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몇몇 언론에는 산모 나이가 많을수록 기형아 출산 위험이 높다는 한국 보건복지부의 '연구 결과'가 보도되었다. 

이 연구와 보도가 얼마나 비열하고 또 멍청한 것인지는 아래에 소개한 외국 주요 언론의 몇몇 기사만 참조해도  

쉽게 알 수 있다. 뉴욕타임스와 가디언의 보도 요지는 고령 아버지를 둔 아이일수록 유전적인 질병과 지적 능력 저하의 

위험이 높다는 점이다. 고령 산모의 경우 당연히 고령의 배우자가 있을 것이라는 점은 명백한 것인데도 한국 보건복지부는  

일방적으로 고령 산모의 책임만 제기하고 있는 셈이다.  

그 밑바닥에 깔려 있는 비열하고 궁색한 저의가 무엇인지는 너무나 명백하며 또 그것을 위해 사회적 약자인 여성들을  

일방적인 희생양으로 삼고 있는 파렴치한 태도는 놀랍기 짝이 없다. 그러한 저의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제기 없이 

보건복지부의 장단 위에서 신나게 과장된 춤을 추는 언론의 멍청함은 말할 것도 없다.

한국의 관료들과 언론의 수준이 이렇다.    

몇 년 전 황우석 사태가 터지기 바로 직전에 이충웅 선생이 한국 언론의 과학 보도의 문제점에 대해 신랄하게 

지적한 적이 있는데, 그 문제점이 또 한번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특히 이충웅 선생은 책에서 이미 고령 산모를  

고위험 산모로 간주하는 통념의 허구성에 대해 설득력 있게 비판한 바 있다. 

(이충웅 선생의 책에 대한 소개글은 아래 링크 참조  

http://blog.aladin.co.kr/balmas/701158 

 http://blog.aladin.co.kr/balmas/701179 )

 

 

참고로 외국 언론의 보도 내용은 아래 링크에 나오는 개스타운 님의 댓글을 참조해서 가져온 것임을 밝혀둔다.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12&newsid=20100127120323132&p=nocut&allComment=T&commentViewOption=true 

 

 ------------------------------------------------

한국 보건복지부 발표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01&newsid=20100127120323132&p=nocut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03&newsid=20100127095513612&p=mk

  고령출산시 기형아 출생확율 50% 높아


 

뉴욕타임스 기사

http://www.nytimes.com/2007/02/28/health/28iht-snfert.4748536.html?_r=1

 

Older fathers appear to raise risks of genetic disorders

 

By Roni Rabin

 

Published: Wednesday, February 28, 2007

 

When it comes to fertility and the prospect of having normal babies, it has always been assumed that men have no biological clock — that unlike women, they can have it all, at any age.

 

But mounting evidence is raising questions about that assumption, suggesting that as men get older, they face an increased risk of fathering children with abnormalities. Several recent studies are starting to persuade many doctors that men should not be too cavalier about postponing marriage and children.

 

Until now, the problems known to occur more often with advanced paternal age were so rare they received scant public attention. The newer studies were alarming because they found higher rates of more common conditions — including autism and schizophrenia — in offspring born to men in their middle and late 40s. A number of studies also suggest that male fertility may diminish with age.

 

"Obvious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 simply can't have children after a certain age," said Dr. Harry Fisch, director of the Male Reproductive Center at New York-Presbyterian Hospital/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the author of "The Male Biological Clock."

 

"But not every man can be guaranteed that everything's going to be fine," Fisch said. "Fertility will drop for some men, others will maintain their fertility but not to the same degree, and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genetic abnormalities."

 

It's a touchy subject. "Advanced maternal age" is formally defined: women who are 35 or older when they deliver their baby may have "AMA" stamped on their medical files to call attention to the higher risks they face. But the concept of "advanced paternal age" is murky. Many experts are skeptical about the latest findings, and doctors appear to be in no rush to set age guidelines or safety perimeters for would-be fathers, content instead to issue vague sooner-rather-than- later warnings.

