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슐라르 2006-04-27
안녕하세요^-^ 문화와 철학 듣고 싶었는데 전필때문에 못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흑 ㅠ
지금까지 알튀세르 글을 학회 커리 같은 데서만 읽어왔는데요. 제대로 처음부터 읽고자 마음먹고 이리저리 알튀세르를 소개하는 글들을 읽어 보는 중이에요-_ㅠ 읽었던 글들도 자꾸 까먹고.. 뭔가 틀이 안 잡혀 있는 것 같아서요 ㅠ
어제 <알튀세르:이론의 우회> 라는 책을 스윽 읽었는데요, 마지막 장에 알튀세르주의의 실추가 언급되는 부분에서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ㅠ 알튀세르의 이론이 자기비판을 통해 움직여간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한 역사유물론의 우위에 대한 철폐?!라던가 <자본>이 헤겔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으로 가득차 있다는 비판이라던가..알튀세르가 자신의 기존 작업을 부인하는 듯한 모습이 보였는데요. 아직 알튀세의 저작을 완전히 읽은 게 없지만 그나마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던 글들이 완전히 뒤집어지는 것인지, 아닌지 마구 혼란스러워지기 시작했어요 ㅠ
'오늘날의 맑스주의' 무렵에 행해지는 알튀세르의 자기 비판이 정말로 회의에 빠져버린 모습인가요?(잘 읽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정세를 강조하는 등 의미 있는 부분도 많은 것 같았는데, 저 책은 알튀세르주의에 작별을 고하고 있더군요;) 지금까지 알튀세의 글을 마르크스주의의 과학화로만 이해해왔던지라 후기의 저작들에 대해 저런 설명을 접하고 나서는 갑자기 막막해지기 시작했습니다-_ㅠ
정말 체계적이지 않게; 아무렇게나 주어진 글을 읽어오다보니 이런 일이 생긴 것 같아요.. 발리바르는 후기 알튀세의 입장(맑스를 위하여, 자본을 읽자 등등에서 제시된 많은 명제들의 철폐 같은..)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현재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ㅠ 선생님은 후기 알튀세 저작을 통해 그 전의 저작들을 어떻게 다시 읽어내셨을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ㅠㅁㅠ
(아차, 알튀세에 관한 좋은 개설서 같은 거 있음 추천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