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위기론’의 실체를 말한다

시장유일주의를 감시하는 사회의 근본적 가치가 흔들리는 절박한 상황…‘밥그릇 타령’으로 오해 말고 ‘인간다운 사회’ 고민하는 교육을 복원하라

▣ 도정일 문학평론가·경희대 명예교수

인문학 위기론은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위기에 처했다거나 인문학 종사자들의 밥그릇이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는 식의 문제의식에 한정된 얘기가 아니다. 그런 정도의 문제라면 인문학자들이 구태여 학문세계 바깥의 ‘사회’를 향해 위기신호 같은 것을 송출할 필요가 없다.


△ 인문적 가치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난 9월26일 한국학술진흥재단과 전국인문대학장단이 마련한 인문주간 개회식이 이화여대에서 열렸다.(사진/ 한겨레 김경호 기자)

인문학 위기론의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인문학의 위기가 곧바로 사회적 위기이고 사회적 삶의 위기라는 절박한 문제의식이다. [ ...... ]

http://www.hani.co.kr/section-021015000/2006/10/021015000200610130630035.html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짱꿀라 2006-10-20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연 인문학의 위기가 왔다고 말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의 인문학 시장은 더 커진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또한 인문학 교수들은 글을 너무나 어렵게 써서 일반 대중들과의 거리를 너무나 멀게 하는 느낌까지도요. 물론 학으로서의 가치도 있는 것이지만, 중요한 것은 대중들과 가까워 지는 것이 우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balmas 2006-10-20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인문학 위기에 대한 여러 가지 담론들이 존재하는데, 그 담론들을 세심하게
구별해서 읽어볼 필요도 있는 것 같습니다. :-)

짱꿀라 2006-10-21 0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말 잘보내시고요. 저도 인문학과 인권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요.
 

한겨레

 

유명인이 번역했대서 책을 읽으셨습니까

 

번역가 강주헌씨가 본 ‘정지영씨 사태’

 

<마시멜로 이야기>의 번역 문제로 지난 한 주가 시끄러웠습니다. 번역의 문제로 우리나라에서 번역가가 이렇게 조명을 받은 때가 있었는지 의문이지만 이중번역이든 대리번역이든 불미스런 문제로 번역이 화두가 되어 번역가로서 씁쓸할 따름입니다.

[...............]

나머지 기사는 아래 주소로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64994.html#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6-10-18 0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명인이 번역했대서, 그 책 사보고, 그 책 관심 가지고 그런거 맞잖아요.
그리고, 그 건축가가, 자신이 한거 아닌데도, 그렇게 온갖 매체에 나와서 자기가 했다고, 어떤 애로 사항이 있었다고 거짓말 했답니까.
흠. 일반 직장인과 비교한 부분은 비교대상이 아닌걸 끌어다가 붙였네요. 여기서 직장인의 애로사항.을 얘기한다면 오버겠지만, 번역가는 왜 직장인을 끌어다 붙였대요? 건축가.를 보고 샀는데, 그것이 거짓이라면, 그건 비난받아야 할 일이지요.

평소 번역가.에 대해 별 감흥 없는 편이지만, 이런 글을 쓰는 강주헌.씨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람.

balmas 2006-10-18 0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하이드님, 직장인과 비교하는 건 좀 그렇죠?
따우님/ 저도 잘 모르겠어요. ㅎㅎ 다른 걸 비유로 들었으면 어땠을까,
좀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Koni 2006-10-18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일이든지, 대개 일에서 눈을 떼면 일은 멈춥니다. 글 쓰신 분 너무하시네.^^;

balmas 2006-10-18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그만큼 번역이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라는 걸 강조하고 싶었겠죠. ^^;
 

 

평화를 향한 사회운동의 도전이 필요하다

[기고]핵실험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가?