 

"The problem is that the data is very sparse right now," said Dr. Larry Lipschultz, a specialist in the field of male infertility and a past president of the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I don't think there's a consensus of what patients should be warned about."

 

And many men maintain their fertility, said Dr. Rebecca Sokol, president of the Society of Male Reproduction and Urology. "If you look at males over 50 or 40, yes, there is a decline in the number of sperm being produced, and there may be a decline in the amount of testosterone," Sokol said. But by and large, she added, "the sperm can still do their job."

 

Some advocates, however, welcome the attention being paid to the issue of male fertility, saying it is long overdue.

 

"The message to men is: 'Wake up,'" said Pamela Madsen, executive director of the American Fertility Association, a U.S. education and advocacy group. "It's not just about women anymore, it's about you, too."

 

Analyses of sperm samples from healthy men have found changes as men age, including increased fragmentation of DNA, and some studies outside the United States have noted increased rates of some cancers in children of older fathers.

 

Geneticists have been aware for decades that the risk of certain rare birth defects increases with the father's age. One of the most studied of these conditions is a form of dwarfism called achondroplasia, but the list also includes neurofibromatosis, the connective tissues disorder Marfan syndrome, skull and facial abnormalities like Apert syndrome, and many other diseases and abnormalities.

 

Some studies suggest that the risk of sporadic single-gene mutations may be four to five times higher for fathers who are 45 and older, compared with fathers in their 20s, said Dr. Joe Leigh Simpson, president-elect of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Overall, having an older father is estimated to increase the risk of a birth defect by 1 percent, against a background 3 percent risk for a birth defect, he said.

 

Even grandchildren may be at greater risk for some conditions that are not expressed in the daughter of an older father, according to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These include Duchenne muscular dystrophy, some types of hemophilia and fragile-X syndrome.

 

A recent study on autism attracted attention because of its striking findings. Researchers analyzed a large Israeli military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aternal age and the incidence of autism and related disorders. It found that children of men who became a father at 40 or older were 5.75 times as likely to have an autism disorder as those whose fathers were younger than 30.

 

"Until now, the dominant view has been, 'Blame it on the mother,'" said Dr. Avi Reichenberg, the lead author of the study, published in September in Th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But we foun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The older the father, the higher the risk. We think there is a biological mechanism that is linked to aging fathers."

 

A study on schizophrenia found that the risk of illness was doubled among children of fathers in their late 40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of fathers under 25, and increased almost threefold in children born to fathers 50 and older. This study was also carried out in Israel, which maintains the kind of large centralized health databases required for such research. In this case, the researchers used a registry of 87,907 births in Jerusalem between 1964 and 1976, and linked the records with an Israeli psychiatric registry.

 

According to the study's calculations, the risk of schizophrenia was 1 in 141 in children of fathers under 25 years, 1 in 99 for fathers 30 to 35, and 1 in 47 for fathers 50 and older. The study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older fathers and any other psychiatric conditions.

 

"When our paper came out, everyone said, 'They must have missed something,'" said an author of the study, Dr. Dolores Malaspina, chairwoman of the psychiatry department at New York University Medical Center. (Malaspina was also involved in the autism study.)

 

But studies elsewhere had similar findings, she said: a threefold increase in schizophrenia among offspring of older fathers.

 

Unlike women, who are born with a lifetime supply of eggs, men are constantly making new sperm. But the spermatogonia — the immature stem cells in the testes that replenish sperm — are constantly dividing and replicating, with each round of division creating another possibility for error.

 

While women have only about 24 divisions in the cells that produce their eggs, the cells that create sperm go through about 30 rounds of mitosis before puberty and through roughly 23 replications a year from puberty onward. By the time a man reaches 50, the cells that create his sperm have gone through more than 800 rounds of division and replication.

