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명록




알고싶다 2005-07-16  

저도 하늘을 받들고 싶어요.
아니 알라딘에서 둘째로 진귀하다고 하면 서러울 이곳에 와서 이제서야 방명록을 쓰는 무례를 범하다니. 게다가 제가 아는 게 워낙 없는지라, 처음 쓰는 글에, 그것도 무엇을 여쭤보려고 글을 쓰는 것 같아서 얼굴이 토마토처럼 붉어졌어요! ^-^ 데리다가 자주 쓴 시의성(時宜性)이란 용어의 개념은 <모든 관찰자와 역사성으로부터 독립하여 그 자체로 참인 이론은 없다>는 것을 지지하기 위해서 쓰인 거 맞지요? 그런데 위의 정리 자체가 시의성을 넘어서서 수용될 수 있다면, 그게 관찰자와 역사성으로부터 독립한 참인 명제가 되는 것 아닌가요? 그러한 이론을 진리라고 전제한다면 진리는 내재론의 틀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일까요? (저는 내재론이, 가치라고 이름붙여지는 것이 무엇이든 주관적으로 옳다고 보는 문화상대주의, '토마스 쿤'적인 혹은 '푸코'적인 상대론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아, 그리고 굳이 <법의 힘>까지 거론하지 않더라도 벤야민에 대한 이해가 탁월하신 것 같아요. <아케이드 프로젝트>라는 책이 작년 여름에 출간되었던데 문화 비평, 특히 벤야민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더군요. 권할만한 책인가요? 접해보셨다면 번역상태가 좋은지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어요. 감사 (__)
 
 
balmas 2005-07-16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리들러님 무슨 새삼스럽게 인사를 ... ^-^

그런데 "시의성"이라는 건 뭘 말하시는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이 말의
원어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그걸 알아야 답변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

그리고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수잔 벅 모스의 책을 말씀하시는 거죠?
저도 아직 읽어보지 못했는데, 듣자 하니 번역이 괜찮다고 하더군요.

알고싶다 2005-07-17 1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제가 실수를! 시의성 자체가 용어는 아닙니다. l'intempestif 로서의 시의성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었습니다. 33333 축하! 그... 그런데 전 5행시 어렵다고 절대 말 못해요! 흑!

balmas 2005-07-17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역시 그렇군요. ^^
"l'intempestif"는 보통은 "때를 잘못 맞춘"이나 "시의적절하지 않은"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런데 데리다는 이처럼 보통의 시간의 흐름 또는 보통의 시간의식에서 볼 때는 "시의적절하지 않은 것"이 매우 시의적절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보죠.
가령 데리다는 이런 예를 들고 있죠.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이 차례로 몰락하고 난 다음인 1993년에 자신이 마르크스에 관한 책([마르크스의 유령들])을 낸 것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왜 이제서야 이런 책을 냈느냐, 왜 이런 때맞지 않는 짓을 했느냐고 힐난했지만, 데리다 자신이 보기에 그건 결코 시의적절하지 않은 행위가 아니라는 것이죠.
데리다가 이렇게 말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죠.
우선, 현실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나서 [마르크스의 유령들]이 출간된 것이 시의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것은 현실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또는 마르크스의 사상이 동일하다는 생각, 그리고 더 나아가서 마르크스주의는 해방운동/변혁운동 전체와 동일하다는 생각을 전제하고 있죠. 하지만 데리다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balmas 2005-07-18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실 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나 마르크스 사상과 동일한 것도 아니고, 또 마르크스주의가 해방 운동/변혁 운동의 전부도 아니라는 거죠. 따라서 우리가 역사적 사회주의(또는 공산주의)의 한계와 실패를 딛고 변혁운동/해방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역사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마르크스주의의 차이, 마르크스주의와 다른 해방운동의 차이,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와 해방운동의 보편적 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다시 한번 재검토하고 비판적으로 독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죠. 데리다가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마르크스의 유산을 비판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되풀이해서 강조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둘째로, 시의적절하지 않은 것이 때로는 매우 시의적절할 수 있다는 생각은
시간의 구조, 역사의 구조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전제하고 있죠. 길게 말할 수는 없지만, 데리다는 [마르크스의 유령들]이나 다른 몇몇 저작에서 이처럼 때맞지 않는 시의적절함을 "정의의 시간" 또는 "정의의 순간"과 연결시키고 있죠.

balmas 2005-07-18 0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데리다가 보기에 이런 "정의의 순간"은 보통의 규칙적인 시간의 흐름이 정지되거나 급격하게 동요하는 순간입니다. 가령 1917년 사회주의 혁명도 그런 순간일 것이고, 아니면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도 그런 순간일 테고, 또는 우리나라 같은 경우라면 1980년 광주, 1987년의 시민, 노동자 투쟁의 순간이 그런 순간이겠죠. 그래서 데리다는 [햄릿]의 한 대사를 빌려와서 이런 정의의 시간, 정의의 순간을 "뒤틀리고 어긋난 시간"이라고 부르죠.
그런데 데리다에 따르면 이런 정의의 시간, 정의의 순간은 매우 특이하고 일시적인 한 순간을 가리킨다기보다는 보편적 시간의 또다른 차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의의 시간은 보편적인 해방의 경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이 정도면 질문하신 것에 대해 어느 정도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군요.

