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번째 페미니스트
서한영교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시대의 흐름이라고 할까, 유행이라고 해야 할까, 고민을 많이 하게 하지만 유행에 민감해지지 않고 자신만의 페이스를 유지하며 인간 가치관을 만들어가려고 한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을 보면 유행이나 시류에 둔감한 나에게도 이 '페미니스트'를 느낄 수 있다는 건 아주 뜨거운 화제인 것은 분명하다. 아직 페미니스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책을 자주 접하다보면 아마 관심을 가질 수도 있을 것 같다.

<두 번째 페미니스트>는 성별로 따지만 남자가 말하는 '페미니스트'이다. 얼마전 하나의 사건을 보는 여자와 남자의 시각 차이를 크게 느낀 사건이 있었다. 남자 A는 여자 B를 눈여겨 보며 주위를 멤돌다 주변인 C에게 포착되어 알려지게 되는데 문제는 이 사건을 두고 남자와 여자의 시각이 확연하게 차이를 보였다. 여자는 이유없이 쳐다보는 남자의 시선이 불편하고 불쾌하게 느끼는 반면 남자는 호감을 표시하는 것으로 아직 어떤 나쁜 행동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지켜보아야 한다고 했다. 이 사건을 두고 남자들은 여자들이 느끼는 그 공포감과 불안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일부 여자는 남자 A의 행동이 스토킹과도 같은 행동이라고, 범죄가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그정도는 아니라며 농담처럼 넘겼다.
여기서 남자와 여자의 시각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는데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여성 원룸 강간미수' 사건을 보면 이런 시각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 페미니스트>의 저자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여성의 세계는 남성으로서 범접할 수 없는 느낌의 세계라고 하며 이해 가능하지 않다고 말이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무의식적으로 축척해 온 젠더의식 속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우위이며 가해자였다. 10년을 넘게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있는 저자지만 이제 조금 페미니스트를 실천할 수 있는 단계이지 언제든 몸속에서 남성 이데올로기나 남성성을 과시하는 듯한 폭력적인 면모가 튀어나올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두 번째 페미니스트>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남성이 참여하는 결혼, 임신, 육아 등에 관한 이야기다. 한 여자를 사랑했고 동거하고 가정을 이루었다. 그리고 그 가정에서 새로운 생명이 생겨나게 되는데 그 임신과 출산, 육아가 주내용이다. 부부에게 임신으로 아이가 생겼지만 두 사람은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어쩌면 저자가 더 많이 공부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한 것 같다. 전엔 알지 못했던 것들을 알아가면서 저자는 아직도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 남성으로 태어나고 20년 넘게 자라면서 어떻게 여성의 삶을 다 이해할 수 있겠는가하는 생각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해하려고 전혀 노력하지 않는 것보다는 조금이라도 노력하려고 하는 것이 더 나은 사람이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