 

Skeptics say the studies find an association but do not prov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older father's genetic material and autism or schizophrenia, and note that other factors related to having an older father could be at play, including different parenthood styles.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father's own mental illness or autistic tendencies are responsible both for the late marriage and for the effect on the child.

 

But other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older fathers. Another study by Malaspina and Reichenberg, also using Israeli army data, found a correlation between having an older father and lower scores on nonverbal, or performance, IQ tests.

 

Fisch analyzed a New York State database of births and found that older fathers added to the risk of having a baby with Down syndrome if the mother was over 35. (The father's age seemed to have no effect if the mother was younger; younger women may have compensated for any problems of the older male.) The paper concluded that the father's age was a contributing factor in 50 percent of Down syndrome cases in babies born to women over 40.

 

Meanwhile, scientists have reported that sperm counts decline with age, and that sperm begin to lose motility and the ability to swim in a straight line. The researchers also reported a steady increase in sperm DNA fragmentation as men grew older, with a 2 percent increase each year in the gene mutation associated with achondroplasia, the dwarfism syndrome. They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age and the kinds of chromosomal changes that cause Down syndrome, but suggested that a small proportion of older fathers may be at increased risk for transmitting multiple genetic and chromosomal defects.

 

가디언 기사

 

http://www.guardian.co.uk/science/2009/mar/10/child-intelligence-older-fathers

 

Children with older fathers have lower IQs



Ian Sample, science correspondent The Guardian, Tuesday 10 March 2009

 

Children born to 20-year-old men score three points higher in IQ tests on average than those born to 50-year-olds.

 

Children born to older men perform worse in intelligence tests than those with younger fathers, researchers have found.

 

A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more than 30,000 children showed that those born to 20-year-old men scored on average three points higher in IQ tests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50-years-old when they were born.

 

The finding is the first to link men's age to impaired cognitive ability in their children and builds on recent work that suggests older men are more likely to have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efects, autism, schizophrenia and childhood cancers.

 

The same study found that children's IQ was marginally higher if they were born to older mothers, a finding scientists have put down to those women spending more time caring for and nurturing their infants.

 

The poorer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older fathers may be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but many scientists believe that genetic mutations that build up in the sperm of older men are to blame.

 

John McGrath at the Queensland Centre for Mental Health Research in Australia analysed records for 33,437 children born in the US between 1959 and 1965. The data included the children's scores on a variety of intelligence tests at the age of eight months, four years and seven years.

 

After taking into account differences in the parents' education and financial security, McGrath found a range of subtle impairments among children whose fathers were older, according to a report in the journal Plos medicine.

 

The differences in IQ scores are of concern because the age of fathers is rising. 25% of 1993 births in England and Wales were to men aged 35 to 54-years-old, but by 2003, that figure had risen to 40%.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10-01-28 06: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병신같은 기사에 병신같은 세상이네요.

balmas 2010-01-29 19:32   좋아요 0 | URL
ㅎㅎ 하이드님, 오랜만에 댓글 다셨네요.^^ 역시 여전히 과격하십니다.^^; 멋있다구요.ㅋ

조선인 2010-01-28 0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발마스님, 안 그래도 확 까고 싶은 기사였는데, 탁 짚어주시니 멋지십니다.

balmas 2010-01-29 19:33   좋아요 0 | URL
왠만한 지성을 가진 분들, 특히 여자분들은 다 분개하지 않을 수 없는 '연구'고 '기사'죠. 조선인님도 오랜만에 뵙습니다. :)

비로그인 2010-01-28 1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으로 고개를 불쑥]

출산 장려 캠페인에서부터, 결혼하라는 캠페인에서부터, 모든 문제 원인은 `여성' 입니다. 그런데 여성이 살기 힘든 세상은 남성도 살기 힘들다는 것을 사람들은 자주 잊나 봅니다. 특히 저런 기사를 내는 이들은요.

balmas 2010-01-29 19:34   좋아요 0 | URL
주드님 반갑습니다. :) 글쎄 말입니다. 다들 딸도 있을 거고 여동생이나 누나, 어머니가 있을 텐데요.

