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천재 이제석 - 세계를 놀래킨 간판쟁이의 필살 아이디어
이제석 지음 / 학고재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석은 자신의 재능은 보지 않고 스펙만을 봤던 한국 사회의 불리한 판을 직접 뒤집었다. 능력 있는 노예가 되고자 오늘도 토익, 취업 공부에 열올리는 준비생들과 한국 기업의 스펙 보기 형태에 일침을 가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꼬 2011-12-22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좋아요? 저도 살까 말까 하다 안 샀거든요. 살까요?

마늘빵 2011-12-22 14:27   좋아요 0 | URL
응응, 글은 날 것스러운데 읽으면 불끈불끈해요.
 
광고천재 이제석 - 세계를 놀래킨 간판쟁이의 필살 아이디어
이제석 지음 / 학고재 / 2010년 4월
구판절판


광고쟁이는 광고 하나로 보여주면 된다. 뭐 미주알고주알 밝힐 게 있겠는가! 그래서 이 책도 밍기적거리다 내는 거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간단하다. "판이 불리하면 뒤집어라!"
그 판에 억지로 적응하느니 판을 바꾸려고 노력하자는 것이다. 세상을 바꿀 수 없다면 내 생각을 바꾸자. 그러면 세상 사는 방식도, 창의력도 팍팍 터진다. 결승점을 바꿔버리면 꼴찌로 달리는 사람도 일등이 된다. 나는 그렇게 오늘을 내 방식대로 내 맘껏 한번 살아보려고 한다. 판이 더럽다고 욕할 시간에 새 판을 어떻게 짜고 그 판에서 살아남기 위해 뭘 해야 하는지 나는 죽어라고 고민해보려고 한다. -5쪽

"벤츠 탄 놈, 소나타 탄 놈, 자전거 탄 놈 누가 더 잘난 놈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한 가지 정답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이미 고정관념의 노예가 돼 있을지도 모른다. 나는 그런 관념을 몽땅 버려야 새로운 관점을 얻고 남과 다른 삶을 살 수 있다고 본다. 나는 그렇게 살아가려고 노력할 것이다. 단점을 장점으로 만들고 나만의 룰을 세워서 세상을 헤쳐나갈 거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게 사실은 옳은 것이므로!-215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스키 2011-12-20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려운 일이지만 기억하며 노력해야 할 일이네요.

마늘빵 2011-12-20 09:15   좋아요 0 | URL
글이 좀 거칠기는 하지만, 읽으면서 뜨거워지더라구요. 학벌주의 등 스펙을 깨고, 맨땅에서 헤딩한 사람이, 단지 성공이 목표가 아니라 공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한 거라 더더욱.
 
삼성을 살다 - 12년 9개월
이은의 지음 / 사회평론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김용철 변호사의 내부 고발 건과는 또다른 차원의 시선을 담은 에세이. `누릴만큼 누린 자`라는 시선과 `성추행 당한 여성`이라는 두 시선 사이에서 당당히 맞섰고 이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성을 살다 - 12년 9개월
이은의 지음 / 사회평론 / 2011년 10월
절판


은정 씨는 19살에 삼성전기에 입사해 8년째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때까지 대졸사원들이 신입은로 들어오면서 시작하는 G3 직급도 달지 못하고 있었다. 표면적으로는 고과로 인해 진급에서 누락된 것이었지만, 실제로 고졸여사원들의 진급 정체는 고착화되다시피 한 회사의 관습이었다. 광고 속의 학력철폐나 여성차별철폐는 애석하게도 삼성의 현실이 아니라 바람이었던 모양이다. 이것은 명백한 차별이었지만 오랫동안 반복되어온 탓인지, 믿을 만한 사원기구가 없는 탓인지, 정작 당사자들은 공식적으로 말이 없었다. -98-99쪽

"임우재 상무님 5분 후 도착하신다니 빨리 준비해요."

