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가 온다, 로봇 ㅣ 와이즈만 미래과학 1
김성화.권수진 지음, 이철민 그림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9년 1월
평점 :
로봇이 하기 싫은 청소를 대신해 주고, 로봇이 하기 싫은 과제를 해 주고, 로봇이 하기 싫은 설거지를 해주고, 로봇이 무엇이든 하기 싫은 일을 대신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물론 지금도 하기 싫은 일 중에 일부를 대신 해 주는 로봇이 있긴 하다. 로봇은 사람을 대신해 힘들고 어려운 여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기계 장치이다. 그리고 진정한 로봇은 환경에 반응하며 스스로 움직이고 돌아다니는 것이 진짜 로봇이다. 로봇은 모터와 센서를 전기 회로로 연결하면 신경이 되고 그로인해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로봇은 언제, 어디서 만들어졌을까? 1948년 미국의 월터 박사가 최초로 센서와 전기 회로와 모터가 있는 로봇을 만들었다. 로봇의 이름은 '엘머'였고 엘머는 구두 상자 크기였고 둥근 플라스틱 껍데기에 싸여 있어서 거대한 달팽이 같기도 하고 거북 같기도 했다고 한다. 엘머에게는 엘시라는 여자 친구도 있었고, 엘머와 엘시는 월터 박사의 아파트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20년 뒤 새로운 로봇이 등장했는데 이번엔 컴퓨터와 로봇이 결합했다. 점점 컴퓨터와 로봇은 발전을 하고 곤충 로봇 징기스도 태어났다. 벌레처럼 기는 로봇으로 곤충처럼 수없이 쓰러지고 비틀거려도 어떤 지형에도 기어 다닐 수 있는 로봇이었다. 지금까지 연구되고 만들어진 동물 로봇은 위치 추적 장치와 실내 GPS를 가진 초경량 나비 로봇, 원하는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는 모듈러 뱀 로봇, 하늘을 날 수 있는 펭귄 로봇, 험준한 오르막으로 걸어다니는 군사용 로봇 살쾡이 로봇, 실제 갈매기와 구분되지 않는 갈매기 로봇, 스스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뛰어넘는 네 발 동물 로봇 치타 로봇, 눈과 배에 스테레오 카메라와 광센서가 장착돼 있는 개미 로봇 등이 있다.
이젠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에서 진화해 인간과 대화하고 생각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만들어지고 있다. 진정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되려면 로봇 스스로 보고, 듣고, 잡고, 생각도 해야 한다.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시모이다. 아시모는 사람들 앞에서 인사를 하고 무대 뒤에서 30분 동안 걸을 수 있었다. 처음엔 걷기도 힘들었던 아시모가 점차 진화해 춤을 출 수 있을 정도의 전신 제어 기술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휴머노이드는 점차 인간의 행동과 모습을 하며 인간보다 뛰어난 기능을 가진 것도 있다. 로봇이 이렇게 섬세하고 부드러운 행동을 하기까지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고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을 하며 미래엔 더 다양한 휴머노이드가 인간의 생활을 도와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