Joule 2010-01-28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마스 님에게 멍청하다는 말을 한 페이퍼에서 두 번이나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인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위인들은 정말 위인들인가 봐요. ( '')

balmas 2010-01-29 19:34   좋아요 0 | URL
ㅎㅎㅎ 그렇게 되나요? 줄님도 오랜만에 뵙네요.

쟈니 2010-01-28 14: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정말 동감합니다!!

balmas 2010-01-29 19:35   좋아요 0 | URL
동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사 읽고 너무 흥분한 거 아닌가 했는데, 공감해주시니 힘이 납니다.

마그 2010-01-28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컥...... 합니다. 그럼 여자가 애낳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 주시던지요.
막상 낳아도 친정부모/ 시댁부모아니면 맡길때도 없고. 심지어 그게 않되면 돈으로 발라야하고...
그나마 그거도 쉽지않고...아니면 애랑 떨어져 살아야하고... 거기에..
여자는 벌지않으면 먹고살기도 빡센 이노므 세상...

---- 지나다 첨 와놓구는...이리 흥분합니다. 실례했습니다. (_ _ )( ^^* )

balmas 2010-01-29 19:35   좋아요 0 | URL
마그님도 반갑습니다. 글쎄 말입니다. 애 낳기 어려운 환경인 줄 뻔히 알면서 애낳으라고 강요하고 협박하는 건 뭔지 모르겠습니다.

비로그인 2010-01-28 16: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나 더+한글을 어설프게 읽고 쓰는 제 외국인 친구는 `친정'이 보육기관인 줄 알았답니다.
아기는 어디 맡기십니까? 하는 설문에 대다수가 친정/시가 이러니까요.

balmas 2010-01-29 19:36   좋아요 0 | URL
정말 그럴 만하겠습니다. 왠만하면 다들 친정이나 시댁에 아이를 맡기니 ...
 
 전출처 : balmas님의 "프리즘 총서 첫번째 책-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

오 아주 중요한 지적을 해주셨네요.^^ 맞습니다. 프리즘의 갈래 분류는 얼마간 자의적입니다. 하지만 그 분류를 확정된 경계로 생각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얼마간 실용적이고 편의적인 분류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두셀의 저작은 철학적인 것에 들어갈 수도 있고, 탈-근대성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저작들도 마찬가지죠. 우물안개구리 님처럼 이 저작들을 상호 연관성의 시각에서 봐주신다면 편집자로서 더할나위없이 기쁘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푸코광신도 2010-02-12 1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발마스 님이 추천해주신 로마공화정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런데 허승일이란 분은 알고 보니 랑케광신도입니다. 역사를 신의 의지대로 진행되는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랑케를 이렇게나 사랑하는 분이 있었다니 놀랍습니다. 독자들이 이 분의 책을 읽고 랑케를 사랑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럼 새해 복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놀러왔다가 인사 드립니다.

balmas 2010-02-13 00:36   좋아요 0 | URL
예 반갑습니다. 종종 들르세요.
 

프리즘 총서의 첫번째 책인 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가 이번 주에 나왔습니다.  