박준도 dmitri@jinbo.net
1. 북한 핵실험의 의미 : 핵 위기의 새로운 순환

지난 10월 9일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함으로써 한반도에서 핵무기를 둘러싼 긴장은 이제 완전히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였다. 1958년 재래식 전쟁에서도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미국의 ‘대량보복전략’ 아래 핵무기가 남한에 배치된 이후를 하나의 순환으로 하고, 1971년부터 시작된 남한과 북한의 핵 보유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남한에게는 핵우산을, 북한에게는 핵불사용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이 핵확산을 막으려던 시기를 두 번째 순환이라고 한다면, 2002년 미국의 북에 대한 핵선제공격 천명, 2005년 북의 핵보유 선언, 2006년 북의 핵실험에 따른 한반도에서의 본격적인 핵경쟁의 도래는 이전까지와는 명백히 다른 새로운 순환이라고 볼 수 있다.

한반도에서 핵 경쟁이 본격화된 데에는 미국의 책임이 가장 크며, 끊임없이 원인을 제공하였음은 명백하다. 미국은 1991년 전술핵무기 폐기를 선언하고는 연이어 한반도 비핵화선언(1992년)까지 이끌어내지만, 이는 핵확산을 줄이기 위한 제스처에 불과했다. 왜냐하면 남한에 대한 핵우산 정책은 폭격기를 이용한 전술핵무기와 전략핵무기를 통해 여전히 유효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1994년 제네바 협정에서 미국이 약속한, 북한에 대한 미국의 핵불사용은 그자체로 믿을 수 없는 모순적인 것이었는데, 제네바 협정 이후에도 미국은 남한에 대한, 한반도에서의 핵우산 정책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핵무기가 국가 간 위계를 군사적으로 뒷받침하는 중핵이라고 할 때, 북한의 안정보장은 사실상 처음부터 거절당했던 것이다. 미국의 한반도 외교정책이 ‘접촉’으로 바뀌건, 악의적인 ‘무시’로 바뀌었건 사태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더구나 미국이 2차 핵태세보고서(Nuclear Posture Review, NPR)에서 이란,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북한 등 핵비보유국에 대한 핵선제공격까지 천명한 상황이라면 이후 전개는 더 말할 것도 없는 것이다.


2. UN이 주도하는 핵확산 통제의 불가능성: NPT체제의 몰락

애당초 새로운 핵경쟁의 출현 위험은 이미 197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던 것이다. ‘핵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명분을 앞세운 핵공학의 발달은 손쉽게 핵무기 제조기술로 전화될 수 있었고, 국가 간 체계의 불평등성이 핵무기로 공고화된 상황에서 지역강국으로의 도전을 꿈꾸는 국가에게는 핵무기 보유가 무엇보다도 관건이었기 때문이었다.

1969년 '직접적 위협을 받는 나라의 정부와 국민은 자기방어를 위한 군사력을 먼저 제공할 책임이 있다는'는 닉슨독트린이 발표된 이래 미국과 소련의 무기 공급/판매는 확대되고, 자신의 군사력에 의존하는 국가의 생존전략이 확대되면서부터는 지역차원의 군사화와 더불어 핵보유 열망이 급격히 확대된다. 그리하여 미국과 소련 등 기존 핵보유국들은 핵확산을 제어하고자 평화적 목적의 핵기술을 보장하면서도 비핵국가들의 핵무기 보유 열망을 포기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UN의 권위아래 '국제적이고',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을 통해 핵확산을 금지하는 조약(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 NPT)이 바로 그것이다. 핵보유국들의 핵독점으로 핵확산을 막는다는 것이 NPT체제를 통한 핵확산 방지의 요체다. 하지만 NPT체제는 핵보유국의 수직적 핵확산 ― 즉 핵무기의 질적 개량에는 UN이 아무런 제어를 할 수 없는, 오로지 핵비보유국에 한해서만 UN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 IAEA)가 ‘포괄적인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는 불평등한 조약(심지어는 의결에서조차 핵보유 5개국은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이었고, 핵보유국의 핵비보유국에 대한 소극적인 안전보장 ― 즉, 선제 핵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것 역시 정치적 선언에 불과한 것이어서 NPT체제는 처음부터 불안정한 것이었다.

