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시실리 2Km>의 '시실리 2Km'는 영화 초반에 나오는 길안내 표지판의 글자다. 조직의 다이아몬드를 가지고 시실리라는 마을로 도피한 석태와 그를 쫓는 양이와 그 일당. 그러나 정작 무서운 것은 석태를 쫓는 조폭 일당도, 시실리의 버려진 학교에 사는 처녀귀신도 아닌, 마을주민들이다.

다이아몬드에 환장한 마을주민에 쫓겨 학교로 도피한 양이와 처녀귀신의 만남. 처녀귀신의 사연깊은 죽음을 들은 양이는 귀신에 대한 연민을 느끼는 동시에 사람을 미워하게 된다. 양이 역시 무서운 것은 '사람'이라고 말하며 이 영화는 코믹공포조폭스릴러 짬뽕영화라는 평에 한가지 더 아련한 교훈까지 안겨주는 영화가 되어버린다.


권오중, 난 엑스트라가 아냐.

마을주민들은 화장실 변기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줄 알고 그의 콧구멍에 껴있는 다이아몬드 한 조각을 훔쳐내고 그들이 사는 집 방 한칸에 그를 세워묻은 뒤 벽돌과 시멘트로 잘 발랐다. 하지만 석태는 그 안에서도 살아남고 결국은 어이없게도 벽에 박힌 못이 머리를 관통하며 죽게 된다. 하지만 석태를 연기한 권오중의 출연이 영화초반 여기서 끝날거라는 예감은 어이없이 빗겨나간다. 권오중은 영화가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등장한다. 죽다 살다 죽다 살다 끝내는 처녀귀신이 그의 몸속으로 들어가 마을주민들과 싸우는 장면에서도 권오중은 끈질기게 등장한다. 역시 엑스트라는 아니었다.


이렇게 착한 귀신을 봤나

생전 보다보다 공포를 빙자한 코믹영화라지만 그래도 공포영환데 이렇게 착한 귀신을 보기는 처음이다. 도망자의 상처를 보살펴주고 치료해주고 눈물까지 보이는 이 착한 귀신은 위기에 처한 조폭대장 양이를 마을사람들로부터 구해낸다. 영화를 보다보면 마을사람들이 귀신인지, 이 착한 귀신이 귀신인지 헷갈릴정도다. 귀신은 나쁘다라는 편견은 버려!


혹자는 이 영화를 실패작으로 간주하며 짬뽕을 너무 심하게 한 나머지 코믹, 조폭, 공포, 스릴러 뭐 하나 건질게 없다는 가혹한 평을 내리기도 하지만, 내게는 유쾌한 코믹공포영화였다. 감상평이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기 마련. 대개의 흥행성공작들이 뜨거운 찬사를 받는 반면 어떤 영화들은 찬사와 비난을 함께 받기도 한다. 이 영화가 그런 케이스가 아닐지.

그렇게 대단하고 위대한 영화라고는 할 수 없지만 한바탕 웃을 수 있었고 본 후에 불쾌하지도 않은 뒤끝없는 상쾌한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벨리 오브 비스트>는 태국을 배경으로 홍콩 영화 감독 정소동과 미국의 동양액션 배우 스티븐 시걸이 함께 만나 만들어진 영화다. 스티븐 시걸이 출연한 일반 다른 액션영화들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스티븐 시걸에 의한, 스티븐 시걸을 위한 영화다.