경북대에 계신 변학수 선생님께서 번역의 수고를 맡아주셨습니다. 사실 이 책은 번역자에게는 무척이나  

괴롭고 귀찮은 책인데, 이집트어,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프랑스어로 된 수많은 문헌들이 인용되고  

있고 많은 경우 번역 없이 그대로 각주에 노출되어 있으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좋은 번역을 해주신 변학수 선생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사실 '첫번째' 책이라는 것에 대해 큰 의미는 부여하고 싶지 않은데, 프리즘 총서에서는 1, 2, 3 같은 숫자보다는  

책 하나하나가 지닌 독특한 내용과 의미, 효과를 중시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책이라는 것보다는  

이 책의 탁월한 내용과 깊은 의의, 또 그것들이 국내의 인문학 논의에서 산출하게 될 효과들이라는 측면에서 

좀더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탐독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참고로 표지에 대해 말씀드리면, 프리즘 총서는 7개의 작은 갈래로 이루어져 있고 각 갈래에서 나오는 책들은 

고유한 색깔을 띤 표지로 구별되는데, 얀 아스만의 이 책은 "철학적인 것의 프리즘"에 속해 있어서 노란색 

표지로 돼 있습니다.

 

아래는 출판사에서 낸 책 소개인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ttp://greenbee.co.kr/book/book_info.php?article_id=171&series=1254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1-14 0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0-01-14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나요?

balmas 2010-01-16 0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오랜만이세요.^^ 저는 재미있는데 다른 사람들도 그럴지는 잘 모르겠어요.^^ 서양문명사나 종교사 등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는 아주 유익하고 좋은 책이랍니다.

stella.K 2010-01-19 11:18   좋아요 0 | URL
헉, 오늘에야 님의 댓글을 보네요. 그렇군요.
정말 오랫만이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balmas 2010-01-20 15:44   좋아요 0 | URL
예, 스텔라님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우물 안 개구리 2010-01-18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런 책들을 접할 때마다 항상 의문이 든다. 과연 우리가 유럽인들보다 더 자세히 이런 것들을 알아야 하는지 하는 의문이 떠나지를 않는다. 이것이 우리의 현실적 조건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일까? 거기에 대한 지식생산자 또는 소비자들의 언급은 항상 빈약하다. 유럽중심주의적 이분법을 비판하면서도 본인이 그런 이분법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이화여대 강철구 씨 같은 분이다. 아닌 것 같다고?

현실의 인식은 각자가 항상 다르다. 민주주의는 권력의 문제가 아닌가? 권력은 세계 도처에서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렇게 보면 이 세계에 민주주의 사회란 존재하지 않는다. 민주주의가 돌출한다고 말할 수는 있어도 민주주의는 없는 것이다.

새로운 문명이 문제인가? 아니면 문명 자체가 문제인가?

필연적인 전개과정이라? 과연 그런 것이 있을까? 우연적인 전개과정을 어떤 결과가 주어진 시점에서 필연적인 전개과정이라고 인식하고 결론을 내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닐까?

프리즘 총서가 나오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기존에 나왔던 책들이 다시 나온다는 점에서 책값이 아깝다는 생각도 든다. 기존에 나왔던 책들은 소프트커버로 나오면 사고 안 나오면 안 살 것이다. 믿을 수 있는 번역들인지는 발마스 님이 얘기해 주셨으면 좋겠다.

balmas 2010-01-19 01:44   좋아요 0 | URL
ㅎㅎㅎ 프리즘 총서의 책들은 모두 소프트커버로 나올 예정입니다.^^ 많이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번역은 될 수 있는 한 유능한 분들께 맡기고 세심하게 검토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우물 안 개구리 2010-01-18 1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프리즘 총서가 나오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왜 탈-근대적인 것, 포스트식민적인 것, 철학적인 것, 예술적인 것, 정치적인 것, 신자유주의, 생명권력을 서로 분리할 필요가 있을까?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읽어봐도 저 프리즘들은 모두 겹쳐서 이야기되고 있다. 내가 알기로는 푸코는 분과학문의 경계는 자의적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발마스 님 또는 프리즘 총서의 저 자의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푸코를 얘기하지만 별로 푸코적이지도 않다.

탈-근대적이면서 포스트식민적이고 철학적이면서 정치적이며 신자유주의를 얘기하면서 예술적인 것 아닌가? 그것들이 별개의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는 이데올로기를 이 프리즘 총서의 기획에서 우리는 찾을 수 있다.