알고싶다 2005-07-19 0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인생에 자랑거리 하나 더 생겼어요. 발마스님한테 이렇게 친절한 답변을 얻어내다니 ㅋㅋㅋ 감사드릴 따름이죠. 페이퍼로도 올리셨더군요. 그건 제 서재에도 퍼가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그런 미스테리한 소리를 해대죠. 사르트르가 참여예술론을 제창하니까 소련의 어용예술이 상기된다고 하질 않나. 알튀세르같은 경우에도 '70년대부터 줄기차게 스탈린주의 러시아를 비판해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실사회주의가 인민 이익을 변형시키는 잔인한 논리의 이념형에 불과할 뿐이라는 걸 비판하고자 함이었겠죠. 용어의 혼동 혹은 이데올로기화에서 기인하는 문제가 큰 것 같아요. 전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하면 스탈린주의 러시아를 떠올리고, 데리다 철학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을 떠올리죠. 다시한번 감사! ^-^
 


cplesas 2005-07-12  

처음 아니에요.
안녕하세요^^ 좋은 글들 마니 보구 가기만 했는데, 지금 인사하려니 꽤나 쑥쓰럽네요;; 전남대 철학과 학부생이구요. 청년글방이라는 인문사회과학서점에 있어요. 여기 있는 책들하고는 쪼금 친한 편이라 여러 곳에서 선생님 이름을 봅니다. 몰랐는데 트랜스토리아 이번호에도 글이 실려있다길래, 달려가 확인해보니 정말이더군요ㅋ 여기에는 프랑스 철학 전공하신 선생님이 없어서, 괴로운 개념들을 어떻게 해볼 수가 없었는데, 앞으로는 종종 여기서 귀찮게 해드려야 할 것 같아요. 그러니까 지금부터요. 헤에, 한 가지 여쭤볼께요. 『맑스를 위하여』(이종영 역, 백의)에서 <고유성>으로 번역된 그것을 선생님은 <종별성>으로 번역하시던데요. 그건 어디서 쓰이는 개념이며(설마 아리스토텔레스?), 왜 그렇게 번역되어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ps. '좀 더 널리 읽혀야 할 책들-3'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지과학의 철학적 이해』가 제게 있다는 사실이 위안이 되었죠ㅋ
 
 
balmas 2005-07-13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갑습니다, 무영님. ^^
<종별성>의 원어는 (영어로 표기하자면)예요. 이 단어는 <종>, <종류>라는 라틴어의 를 어원으로 하고 있죠. <유>나 <개체>와 구분되는 의미의 <종>이라는 뜻 말이죠. 그래서 <종별성>이라고 번역한 건 어원이 갖고 있는 논리적 함의를 존중하기 위해서예요.
<고유성>이라고 번역한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될 건 없는데, 다만 <고유성>은 불어의 , 라는 단어의 번역어로 더 적합하죠. 이 단어들은 <종별성>과 달리 <어떤 개체>에 고유한 특성이나 특징을 가리키는 말이죠. 따라서 <종별성>과 <고유성>을 구분해서 번역하는 게, 어원의 의미에도 좀더 충실할 것 같고, 우리말 단어들을 좀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더 나을 것 같네요.
 


마태우스 2005-07-11  

발마스님
지난주 신기의 기술을 보여주시더니, 이번주엔 부리보다도 못한 57위로 밀려나셨네요. 어찌된 일입니까. 이번주에도 문제없다고 호탕하게 웃으시더니만... 님의 30위를 가능하게 해줬던 바탕인 '생성철학'이 장마에 젖어버리기라도 한 것인가요. 필경 님을 시기하는 사람들의 음모거나, 다른 바쁘신 일이 있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건투를 빌구요, 다음주에는 둘다 30위 안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룩합시다 -마태 드림-
 
 
balmas 2005-07-11 1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흑흑, 마태우스님, 리뷰를 한두 개 썼어야 하는데, 그만 ...
하지만 다음 주에는 기필코!!!
마태우스님은 무려 top 5 안에 드셨네요. 감축드리옵니다. (__)

부리 2005-07-12 0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지 마세요. 30위가 뭐 별건가요. 가벼운 3위보다 님처럼 심오한 57위가 더 값질 때가 있죠.

balmas 2005-07-13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57위에도 <심오한> 게 있나요??
어쨌든 격려 감솨~~
다음 주에는 반드시!!!!!
 


부리 2005-07-04  

발마스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29등으로 달인이 되시다니, 남들 같으면 우연이라 하겠지만, 발마스님이 그러시니 왠지 가능한 모든 조합을 따져서 선택하신 것처럼 느껴집니다. 축하드리구요, 다음 주에도 달인으로 만나요, 우리. -아참, 난 부리지.... 마탠 줄 알았네-
 
 
balmas 2005-07-04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역시 부리님만이 알아주시는군요.
흑흑, 사실은 30등으로 딱 맞춰서 달인이 되려고 했는데, 약간의 계산착오로
그만 ... 다음 번에는 꼭 30등으로 달인이 되어 부리님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할게요. 부리님이 29등 하세요. :-)

부리 2005-07-05 0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29등 같은 건 안합니다!!!!!!!!! 제가 서재달인이 되면 그건 아마 톱텐 정도?? 음하하하.
 


마냐 2005-06-26  

^^
이게 웬 떡이냐...뭐, 이런 기분에다...이건 분명 발마스님의 선물이야..캬캬....혼자 좋아하면서 글을 퍼감다. 고마운 마음...방명록에도 도장 쾅쾅 찍으려다 보니....발마스님의 방명록은 매우 특이하네요. 정말 실리적이고 생산적인 지적 도우미 역할을 하신다고나 할까요. ㅋㅋ
 
 
balmas 2005-06-26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댓글도 남기시고 방명록에까지 인사를 하시네요.
보람 만땅입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