갑작스런 임종에 상복도 채 갖춰 입지 못하고 넋을 놓고 있는 내게 부서장과 부서원들이 로열패밀리가 떴다며 준비를 하라고 했다. 뭘 준비하라는 걸까. 어이가 없었다. 와주는 것만으로도 영광이니 슬퍼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건지, 버선발로 나와 손이라도 맞잡으라는 걵지. 헝가리 삼성전자 공장을 나서며 들었던 ‘상무님을 잘 모셔라’라는 말보다 100배는 더 황당하고 화가 났다. -202쪽

C상무 후임으로 온 본부인사팀의 L부장을 만나 회사 측에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내 상태에 대한 진상조사와 함께 나에게나 다른 여사원들에게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조치를 요구했다. 그리고 성희롱 고지 후 바닥을 친 고과와 누락된 진급 등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답을 달라고 했다. 몇 주간 조사기간을 달라고 했던 회사는, 3주가 지난 후 나를 꽃뱀 취급했다.

"꽃무늬가 그려진 청바지를 입은 적이 있지요?"
"지각을 한 적이 있지요?"
"주말에 부산영화제를 다녀와서 피곤한 얼굴로 출근을 한 적이 있지요?"-206쪽

조사결과가 적힌 보고서라는 파일을 들고, 인사팀의 L부장이 추궁하듯 묻기 시작했다. 그는 성희롱 같은 일은 존재한 적도 없으며, 8개월이나 걸린 IR 부서로의 배치는 그냥 일반적인 전배조치였다고 말했다. 위의 내용들의 무슨 대단한 잘못이라고 되는 양 읊어대며 원하는 액수를 말하라고 했다. -207쪽

사람들은 우리가 삼성과 싸우느라 삶이 피폐해졌다고들 한다. 하지만 사실 우리는 삼성이 우리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싸움을 시작하게 되었다. 주어야 할 것을 주고, 해야 할 의무를 하지 않으면, 언젠간 그것들이 부메랑이 돼서 돌아오기 마련이다. ‘무능’한 나도 아는 것을, 왜 스스로 S급 인력이라 자평하는 삼성 경영진들은 모르는 걸까. 회사에 애정과 열정을 쏟아붓던 이 사람들을 왜 이렇게 전장으로 내몰기만 하는지 나로선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273쪽

삼성그룹에서 이건희 회장은 거의 종교적인 존재였다. 회장의 결정은 비판이 허용되지 않는 게 아니라, 아예 평가의 대상이 아니었다. 신입사원 입문교육을 받을 때 그의 어록집을 외우던 것처럼, 이 회장이 무슨 말을 하면 그것이 회사 꼭대기서부터 지침으로 내려왔다. (중략) 뻔한 말이 무슨 ‘말씀’처럼 하달됐다. -332-333쪽

많은 사람들이 들어오고 싶어 하는 삼성이고, 꽤 괜찮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삼성인데,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욕심 많은 상층부로 인해, 회사의 발전에도 문제가 많았지만 회사문화에도 악영향이 많았다. 직원들은 자기 생각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했고, 그것이 소통의 폐쇄로 이어졌다. 그런 폐쇄성에 힘입어 튼실하게 유지되는 두 개의 성이 있었다. 하나는 인권에 대한 무지와 외면이었고, 또 하나는 성역으로 군림하는 재벌총수에 대한 비판의지 상실이었다. -3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술쟁이가 뭐 어때? 스누피 시리즈 1
찰스 M. 슐츠 지음, 김철균.박수진.김난주 옮김 / 종이책 / 2007년 8월
절판


"왜 날 깜직이라고 안 불러?" "뭐?" "왜 날 만날 때 "안녕 깜직이"라고 안 해?" "네가 별로 깜찍하다고 생각 안 하니까" "그 이유란 게 정말 싫어."-17쪽

"월요일에 개학해" "난 상관 없어!" "넌 상관없다니 무슨 말이야?" "난 작년에 학교 다녔거든." -24쪽

"한때는 엄지 빠는 습관을 고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 "이젠 그럴 수 없을 것 같아. 맛 들였거든!" (라이너스)-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