이 프리즘 총서는 그러한 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을 꿈꾸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사람들의 저작들을 내는 것은 틀림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정치적으로는 반대하지만 인식론적으로는 거기에 머물러 있다.

발마스 님이나 프리즘 총서 기획자는 내 글을 부당하고 여길지도 모른다. 그러면 물어 보자. 라틴 아메리카 해방 철학의 대가인 엔리케 두셀이 철학적인 것의 프리즘이 아니라 왜 포스트식민주의의 프리즘에 속해 있는가?

그는 "트랜스모더니티"라는 개념으로 유명한데 그러면 탈-근대성의 프리즘에 넣을 수도 있지 않는가? 또 정치적인 프리즘에 넣지 못할 이유는 무엇인가?

세계화보다는 글로벌화 또는 전지구화라는 번역이 더 나아 보이지만 어쨌든 신자유주의가 모던이나 식민주의와 무관한가? 그것은 정치적이고 철학적인 것과 나아가서 예술적인 것과 생명 권력과 무관한가?

쓸데 없는 얘기를 장황하게 늘어 놓아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그냥 진보적이며서 새롭기만 한 것은 문제가 있다. 우물 안 개구리인 내가 진보적인 사람들을 잘 믿지 않는 것은 이런 근거 때문이다.

balmas 2010-01-19 01:43   좋아요 0 | URL
오 아주 중요한 지적을 해주셨네요.^^ 맞습니다. 프리즘의 갈래 분류는 얼마간 자의적입니다. 하지만 그 분류를 확정된 경계로 생각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얼마간 실용적이고 편의적인 분류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두셀의 저작은 철학적인 것에 들어갈 수도 있고, 탈-근대성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저작들도 마찬가지죠. 우물안개구리 님처럼 이 저작들을 상호 연관성의 시각에서 봐주신다면 편집자로서 더할나위없이 기쁘겠습니다.^^

우물 안 개구리 2010-01-18 1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어차피 지식생산자들은 독자들(소비자들)을 지배하는 존재다. 그런 의미에서 발마스 님은 권력자인 것이다. 소비자들은 그런 불평등한 관계 안에서 강의를 듣고 책을 읽는다. 이것은 발마스 님의 인격과는 무관한 조건이다. 그렇다고 지식인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지식인은 필요하다.

나는 독자가 책을 읽으면서 저자와 대화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화는 평등한 관계 속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책을 읽는 것 자체가 이미 인식론적 폭력을 수반한다.

대화가 아니라 대결을 해야 한다. 불평등한 관계 속에서도 대결은 가능하다. 역사 속의 수많은 농민봉기를 상기해 보시기 바란다. 독자는 저자가 만들어내는 이데올로기적인 언어적 구성물과 대결하면서 저자조차 모르는 그 언어적 구성물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의미의 의미"를 찾아내야 한다. 그 "의미의 의미"를 통해 저자를 이해하는 것이다.

... 2010-01-27 23:21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독자들은 소비자고 발마스=권력자라니 그건 정말 어이가 없군요; 그건 대체 얼마나 "자본주의"적인 정식화입니까? 대화가 평등한 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고 하는데, 푸코에 대해서 생각해보신다면 오히려 대화가 평등을 가능하게 하는, 관계가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충분히 생각해 보실 문제 아닐지.

푸코광신도 2010-02-12 19:25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님 제가 보기에 우물 안 개구리는 푸코광신도가 아니라 알튀세르나 스피박의 광신도입니다. 형식적인 의미에서의 대화가 아니라 서로 절대적인 타자로 만나는 것, 서로 대등한 관계로 대면하는 것을 대화로 생각하는 거지요. 스피박이 들뢰즈나 푸코를 어떻게 비판했는지 상기해 보세요. 지식생산자가 수많은 사람들을 어떻게 타자화시키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나요? 대상화되는 자들도 이데올로기에 함몰되어 있고 그들을 마치 주체인 것처럼 묘사하는 지식생산자도 이데올로기에 함몰되어 있다는 거죠. 거기서 무슨 대화가 가능할까요? 권력과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거기서 발생하는 거죠. 아무튼 제가 이해하는 우물 안 개구리 님의 얘기는 그렇습니다. 이름부터가 우물 안 개구리 아닙니까?