대개의 액션들이 '영웅만들기'를 그 중심에 두고 있음은 이 영화를 통해서도 증명할 수 있다. 태국 내의 테러집단에 대적해 홀로 싸우는 스티븐 시걸은 흔하디 흔한 타박상 정도도 입지 않은 채 아주 쉽게 총과 칼을 든 적들을 물리친다. 그것도 맨 손으로 말이다. 물론 중간중간 칼을 들기도 하고, 창을 들기도 하고, 총을 들기도 하지만, 그의 주요 무기는 주먹이다. 스티븐 시걸의 딸이 미 상원의원의 딸과 각각의 남자친구와 함께 폭포수 아래서 물놀이를 하던 중 두 남친은 죽고 여자 둘만 테러집단에 납치된다. 이들을 인질로 미국에 대해 그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는 것. 하지만 이들의 실체는 태국 내 반정부 테러집단이 아니라 오히려 그 테러집단을 몰살함으로써 부수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다른 집단이었다. 대상이 누구건 스티븐 시걸의 목표는 딸 구하기. 결국 구출은 성공하고 뒤늦게 도착한 태국 특공대는 이미 끝난 상황에 스티븐 시걸 앞에 무기력한 존재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 영화는 다분히 기존의 액션을 벗어나지 못하지만 유일한 볼거리는 뚱뚱하고 늙은 몸을 이끌고도 태극권(?), 가라테, 합기도 등의 동양무술을 사용하며 악당들을 제압하는 스티븐 시걸의 색다른 액션연기다. 힘들이지 않고 상대를 제압하는 특유의 중국무술은 눈을 즐겁게 한다. 하지만 이를 뺀다면 볼거리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더 헌팅>, <헌티드 힐>, <13고스트>가 집이 살아 움직이는 공포를 체험하게 해준다면, 영화 <고스트 쉽>은 바다에 떠있는 배가 공포를 불러온다고 할 수 있다.

<고스트 쉽>은 조엘 실버(<리셀웨폰>, <다이하드>, <매트릭스>의 제작자)와 로버츠 제메키스(<캐스트 어웨이>, <포레스트 검프>)가 함께 설립한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의 <헌티드 힐>, <13고스트>에 이은 세번째 공포시리즈라고 한다. 이 영화의 감독은 <13고스트>를 통해 공포영화감독으로 인정받은 스티브 벡의 두번째 공포작이다.

드넓은 바다에 40여년간 고립되어 떠있는 유령선을 주 무대로 하고 있는 영화는 이 유령선에 다른배의 선원들이 탑승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한다. 선원들은 유령선에서 금괴를 발견해 이를 옮겨 떠나려하지만 가스유출로 타고온 배가 폭발하고, 그와 함께 동료도 한 명 잃게 된다. 금괴를 가져가려던 이들의 욕심은 이제 간데없고 생존의 본능만이 남게되었다. 유령선에서 숨져간 사람들의 흔적을 발견하면서 이들은 각자가 가지고 있는 환상, 공포에 빠져들며 개인적 공포체험을 하게 되고, 극한 상황에 내몰리게 되면서 서로를 미워하며 죽이려 한다.

스토리는 사실 그다지 새로울 것은 없다. 다른 공포물과 다른 것은 망망대해에 떠있는 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뿐이다. 등장인물들이 서로 미워하게 되며 죽이는 과정은 사실 적당한 이유나 동기를 발견하기 어려워 엉성해보인다. 기존의 공포물과 다른 변화를 주려한 시도는 엿보이나 성공하지는 못한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려 지금으로부터 13년이나 된 영화다. 영화제목은 익숙하지만 아직 보지 못한 영화중 하나인데, 아무래도 이 영화는 내 취향이 아니어서 좋은 평가를 내리긴 어렵다. 브루스 윌리스를 위한, 브루스 윌리스에 의한, 브루스 윌리스의 영화였다.

도둑질에 그야말로 도가 튼 대도 에디가 바로 '허드슨 호크'. 벽타기를 예술로 승화시킨 도둑이랄까. 그가 감방에서 출소하던 날 그는 알지 못하는, 하지만 그를 아는 거대 인물들로부터 갖가지 주문, 협박, 회유가 들어오고 결국 그들 사이의 희생물이 되어버리는데...

