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통기타
세광음악출판사 편집부 엮음 / 세광음악출판사 / 199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북쟁이다. 전문용어로는 드러머라고 한다. 그리 잘 치지는 못한다. 학교에 있을 땐 내 나이 정도에서는 내가 제일 잘하는줄 알았다. 그런데 밖에서 클럽 밴드 하면서 공연하다보니 날고 기는 놈들이 서서히 보이기 시작했다. 열받아서 더 연습했다. 그런데도 지금에 와서 봐도 날고 기는 놈들이 너무 많다. 사실 이제 전문적으로 드럼에 열중하기에는 나는 늙어(?) 버렸고, 돈벌이해야하기 때문에 머리가 복잡하다.

  기타 이야기에 웬 드럼이냐고?! 알았다. 기타 이야기한다. 사실 난 처음에 드럼을 시작한 계기가 기타를 못쳐서 였다. 남들보다 뛰어난 실력을 가지려면 남들보다 먼저 시작해야하는데, 그점에서 기타는 아니었다. 난 몰랐으니깐. 그래서 남들도 잘 손안대는 드럼을 했고 이게 어느정도 먹혀들어갔던 거다. 드럼은 또 희귀종이기도 하다. 기타나 보컬은 널렸다. 근데 드러머 구하려면 하늘의 별따기다. 요즘은 오히려 드럼이 더 많고 베이스가 희귀종인거 같다. 베이스는 사실 치는지 안치는지 음악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알 수가 없다. 베이스는 튀지 않는다. 그저 묵묵히 제 갈 길을 갈 뿐.

  드럼만  하다보니 멜로디 악기가 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중고로 통기타를 하나 샀고, 집에 모셔놓고 껍데기도 안벗긴지 오래됐다. 저러다 망가지는거 아닌가 몰라. 그때 같이 이 책도 샀다. 통기타를 독학해볼 맘으로 샀는데 딱히 그리 맘에 드는 교본은 없었다. 개중 낫다 싶은게 이거였고 샀다.

  해설이야 이 책이나 저 책이나 다 그게 그거였는데, 애창곡편이 맘에 들었다. 곡 목록이 옛날풍이 아닌 그래도 최신곡(?)이라고 할 수 있는 변진섭이나 전유나, 조정현, 신승훈, 윤상 정도의 가수들이 꽤 많이 들어있었다. 친숙한 곡을 따라하는게 낫겠지 싶어 구입하게 된 것이다. 그래봐야 저 사람들은 요즘 고등학생들은 모를텐데. ^^; 가장 최근곡이 아마도 신해철의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 인가보다. 윤상의 이별의 그늘이랑.

  책만 모셔두지 말고, 기타만 모셔두지 말고, 연습을 해야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 펜글씨 교본 - 밀레니엄
대한펜글씨연구회 엮음 / 윤미디어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한글 펜글씨 교본을 사면서 눈에 띄길래 같이 산 책이다. 한자도 알겸 한자 역시 못쓰기는 매한가지. 이력서에 한자 들어간다. 연습해야한다. 그래서 이 책도 샀다.

  펜글씨 교본은 보통 학은미디어랑 윤미디어 두 가지가 잘 나가는거 같은데, 학은미디어 것이 좀더 판매량이 좋다. 하지만 내가 봤을 때 윤미디어가 더 낫다 싶어 고른거다. 흠... 천천히 한자한자 써나가보자. 언젠가 글씨가 나아지리라. 그런데 막 낙서하거나 갈겨쓸 때는 어쩐다? 낙서할때도 정자로 또박또박 써야하나?

  펜글씨 교본을 산다는게 돈이 좀 아깝긴 하지만 내 글씨가 워낙 악필인지라 투자를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레니엄 정필 한글펜글씨교본
대한펜글씨연구회 엮음 / 윤미디어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참 글씨를 못쓴다. 그래서 웬만한건 손으로 안쓰고 다 컴퓨터로 작성한다.  가장 괴로울 때는 이력서를 쓸 때와 누군가에게 편지를 쓸 때다. 이때는 자필로 써야하기 때문에 나의 괴로움은 하늘을 찌른다(이건 좀 오번가?). 아무래도 내 글씨를 다듬어야 할 거 같아서 펜글씨 책을 샀다.

  요즘에도 버스를 타면 좌석 뒤에 붙어있는 펜글씨 광고는 사실 학원광고가 아니라 집에서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학습지같은 펜글씨 교본이었다. 알아본 결과. 우리나라에 펜글씨 학원은 없단다. 차라리 서예학원을 다니란다. 그런데 난 지금 마음 가다듬고 서예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 아무리 백수라고 집에 있지만 백수도 백수나름. 난 이것저것 하는게 많아서 바쁜 백수다.