우물 안 개구리 2010-01-18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런 의미에서 한 번 더 강조한다. 역사 속에서 필연적인 전개과정이란 것이 있을까?

그 필연적인 전개과정은 항상 결과가 주어진 시점에서 인식이 시작된다. 우연적일 수도 있는 것을 필연으로 배치하고 인식하는 자는 누구인가?

이 한마디가 발마스 님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는 프리즘총서가 나오기를 바란다. 하지만 프리즘총서가 나오는 것이 필연적인 전개과정일까? 아닐까?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인식해야 할 것인가? 전개과정은 우연이고 인식방법이 필연적인 것은 혹시 아닌가?

<말과 사물>도 재출간됐으면 좋겠다. 7개의 프리즘 중에 어디에 속할지 알 수 없지만 그 책의 앞부분의 동물을 분류하는 방식이 프리즘 총서의 분류 방법과 묘한 조화 또는 부조화를 이룰 것이다.

소프트커버주의자 2010-01-18 18:17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그럼 뭐 해! 뻘짓인 걸!

발마스 님 로그인 걸어 버리세요.

miro 2012-01-13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중한 책이네요. 감사합니다. *ㅍ*

balmas 2012-01-14 00:32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미로님.^^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독서 하시길. :)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에서 제가 진행하는 정치철학 세미나도 곁들여 안내합니다.  

정치철학 세미나는 2009년 봄부터 시작했고, 지금까지 에티엔 발리바르와 랑시에르의 저작들을  

공부했습니다. 2010년 겨울/봄 세미나에서는 다음과 같은 저작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2010년 1월-4월  

자크 랑시에르, {불화},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길 (근간).   

2010년 4월-6월  

에티엔 발리바르, {폭력과 시빌리테},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난장 (근간). 

 

1월부터 6월까지는 제가 번역해서 출간할 예정인 이 두 책을 중심으로 세미나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두 권 모두 제가 번역한 원고를 읽을 예정이며, 두 책과 관련된 랑시에르와 발리바르의 다른 논문 및  

인터뷰를 함께 공부할 계획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세미나에는 참여 자격 제한이 없습니다.  

단 외국어를 잘하시는 분은 특히 환영합니다.^^

1월-6월까지 진행될 정치철학 세미나는 격주 금요일 7시에 새움 세미나실에서 있습니다.  

세미나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2번 이상 결석할 경우 더 이상 세미나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을  

규칙으로 삼고 있으니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1-09 20: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ㅁㄴㄴ 2010-01-18 0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세미나는 언제 시작하는건가요? 자세한 공지가 없는것 같아서;

balmas 2010-01-18 0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세미나는 1월 22일, 그러니까 이번 주 금요일 7시에 새움 세미나실에서 있고 이번에 다룰 책은 랑시에르, [감성의 분할]입니다.^^

2010-01-18 0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10-01-20 15:44   좋아요 0 | URL
예 그날 뵙겠습니다. :)

2010-01-19 15: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10-01-20 15:44   좋아요 0 | URL
이번 주부터 오세요.^^ [감성의 분할] 읽고 오시면 됩니다. :)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의 겨울강좌 및 세미나가 시작돼서 안내합니다. 새움의 강좌와 세미나는 모두 무료이니까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좀더 자세한 사항 및 연락처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club.cyworld.com/ClubV1/Home.cy/51536042 

 

-----------------------------------------------------------------------------------

 

 

겨울 대중강좌 및 세미나

 


 

세상엔 공짜는 없다? 새움은 공짜다!