영화는 너무 많은 등장인물들로 인해 정신이 없다. 고정적으로 줄거리를 이어가는 인물은 허드슨 호크 뿐이고 그 외의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들너리다. 주연은 단 하나, 조연은 없다. 나머지는 모두 엑스트라일 뿐이다. 줄거리, 구성 모두 조악하기 이를데 없고 진지함을 잃은 천박한 인물설정은 온갖 악질적인 행위들을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통함으로써 도덕적 불감증을 불러오기까지 한다. 언젠가 본 '살인'이 수도 없이 등장하는 다른 코믹 액션보다 더 심하다.

영화를 본 것이 후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굉장히 오래된 영화고 모르는 사람도 거의 없을 법한 영화다. 아놀드 슈왈츠 제네거에 버금가는 근육질 배우 실베스타스텔론과 한국인 아내를 두고 있어 우리나라 신문에 잠시 오르내렸던 웨슬리 스나입스, 그리고 내가 알고 있는 얼마 안되는 외국영화배우 목록에 있는 산드라 블록의 초호화 출연진이 등장한다.

<데몰리션 맨>은 마치 한편의 잘짜여진 미래소설을 읽는 듯 하다. 영화에서 설정한 2032년이 실제로 오면 영화와 같은 세상이 오리라고 생각지는 않지만, 그것은 우리의 먼 미래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아주 이상적인 상태에서만. 영화 속 미래의 세상은 범죄, 폭력, 욕설, 비속어, 싸움, 임신, 섹스, 심지어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악수하는 것조차도 금기시하는 세상이다.

마치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을 읽고 있는 듯 하다. 물론 조지오웰의 소설에서는 범죄도 있고, 폭력도 있고, 욕설, 싸움, 임신, 섹스 다 있다. 하지만 둘 다 어느 곳에서든 카메라와 컴퓨터에 의한 감시를 받고 있다. <데몰리션 맨>에서는 사람 개개인의 손등에 컴퓨터 칩을 넣어 코드를 부여해 감시하고 있으며, 거리 곳곳에 감시 카메라가 즐비하다. 또한 오웰의 소설 <1984년>에서도 역시 대형 스크린과 곳곳에 숨겨진 감시카메라들로 사소한 일상조차도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를 그려내고 있다.

<데몰리션 맨>과 <1984년>의 공통점은 또 있다. 둘 다 각기 영화와 소설 속에서 그려내고 있는 '미래사회'가 우리가 바라는 '이상사회'는 아니라고 지적한다는 것이다. <데몰리션 맨>에서 악동 피닉스를 잡기 위해 냉동감옥에서 해동시킨 스파르탄은 깨어나 접하게 된 황당무계한 세상에 어리둥절할 뿐이다. 모든 것이 금기시된 사회가 이상사회라고 알고 있는 시민들과 경찰, 하지만 그곳은 너무나도 비인간적인 사회다. 화나도 욕을 할 수가 없고, 사랑하는 사람과 키스조차 할 수 없고, 친구와 악수조차 할 수 없는 사회가 바로 2032년의 이상사회다. 스파르탄은 이 금기들을 하나하나 깨어가면서 인간적인 사회를 만들어나간다. 영화 속 미래가 이상사회가 아님을 지적하는 감독의 의도는 또 있다. 콕토의 이상사회에 불만을 가진 시민들은 지하에 자신들의 세계를 만들어놓고 콕토에 대항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지도자 프렌들리는 스파르탄을 향해 그렇게 말한다. "나는 생각을 하고, 책을 읽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자유를 누린다. 콕토는 나의 이런 점을 못마땅해하는 것이다." 반면 <1984년>은 <데몰리션 맨>과 같이 대놓고 미래사회를 비판하지는 않지만 미래사회가 가진 암울한 구석들을 하나하나 보여줌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느끼도록 해준다. 어쨌든 둘 다 소설과 영화 속에 그린 미래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실베스타 스텔론의 근육질도, 웨슬리 스나입스의 껄렁껄렁한 캐릭터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영화가 가지고 있는 탄탄한 스토리와 구성이 매우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다. 안 본 사람이 있을까 의심해보지만 안봤다면 강력추천이다. 나같이 허리우드 액션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스토리와 구성에 반해 볼 수 있음을 알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