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2025년 연속 학술대회 - 12.3친위쿠데타 이후 한국 현대사의 성찰과 과제: 회복의 인문학의 관점에서 (3회)


<한국 개신교 보수주의의 뿌리와 쟁점> 안내


안녕하세요.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에서 2025년 연속 학술대회 (3회)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 일시 및 장소


- 일시: 2025년 7월 4일(금) 오후 2시 ~ 4시 반

- 장소: 온라인 줌 회의

- 줌 회의 주소: https://us06web.zoom.us/j/85865183214?pwd=nbmUkFgtRzM2pjoTI1pYBXjjlwotl7.1

- 회의 ID: 858 6518 3214

비밀번호 : 250704


-발표: 강인철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토론: 최승현 (뉴스앤조이)


궁금하신 점은 대표 메일(ihp@skhu.ac.kr) 또는 전화(02-2610-4137/4189)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7월 3일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주최로 <자유주의 이후의 세계와 개념의 내전>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학술 심포지엄이 개최됩니다. 


저도 "유럽, 자유주의의 확장인가 전환인가? 하버마스와 발리바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나 맡게 됐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학술대회 참여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의 주소 https://hallym-ac-kr.zoom.us/j/2446112419?pwd=zjWu1ABMLHfKXmAZW9Mzrtgqob6h3O.1&omn=86227013387

회의 ID: 244 611 2419

암호: 370924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신촌에 있는 캣츠랩에서 이번 여름방학에 5강에 걸쳐 특강을 하나 하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강의 제목

공화정 안에 어떻게 광장의 목소리를 기입할 것인가?

 

 

2. 강의 취지

 

이 강의에서는 5강에 걸쳐 공화정 안에 어떻게 광장의 목소리를 기입할 것인가?”라는 주제를 다뤄보고자 한다. 지난 6개월에 걸친 탄핵 정국에서,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많은 이들의 머릿속에서 이 질문은 떠나지 않는 화두로 남아 있다. 그것은 실로 지난 40년 민주화의 화두이자 해방 80년의 화두이며, 더 나아가 현대 정치의 가장 근본적인 주제 중 하나일 터이다. 자연히 우리가 이 5번의 강의에서 이 질문에 대해 체계적이고 완결된 답변을 제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이번 강의에서 이 주제를 그저 술자리의 화두나 SNS의 토론 거리를 넘어서 철학적인 문제로 문제화해보려고 한다. 이 문제가 더 많은 시민들의 화두가 될 수 있을 때 그것은 정치의 문제로 전환될 것이다.

 

 

3. 강의 주제

 

1. 강한 것과 정의로운 것: 플라톤, 파스칼, 마르크스

 

정의로운 것은 강한 것이 될 수 있는가? 아니면 강한 것은 늘 부정의할 수밖에 없는가? 12.3 쿠데타 이후 다시 또 하나의 민주 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이 질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이 정부는 강하면서도 정의로운 정부가 될 수 있는가? 그 길은 어떤 길인가? 1강에서는 플라톤의 {국가}, 파스칼의 {팡세}, 그리고 마르크스의 {프랑스 내전}을 읽으면서 이 문제를 사고해보고자 한다.

 

 

2. 약한 것과 정의로운 것: 니체, 랑시에르, 데리다

 

정의로운 것은 항상 약한 것일 수밖에 없는가? 또는 약한 것들은 항상 정의로운 것인가? 어떻게 하면 약한 것들은 정의로우면서도 강한 것이 될 수 있는가? 또는 약한 것들은 바로 그 약함으로 인해 민주주의의 또 다른 토대가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니체, 랑시에르, 데리다의 저작을 읽으면서 이 질문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3. 신공화주의의 쟁점: 필립 페팃과 그 비판가들

 

해방 80, 민주화 40년을 맞아 민주공화정의 새로운 전환을 추구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근본 과제다. 이러한 과제를 사고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난 30여 년 동안 새로운 공화주의의 지평을 열어놓은 필립 페팃(과 퀜틴 스키너)의 신공화주의를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3강에서는 신공화주의의 이론적 논점과 강점을 살펴본 뒤, 그 이론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모색해볼 것이다.

 

 

4. 공화주의의 급진화 I: 급진 공화주의란 무엇인가?

 

최근 20여 년 동안 영어권 정치이론계에서는 필립 페팃의 신공화주의의 강점을 받아들이면서도 동시에 19세기 ~ 20세기 급진 노동 운동 및 사회주의 운동의 유산을 기반으로 하여 급진 공화주의 이론을 개척하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가 전개되었다. 4강에서는 이러한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우리의 민주공화정에 더 많은 민주주의를 기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겠다.

 

 

5. 공화주의의 급진화 II: 아나키즘으로서의 민주주의 - 랑시에르, 말라부, 발리바르

 

4강에서 살펴본 급진 공화주의 시도와는 또 다른 측면에서 민주공화정을 근본적으로 쇄신하기 위한 또 다른 이론적 원천을 아나키즘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자크 랑시에르와 카트린 말라부, 그리고 에티엔 발리바르는 아나키즘 또는 아르케 없음(an-arche)에 관한 깊은 성찰을 통해 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아나키즘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과연 아나키즘적 공화주의란 무엇인가? 5강에서는 이 질문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4. 참고문헌

 

니콜로 마키아벨리. {로마사 논고}, 강정인, 안선재 옮김, 한길사, 2003.

       . {군주론}, 강정인, 김경희 옮김, 까치, 2015(4개역판).

