적으로 묘사하고 독특한 방법을 통해 자연의 복잡한 아름다움을 담아낸다. 눈은 물리적 특성과 감각적 요소를 기반으로 아홉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가루눈, 변형된 눈, 얼음눈, 싸락눈, 날린 눈, 봄 눈, 젖은 눈, 만년설, 묵은 눈 등이다. 묵은눈은 오래된 전설을 가지고 있다. 눈 덮인 층 속에서 북유럽의 청정하고 신비로운 자연에서 비롯된 고대 서사시 에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눈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설학자들이하고 한다. 설학자들은 눈의 특성과 구조를 연구하고 디지털 온도계로 눈층의 온도를 측정하고 돋보기로 눈 결정의 형태를 자세히 관찰한다. 눈은 때로는 우리에게 위협적이지만 동시에 친근한 존재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리아 테레지아 - 오스트리아 최초의 여왕 서양근대사총서 6
김장수 지음 / 푸른사상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트리아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리아 테레지아 - 오스트리아 최초의 여왕 서양근대사총서 6
김장수 지음 / 푸른사상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대통령제를 선택하고 있지만 총리나 왕족이 있는 나라도 있다. 특히 유럽은 오랫동안 절대왕정의 시대였고 지금도 왕족이 나라의 중심인 나라도 있다. 그런 유럽의 왕조 중에서 유명 여왕들이 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스페인의 이자벨 1세,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 등 세계사를 기록한 여왕등이다. 이들 중에 마리아 테레지아는 유럽 패권을 600년 간 차지한 함스부르크 가문의 수장이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이자 실질적인 통치자이기도 했던 마리아 테레지아는 오스트리아의 국모로 추앙받고 있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버지 카를 6세는 형인 요제프 1세가 남자 후계자 없이 사망함에 왕위를 계승했지만 카를 6세 역시 아들이 없었다. 태어났던 아들은 생후 7개월에 사망하고 딸만 셋을 더 낳았다. 당시에도 여성은 왕이 될 수 없다는 법이 있었고 카를 6세는 아들을 낳을 수 없을 것 같아 장녀 마리아 테레지아가 왕위를 승계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카를 6세는 아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마지막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는지 마리아 테레지아가 왕위를 승계할 때를 대비한 교육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7년 전쟁이 종식되자 오스트리아의 선진국화를 위해 여러 가지 내정 개혁을 실행에 옮겨 큰 성과를 거둔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버지 카를 6세는 신성로마제국의 프란츠 1세와 결혼시킨다. 남편 후보가 여럿 있었지만 프란츠와 결혼하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에 관여할 수 있었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하우크비츠가 주도한 조세 개혁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는데 이는 프로이센에 대항할 수 있는 강력한 군대 양성의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마리아 테레지아는 군 전반에 대한 개혁 및 개편을 시행했다.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던 각 지방 단위의 징모와 군량 공출, 영주 자의에 따른 연대제를 폐지하고 각 영주의 병력을 통합하여 전국 규모의 오스트리아군을 발족시켰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의학 분야를 넘어 광범위한 교육개혁도 주장했다. 빈 대학의 신학부와 법학부도 개혁했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1740년부터 1780년까지 40년 동안 오스트리아 왕국을 통치했다. 강한 결단력과 여성성을 겸비하고 위정자로서의 의무 수행이나 성실성을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했기에 오스트리아인들로부터 존경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가시노 게이고의 무한도전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소미미디어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4살에 처음 스노보드를 타기 시작한 히가시노의 취미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