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를 다 본 뒤에야 그 였음을 알게 됐다. 리들리 스콧 감독. 그는 영화 <글래디에이터>의 감독이었다. 리들리 스콧. 리들리 스콧. 계속 입 속에서 되뇌이면서 어느 영화의 감독이었지. 내 머리 속에 그의 이름은 꽤 좋게 기억되어있었는데 정작 어느 영화의 감독이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다. 그리고 보고나서 깨닫게 된 것이다.
이 영화는 리들리 스콧의 전작 <글래디에이터>와 꽤나 유사하다. 엄청난 스케일과 웅장함, 그리고 한낱 대장장이에서 왕국을 살리게 되는 영웅, 이 영웅의 존재에 위협을 느끼고 죽이려드는 왕국의 후계자, 영웅을 좋아하는 신분 고귀한 여왕. 이 모든 것이 <글래디에이터>를 답습하고 있다. <글래디에이터>만큼의 화려하고 거친 긴장감 넘치는 결투씬은 없지만 그보다 더 웅장하고 스케일이 크다.
<킹덤 오브 헤븐> 하늘의 왕국. 좀더 들어가면 하느님의 왕국. 즉 예루살렘을 둘러싼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십자군 전쟁. 예루살렘은 어떤 의미인가. 기독교인에게, 유대인에게, 무슬림에게.
십자군 전쟁에 대해서 유럽인들은 다른 믿음과 종교를 가진 이방인들에 대항해 싸운 크리스트교의 거룩한 전쟁이라고 믿는다. 십자군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예루살렘을 찾아 크리스트교의 통치아래 두는 것이었다.
기독교인들은 예루살렘을 찾으면 골고다 언덕에 올라 성묘 교회에 기도를 올린다고 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그 언덕에서 십자가에 매달려 죽었고 그 묘에 묻혔기 때문이다. 영화에서도 발리안은 예루살렘을 맨 먼저 찾았을 때 그곳에 올라 기도를 올린다.
한편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을 찾으면 통곡의 벽을 찾아 운다고 한다. 유서 깊은 유대교 성전을 로마 군이 파괴한 뒤 이 성전의 잔해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 또 무슬림들은 이곳을 찾으면 오마르 사원을 찾아 반석 위의 돔에 참배를 한다. 예언자 무하마드가 메카에서 천마를 타고 와 이곳에서 승천, 일곱 하늘을 돌아보고 왔기 때문이다. 이처럼 예루살렘은 각각의 종교인들에게 소중한 장소이다.
예루살렘은 기원전 3000년경 한 가나안 부족이 이곳에 도시를 건설하면서 생겨났다. 그들은 이곳을 '평화의 도시'란 뜻의 '우루살림'으로 불렀는데 유대인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이래 이 도시의 운명은 이름과 달리 기구하기만 했다. 이집트 바빌로니아, 로마 등 끊임없는 침략에 시달렸으며 로마가 기독교의 성지로 인정한 다음에는 사산 조 페르시아의 공격을 받았다. 전화로 얼룩져온 예루살렘에 평화가 찾아온 것은 100년 전 이슬람 세력이 이곳을 점령하면서부터 였다. 우마이야 왕조는 승천 장소에 사원을 세웠지만 기독교도나 유대교도가 자기들의 성지를 참배하는 데 반대하지 않았다. 그러나 11세기에 큰 변화가 일어났고, 유럽의 역사상 새로운 시대가 시작됐다.
영화에서는 기독교인들이 예루살렘을 정복한 뒤부터 시작이 되고 비록 기독교인들이 정복한 상태지만 타종교인들에게도 예루살렘을 개방시켜 평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왕이 죽고 후계자인 여왕이 즉위 그의 남편 가이 드 루시안에게 왕권을 이양함으로써 상황은 바뀐다. 그는 전쟁광이고, 대군을 이끌로 살라딘에 맞섰다. 결과는 살라딘의 대승. 이 전쟁에 참가하지 않았던 발리안은 남은 기사들과 백성들을 이끌고 예루살렘을 사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살라딘의 엄청난 대군의 공격을 마냥 버텨낼 수는 없다. 결국 성벽은 무너지고. 하지만 자비로운 살라딘은 예루살렘을 가져가되 그 안의 백성들은 온전히 살려준다.
감독은 이점에 있어서 지극히 두 종교에 공정했다. 대개 부시를 위시한 미국인들이 기독교의 교리를 전쟁의 근거로 내세우며 충동질하는데 반해 리들리 스콧은 양쪽 종교에 공정한 시각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었다. 살라딘은 무자비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궁지에 몰린 기독교인들을 살려줌으로써 관용을 베풀었고, 그동안의 무수한 기독교와의 전쟁에서의 패배를 복수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무자비했던 것은 십자군이었다. 살라딘이 예루살렘에 갇힌 기독교인들을 살려주는 장면이 왜 이리도 감동적으로 다가오는지. 이 영화는 부시와 그의 작전참모들이 봐야만 했다. 기독교만이 선이오 나머지는 악이다 라는 문구는 이곳에 없었다.
십자군 전쟁은 영화에서도 밝혔듯이 종교를 위한 싸움은 아니었다. 종교는 핑계였을 뿐 저들은 자신들의 위대함을 알리려 했으며, 모험과 약탈과 정복의 기회로서 삼았을 뿐이었다. 그 어느 곳에도 신은 없었다. 신은 단지 핑계였을 뿐. 발리안이 이슬람인들과의 평화공존을 외치는 대목에서 어떤 이는 신성모독이라고 했지만 그의 말은 틀리지 않았다. 그들이 모시는 신이나 우리가 모시는 신이나 같은 신이다. 단지 이름만 다를 뿐.
영화는 화려한 전투씬과 권력암투, 사랑 등 수많은 볼거리도 볼거리지만 그 안에 담긴 이와같은 메세지를 읽어낸다면 더욱 감동적이고 값지게 다가올 것이다.
"어느 곳에도 신은 없다. 신은 단지 핑계일뿐."
하나 더.
발리안이 예루살렘을 사수하며 그곳에 남은 백성들을 모두 무릎 꿇리고 기사작위를 주는 장면은 정말 또 하나의 감동이다. 그는 천민에게도 노예에게도 기사 작위를 수여함으로써 신분을 파괴했다. 이건 대단한 혁명이다. 그 사람들이 모두 열심히 싸운 것은 '나는 기사다'라는 어떤 자부심이나 명예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아마도 자신의 천한 신분을 없애준 발리안이 고마워서였기 때문일 것이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는 오늘날의 세계인권선언을 굳이 들먹이지 않더라도 영화 속 저 장면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