  펜글씨 교본을 따라서 하나하나 쓰다보면 아주 조금, 쬐꿈 나아지는 나를 발견한다. 엄밀히 나의 글씨를. 그래도 그 성격 어디 가랴? 나 같은 급한 성격의 소유자들은 아무래도 글씨를 온전히 쓰기는 힘들 듯 하다. 마음먹고 천천히 하나하나 또박또박 써보지만 아 쓰고픈 글은 많은데 이걸 하나하나 그리고(?) 앉아있으니 땀이 나고 얼굴이 시뻘개진다.

  그래도 연습해야지.

 

  한마디

 인터넷 알라딘에서 펜글씨 검색하면 다른 책이 더 많이 팔린 걸로 나오는데 내가 교보가서 뒤적인 결과 이게 더 나은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 97 사용자를 위한 워드프로세서 1급 실기 특별대비 - 2005년 확달라진
늘푸른기획 외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가산점이 붙는다는 말에 워드프로세서 1급에 도전한다. 컴맹인 나는 이런거 참 힘들다. 군에서 행정병으로 있었다지만 솔직히 맨날 농땡이치느라 제대로 하는거 하나도 없다. 오직 타자만 좀 빠를 뿐이다. 이거 하나로 밀고 가야지. 시간을 왕창 번다음 끙끙대며 어떻게든 해봐야지

  워드 필기는 가까스로 기준점 60점을 겨우 넘은 68점을 받아 합격했고, 이제 실기가 남았다. 그런데 대체 뭘 어째해야하는건지 감이 안잡혀서 결국 안사려던 책을 샀다. 남들은 무슨 워드 책을 돈주고  사느냐고  하지만 나같은 컴맹이 이런 사소한거라도 따려면 돈주고 책 봐야한다.

  졸업예정자라 1월 28일부터 학교 도서관은 대출금지 당했고, 할 수 없이 영풍문고에서 책을 구입했다. 만 이천원이라는 거금을 주고. 만 이천원이면 웬만한 인문사회과학 서적 하나 살 수 있는 돈인데. 아이 아까워.

  서론이 참 길군. 결국 난 알라딘에서 검색해서 제일 잘 팔리는 영진닷컴에서 나온 책을 샀다. 다른 출판사거는 만원짜리도 있다. 영진게 제일 비싸다. 그래도 믿고 샀다. 오늘 몇번 따라서 해봤는데 처음에는 어찌하는지 몰라 막 열이 받더니만 이제 좀 잘 된다. 초보자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책은 그냥 다른것과 별다를 바가 없는데 안에 들어있는 시험용 디스켓과 씨디가 참 좋다. 역시 사람들이 많이 사가는데는 이유가 있었군.

  이 책으로 공부해서 꼭 따야지. 못따면 좌절감에 안하게 될 거 같다. 한번에 따자. 요즘 초등학생도 따는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영화를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이상할 정도로 너무나 잘 알려진 영화다. 오래전에 봤으나 핵심적인 장면 밖에 기억이 잘 나지 않고 아무것도 모르는 예비교사 지망생으로서 교실현장을 그린 영화를 보고 싶어서 다시 보게 되었다.

 <죽은 시인의 사회>는 키팅 선생이 웰튼 학교를 다닐 적에 있었던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동일한 단체의 다름아닌 이름이다. 또한 키팅 선생의 밑에서 배우는 지금의 학생들이 재조직한 이름과도 같다. 오히려 후자로 봐야할 것이다.

 또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펴지 못하고 억눌려 사는 교육의 현장을 '죽은 시인의 사회'로 봐도 될 듯 싶다. 시, 낭만, 사랑이 없는 기술, 지식, 시험 만이 남아있는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현장은 그야말로 말 그대로 '죽은 시인의 사회'다. 이는 영화 속의 교육현장 뿐 아니라 내가 겪은, 그리고 오늘날 행해지고 있는 교육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학생들 각자의 자유로운 사고를 위한 교육은 지금의 현실에선 불가능하다. 학교가 허락한다해도  학부모라는 또다른 장벽이 있고, 대학입학을 꿈꾸는 학생들 자신의 마음가짐을 바꾸기도 쉽지 않다. 선생의 의지가 있더라도 너무나 많은 장벽 앞에서 무릎 꿇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교육현장에 한번도 서보지 못한 나는 내가 교단에 섰을 때 어찌해야할지를 아직도 모르겠다. 그래서 키팅으로부터 힌트를 얻어볼까 하고 영화를 관람했던 것이다. 그리고 뭐 대단한 것을 얻어내지는 못했지만 다시 한번 키팅과  학생들의 열정에 감동했고, 저와 같은 교육이 가능하면 좋겠다라는 희망을 품어본다.

 카르페 디엠. 현재를 즐겨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