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마을 같은 독일 소도시 여행
유상현 지음 / 꿈의지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즐거운 독일의 소도시 여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화마을 같은 독일 소도시 여행
유상현 지음 / 꿈의지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예전엔 해외여행을 갈 때 대도시를 중심으로 여행을 많이 간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여행의 유행이 바뀌고 있고 대도시보다는 소도시나 시골을 여행하게 된다. 가끔 보는 여행 유튜브 영상들도 소도시나 한국에선 잘 알려지지 않은 도시들 여행 영상을 보게 된다. 대도시이거나 유명한 도시는 이미 너무나 잘 알려지고 여행도 갈 수 있어 신비함이나 신기함이 덜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동화마을 같은 독일 소도시 여행>은 유럽 중 독일의 소도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자유여행을 통해 소도시의 매력에 빠지고 즐거운 여행을 즐기기로 한다. 독일의 도시 여행으로 소도시 여행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복잡한 역사적 배경으로 독일 땅은 최대 수백 개의 나라로 나뉘어 있었다. 현대적인 국가의 개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군주가 도시를 다스리고 그것이 나라의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소도시 여행이라고 하면 시골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독일의 소도시는 변두리의 시골이 아니고 수백 년 전 한 국가의 수도이거나 전략적 요충지로 번영한 곳이 많다.


<동화마을 같은 독일 소도시 여행>에서는 독일 100여 곳을 여행했고 그 도시 중 35곳을 골라 이야기를 풀어낸다. 소개된 소도시 가운데는 이미 방송이나 매체에 소개되어 익히 알고 있는 곳도 있다. 독일 남부 소도시로 퓌센, 로텐부르크, 프라이부르크, 뮌헨, 독일 서부 소도시는 하이델베르크, 에센, 쾰른, 프랑크푸르트, 독일 동부 소도시는 바이마르, 포츠담, 베를린, 독일 북부 소도시는 브레멘, 함부르크 등의 소도시 여행을 소개한다. 독일 남부의 퓌센은 노이슈반슈타인성이 유명하다. 이 성은 디즈니성 또는 백조의 성으로 불리고 있어 동화에 나오는 동화같은 성이다. 독일의 수도는 베를린이지만 바이에른 왕국의 수도는 뮌헨이다. 뮌헨은 신성로마제국의 전통을 간직한 도시 중 오스트리아 빈에 이어 가장 발전된 도시다. 독일 서부에는 쾰른을 방문하고 싶다. 쾰른 대성당의 사진을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성당인 쾰른 대성당을 직접 눈으로 보고 싶다. 그리고 독일 동부의 도소시이자 수도인 베를린 또한 독일 여행에서 빠질 수 없는 소도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란의 뿌리를 찾아서, 민주주의가 경제다
이병훈 지음 / 굿모닝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용해야 경제도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란의 뿌리를 찾아서, 민주주의가 경제다
이병훈 지음 / 굿모닝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한반도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분단되었고 대한민국은 최근 두 조각이 났다고 한다. 정치 이슈로 몇 달째 계속해서 국민들의 생활은 불안하기만 하다. 지구의 다른 편에선 오늘도 전쟁이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는 평화롭게 사는 것처럼 대한민국 정치가 불안해도 지구는 돌아간다. <내란의 뿌리를 찾아서, 민주주의가 경제다>는 정치 이슈와 경제를 함께 보고 있다. 경제가 나쁜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 세계의 경제가 어렵고 그 어려운 경제적 문제를 풀기 위해 다른 나라와 조금이라도 손해보는 장사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지난 몇 년동안 한국경제의 모든 지표가 무너졌다고 말한다. 정부에서는 새로운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책들은 실패한 정책들로 보인다. 특히 경제 정책은 양극화를 더욱 확대했고 부자 감세를 남발하면서 국가 부채가 늘고 경제 전반에 타격을 주고 있다. 일자리를 잃은 청년들은 쉬고 있고 자영업자들 또한 힘들다.




서민경제는 IMF 때보다 힘들다고 말한다. 이런 경제적 침체는 이미 수치상으로도 나왔다. IMF도 아닌데 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1%의 성장률은 역사적으로도 있었지만 모두 글로벌 경제 상황에 의한 저성장률이었다. 국가 채무가 1000조 원이 넘고 꾸준히 오르고 있는 추세다. 정부는 공공자금관리기금에서 끌어다 쓴 돈이 220조나 된다. 공적 기금을 쓰면서 연쇄적인 기금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살인적인 물가 상승률을 부른다. 물가는 미친 듯이 오르고 실질임금은 줄어든 상황이다.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못 따라간다는 의미다. 청년들이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하고 일자리의 질도 떨어진다. 초단시간 근로자가 늘었고 풀 타임 근로자 비중을 줄었다. 이렇다보니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풀 타임 노동자 비율은 역대 최저 수준이다. <내란의 뿌리를 찾아서, 민주주의가 경제다>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경제의 현주소를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 오마카세 한국추리문학선 20
황정은 지음 / 책과나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송빌딩 살인사건의 용의자는 많고 범인은 누구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