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엔 '마음'이라는 것이 상처를 입든 자연치유가 되든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상처를 입는다면 그 상처가 아물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매번 그 상처만 생각하진 않았고 자연적으로 잊혀지는 방법이 치료라고 생각해 마음의 상처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 습관의 부작용인지 '마음이 아프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나이가 들고 있는것 같다. 게다가 어느날 직장 동료가 조심스럽게 자신은 오래전이지만 우울증을 앓았다고 했다. 전혀 그런 증상을 보이지 않던 동료라 조금 놀라기도 했는데 결혼전에 아주 심했다고 했지만 현재는 결혼 생활을 잘하고 있어 괜찮아진 것 같았다. 그런 이야기를 듣고보니 '나의 마음'은 건강한지 더욱 궁금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마음속의 병들은 우울증이나 조울증, 강박증, 불안장애, 섭식장애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병들의 이름이 전혀 낯설지 않다. 이제 현대인들에게 이런 병은 특정인이 걸리는 병이 아닌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 되었다.


'하얗게 불태웠다'라는 유행어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나무가 타서 재가 되듯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 부어 최선을 다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영어로 '번아웃'인데 '번아웃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다. 목표나 야망이 크고 이를 이루기 위해 전력을 다해 달리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항상 1등을 강조하고 경쟁사회에서 다른 사람을 이기기 위해 계속해서 달리지 않을 수 없게 사람을 몰아가고 노동만 강요하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충분하고 양질의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일만하는 바보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번아웃 신호를 무시한다고 한다. 그래서 번아웃 증후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내 삶의 속도를 줄이거나 조정할 줄 알아야 한다. 나의 속도를 유지하려면 타인의 속도를 의식하지 말고 타인과 비교도 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마음의 병과 함께 사회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홀로족'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요즘 젊은층들은 혼자서 밥 먹고, 혼자서 여행하고, 뭐든 혼자서 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하지만 이 홀로족의 다른 이름은 '외로움'이 아닐까 한다. 현대인들은 외롭다. 어느 시대보다 발달된 소통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언제나 스마트폰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한다. 그리고 점점 고립되고 외로움을 느낄 수 있기에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소통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