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무늬를 어루만지다 - 어제의 나와 화해하는 내 마음 셀프 테라피
조영은 지음 / 레드박스 / 2019년 1월
평점 :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정말 이상하다. '자신'의 것이긴 하지만 마음은 절대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 자신의 마음만 그런 것은 아니다. 타인의 마음도, 상대방의 마음도, 우리 모두의 마음도 정말 알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일까?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아 다치기도 쉽고 상처도 잘 나고, 치료도 힘들다. <마음의 무늬를 어루만지다>를 읽으면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상처 받은 마음을 달래주고 '마음'에 대해 좀 더 잘 알고 싶었다. 우리는 모두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문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창문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세상은 크게 달라 보인다. 그리고 창으로 보는 것처럼 삶도 그렇게 흘러간다는 것이다. 그럼 세상을 긍정적으로 보고 자신이 가진 신념대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세상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은 현실이 되고 결국은 그것이 진실이라고 확신하게 되면서 인생은 부정적이고 불행하게 흘러가게 된다.


어떤 이들은 무슨 일이든지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한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내가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결과가 달라질까? 하지만 현실 세상에는 마음먹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일도 있지만 사회구조적인 문제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해 아픔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 마음먹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을까? <마음의 무늬를 어루만지다>의 파트2에는 누구나 가지고 있음직한 마음의 무늬 18가지를 알려주고 있다. 버림받음, 불신 학대, 정서적 결핍, 수치심, 의존, 사회적 소외, 미발달된 자기, 실패, 특권의식, 부족한 자기통제, 복종, 자기희생, 비관주의, 정서적 억제, 처벌 등이 그것들이다. 이런 마음이 무늬들 중 어떤 것이 자신의 마음을 차지하고 있을까? 사회에 만연한 범죄들에서 사람들은 상대방에 대한 불신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싶다. 사람들이 나를 이용할 것 같고 사랑하는 사람은 언젠가 나를 배신하거나 속이고 이용할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세상에서 살아남으려면 다른 사람을 함부로 믿으면 안된다는 불신은 어렸을 때 학대 받은 영향일 수도 있다. 이런 마음의 무늬는 믿을 수 있는 누군가를 만나고 마음을 연다면 조금은 나아질 수 있는 마음의 무늬라고 한다. 누구나 비슷한 마음의 무늬를 가지고 있고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자신의 마음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회피하기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