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주택으로 난생처음 내 집 마련
김상암 지음 / 지식너머 / 2019년 5월
평점 :
얼마전 금리의 인하로 또 집값이 내렸다고 한다. 주위 지인중에 한분이 내년쯤에 내 집 마련 계획을 가지고 있어 요즘 많이 집값을 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거의 매일 인근 주변의 집값의 동향에 대해 말하는데 그렇게 말할 때마다 집값이 계속 떨어지지만 또 언제 오를지 모르니 지금 집을 사야하는 거 아닐까하는 생각도 든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앞으로 계속 집값은 떨어질 것 같고 지금 사야할지, 좀 더 시기를 기다려야 할지, 어떻게 하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을까?
<공공주택으로 난생처음 내 집 마련>에서 '공공주택'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공공주택은 국가와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만들어서 공급하는 주택으로 우리나라의 한국토지주택 공사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 매입 또는 임차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공공주택의 장점은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청년이나 신혼부부, 혹은 무주택 일반 가정까지도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집값이 내렸다고 하지만 1인 가구가 신혼부부 등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은 아니다.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시대, 1인 가구가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 공공주택인 것 같다. 우선 공공임대주택의 종류를 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생애 첫 집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를 위한 행복주택, 적은 보증금으로 아파트 입주할 수 있는 재개발임대주택, 지하철역 근처의 역세권2030청년주택, 부족한 보증금은 국가에서 내주는 전세임대주택 등 다양한 종류의 공공주택이 있고 1인가구나 청년층들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게 하는 제도여서 더욱 관심있게 읽게 된다.
공공주택의 취지에 맞게 많은 서민들이 자신의 집을 갖는 꿈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인데 물론 공공주택을 신청한다고 해서 모두 당첨이 되는 것은 아니다. 공공주택 당첨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나 놓치기 쉬운 가점 계산법, 청약통장 활용법 등 공공주택을 준비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고 궁금해할 모든 것들을 책 <공공주택으로 난생처음 내 집 마련>에서 얻을 수 있다. 특히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을 위해서라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인데 청약통장에 대한 정보와 함께 활용법까지도 알 수 있다. 성인이 되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하고 가정을 가지는 동안 돈을 모을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는다. 대학을 졸업하면서부터 빚을 지고 있다고 하는 젊은층에 내 집을 좀 더 빨리 마련할 수 있게 하는 제도가 더 활성화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