알찬 공부, 따뜻한 사람들, 안락한 공간!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에는 뜨거운 열정만 가지고 오시면 됩니다!



 

<대중강좌>


1. 유럽 중심주의를 비판한다.

일정: 1월 12일부터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1강(1월 12일)


유럽중심주의의 세계사 서술 비판 I


강철구(이화여대 사학과 교수, “우리 눈으로 보는 세계사” 저자)


2강(1월 19일)


유럽중심주의의 세계사 서술 비판 II


강철구(이화여대 사학과 교수, “우리 눈으로 보는 세계사” 저자)


3강(1월 26일)


유럽중심주의의 세계사 서술 비판 III


강철구(이화여대 사학과 교수, “우리 눈으로 보는 세계사” 저자)


4강(2월 2일)


한국진보진영의 유럽 편향에 대해


민경우(통일뉴스 전문기자)


5강(2월 9일)


맑스주의 안의 유럽중심적 경향들


한형식(새움 회원)


6강(2월 16일)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유럽중심주의와 역사학


염운옥(동경대 역사학 박사, 인종주의 전공)




 

2. 녹색 성장, 환경적(的)인가? 환경의 적(敵)인가?

일정/문의: 1월 6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9시, 김민정(019-372-3025)

 



1강

(1월 6일)


MB식 녹색 성장은 친환경적인가?

4대강 사업의 정체는 무엇일까?


김민정(비정규직 사회학 강사)

김종남(환경운동연합 총장)


2강

(1월 13일)


기후 온난화에 맞선 우리의 대응 방안은?

핵 발전소는 기후 온난화의 대안인가?


김종환(연세대지구환경연구소 연구원)

이헌석(에너지정의행동 간사)


3강

(1월 20일)


노동조합운동과 환경운동의 만남

에너지 전환과 녹색 일자리 창출


이호동(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대표)

한재각(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


4강

(1월 27일)


마르크스적 대안 모색

다양한 공동체적 대안에 대한 비판적 평가


황정규(해방연대)

권오범(새움 회원)




 

3. 맑스로 보는 경제, 맑스로 읽는 경제학

일시: 1월 14일부터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강사: 김정주(새움 회원, 경제학 박사)

 




1강(1월 14일) 노동과 가치형성

2강(1월 21일) 이윤의 원천과 잉여가치 생산

3강(1월 28일)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와 자본주의의 내재적 불안정성


4강(2월 4일) 이윤율의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대두

5강(2월 11일) 세계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의 파산

6강(2월 18일) 한국경제의 마르크스 비율 분석과 새로운 대안의 모색

 

 




 

<세미나>


 

1. 근대 동북아시아의 이데올로기와 그 물질적 조건들

 

일본, 한국, 중국 등 근대 동북아시아에서의 지배/저항 이데올로기들의 성격과 역학, 그리고 그것이 근거하고 있는 물질적 조건들에 대해 공부해 나간다. 이 세미나는 단지 훈고학적인 동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바로 지금(후기 근대 또는 현대) 여기(동북아시아 또는 한국)의 정치와 현실을 인식하고 변혁하기 위한 비판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일시: 1월 11일(월)부터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간사: 이지원(새움 회원_010-9553-8252)



 

2. 자본론 세미나: 자본론 2권

 

일시: 1월 13일(수) 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간사: 유승민(새움 회원_011-9975-1392)



 

3. 가치, 노동, 화폐_맑스 경제학의 관점에서

 

자본론 1권에 등장하는 가치와 화폐 그리고 노동과정에 대한 맑스 이후의 여러 논의들을 15주동안

함께 공부합니다.

 

일정: 1월 5일(화) 예비모임(오후 2시 30분), 12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30분

 

간사: 박종식(새움 회원, 노동 사회학 전공), 유승민(새움 회원, 경제학 전공_011-9975-13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