블레즈 파스칼. {팡세}, 현미애 옮김, 을유문화사, 2013.

에티엔 발리바르. {우리, 유럽의 시민들},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0.

       . {정치체에 대한 권리},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1.

       . {역사유물론 연구}, 배세진 옮김, 오월의봄, 2019.

자크 데리다. {법의 힘}, 진태원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4.

       . {마르크스의 유령들}, 진태원 옮김, 그린비, 2014.

       . & 마우리치오 페라리스. {비밀의 취향}, 김민호 옮김, 이학사, 2022.

자크 랑시에르.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양창렬 옮김, 도서출판 길, 2013.

       . {불화: 정치와 철학},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길, 2015.

칼 마르크스. {프랑스 내전}, 안효상 옮김, 박종철출판사, 2003.

       .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2, 박종철출판사, 1997.

퀜틴 스키너. {퀜틴 스키너의 자유주의 이전의 자유}, 조승래 옮김, 푸른역사, 2007.

프리드리히 니체. {선악의 저편}, 박찬국 옮김, 아카넷, 2018.

       . {도덕의 계보}, 박찬국 옮김, 아카넷, 2021.

플라톤. {국가/정체}, 박종현 옮김, 서광사, 2005.

필립 페팃. 󰡔신공화주의󰡕, 곽준혁 옮김, 나남. 2009.

       . {왜 다시 자유인가?}, 곽준혁, 윤채영 옮김, 한길사, 2019.

한나 아렌트. {혁명론}, 홍원표 옮김, 한길사, 2004.

       . {공화국의 위기}, 김선욱 옮김, 한길사, 2011.

       . {난간 없이 사유하기}, 신충식 옮김, 문예출판사, 2023.

 

 

5. 수강생 참고 사항

 

1. 매 강의마다 강사의 강의록이 배포될 것이다.

2. 강의별 상세한 참고문헌은 강의록에서 제시될 것이다.

   

---------------------------------------------


수강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할 수 있습니다. 



공화정 안에 어떻게 광장의 목소리를 기입할 것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차은우 닮은이 2025-06-23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강원도 횡성의 자랑, 탕수육 넘버원 진태원 선생님 응원합니다
댓글저장
 



대구의 진보 언론인 뉴스민에서 오는 6월 24일부터 7월 29일까지 6회에 걸쳐서 


<내란 이후, 어떤 민주공화국을 만들 것인가?>라는 주제로 연속 강연회를 개최합니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자, 활동가를 초청해서 진행하는 강연회여서


대선 이후 우리의 민주공화정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방향을 모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


어떤 민주공화정을 만들 것인가?

12.3 친위쿠데타로 촉발된 내란 사태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끝으로 일단락됐다.하지만 이것이 우리가 지난 6개월 동안 목격한 한국 헌정의 재난에 대한 진정한 해결이라고 믿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이번 내란 사태를 진정으로 극복하는 길은, 불과 10여 년 사이에 두 차례의 탄핵 사건을 겪으면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함을 새로운 민주공화국의 구성으로 전환하는 길이다. 이런 취지에서 이번 연속강연회에서는 6명의 강연자와 함께 어떻게 한국이라는 정치공동체를 더 평등하고 자유로운, 더 정의롭고 호혜적인 민주공화국으로 구성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보고자 한다. 

일 시: 25년 6월 24일부터 7월 29일까지 매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장 소: 생명평화나눔의집 (명덕로 411 광덕빌딩 8층)  

수강료 안내

- 일반 수강 : 전강 6만 원(개별 강의 2만 원)

- 뉴스민 후원회원 무료 

- 학생, 장애인 등 일반 수강 비용 부담이 큰 수강 희망자는 50% 할인 (납부 전 사전 문의)

수강료 납부

- 사전납부 : 504-10-127123-8 [IM뱅크((구)대구은행) : (사)뉴스민] 

- 현장에서 현금 납부 가능

신청자에 한 해 폐쇄형 생중계 병행 예정

문의 : 010-6501-3088 (이메일) newsmin@newsmin.co.kr

주최: 대구경북 독립언론 <뉴스민>

<강연 일정>

1강> 6월 24일(화) 진 태 원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 : 더 많은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공화정은 어떻게 가능한가?

2강> 7월 1일(화) 한 상 희 (건국대 법전원 명예교수) : 제7공화국 개헌의 쟁점들

3강> 7월 7일(월) 채 효 정 (오늘의교육 편집위원장) : 우리는 왜 '민주공화국'으로 갈 수 없는가?

4강> 7월 15일(화) 정 욱 식 (한겨레사회연구소 소장) : 북한의 두 국가 선언 이후 한반도 평화의 전망

5강> 7월 22일(화) 박 제 성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노동에 기초를 둔 민주공화국이란 무엇인가?

6강> 7월 29일(화) 김 규 항 ('고래가 그랬어' 편집인) : 물신세계의 노동자와 민주주의

----------------------------------------

사전 강의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할 수 있습니다. 


[뉴스민 기획강좌] TK리부트 : 광장의 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김종대 민주노동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오늘 아침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나눈 


대담의 제목이네요. 어려운 여건에서도 진보 정치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TV 토론도 인상적이었고, 정책 공약 등도 좋았습니다. 


이번 선거가 새로운 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아래는 방송 링크입니다.


-------------------------------------



[시선집중] 김종대 “유세 포기하고 태안 달려간 권영국, 누가 세상을 품는 자세가 된 후보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알튀세르 2025-06-10 1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진태원 선생님은 탕수육 맛집이시다...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