NPT체제 하에서도 이스라엘, 인도․파키스탄, 이란․이라크, 남아공, 브라질, 한국․북한 등에서 핵보유 시도들은 계속 확대되었고, 미국의 핵우산 아래 이런 시도를 중단한 나라도 있었지만 핵비보유국의 핵보유 열망은 중단되지 않았다. 결국 ‘확산예방정책’이 한계에 이르자 클린턴 정부는 이를 ‘확산대응정책’으로 전환한다. 군사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것이다. 1994년 이른바 ‘1차 북핵위기’는 이런 강경한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1995년 25년의 시효를 가지고 있었던 NPT체제가 시효 만료될 처지에 이르게 되자 한반도에서 ‘1차 북핵위기’는 제네바합의를 통해 봉합되고, 비핵보유국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핵보유국들은 포괄핵실험금지조약(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 CTBT)에 합의를 하게 된다. 이런 상황을 지렛대 삼아 1995년에 열린 NPT 5차 평가회의는 NPT체제를 무기한 연장한다.

하지만 수직적 핵확산을 중단하기 위한 핵보유국들의 이행은 지지부진했다. 1999년 미국은 CTBT에 대한 국회비준을 거부하였고, 2002년에는 미사일방어망(Missile Defense : MD) 개발을 위해 탄도탄요격미사일(Anti-Ballistic Missile : ABM)협정을 파기하더니 2003년에는 소형핵무기의 연구개발을 금지해 온 '스프랫페이스' 조항마저 폐지하였다. 그리고는 2003년 미국은 UN결의 1441호에 의거해 이라크 침공을 단행하였다. 물론 UN은 같은 해 5월 1483호 결의를 통해 미국의 이라크 점령을 승인한다.

이런 상황은 사실 이미 2002년 발표된 2차 핵태세보고서에서 천명된 것이었다. 미국은 이 보고서에서 “통상적인 무기로는 파괴할 수 없는 목표물의 파괴”, “대량살상무기를 이용한 공격에 의한 보복”, “기타 불시의 군사사태” 등에서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핵무기사용가능성을 크게 확장하였고, 중국․러시아․이라크․이란․북한․리비아․시리아에 대한 핵선제공격 가능성을 천명한 뒤, 정밀타격능력 강화, 정보수집능력 확대, 전천후․전지형 장거리 타격 수단 확보, 새로운 유도 타격무기 개발과 같은 핵군사력 개편방안들을 구체적으로 내놓았다. ‘상호확실파괴(Mutually Assured Destruction; MAD) ’전략보다 ‘핵전투(Nuclear Warfighting)’ 전략의 비중을 압도적으로 높인 것인데, 이는 미국이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무기”보다는 “실제로 사용가능한 무기”로서 핵무장을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있었던 NPT 6차 평가회의에서 미국은 일본 등 일부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모든 국가의 농축 및 재처리를 아예 불허하자고 주장하였다. NPT체제를 뒷받침해주는 ‘소극적 안전보장’도 휴지조각이 난 마당에 이제는 핵의 ‘평화적 이용’마저도 부정한 것이다. 핵비보유국들은 강력히 반발하면서 미국의 핵태세를 비난하였고, 이에 따라 NPT 6차 회의는 완전히 무산되었다. 바로 이어 2006년 이란의 핵보유 시도가 가시화되고, 북한은 핵실험을 실시한다. 핵확산이 본격적으로 개시되면서 새로운 핵경쟁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미국 자신에 의해서건 새로운 핵보유국의 탄생에 의해서건 NPT체제는 이제 사실상 자신의 역사적 운명을 다했다. 핵보유국들은 NPT체제를 통해 핵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했고 또 여전히 그렇다고 주장할 테지만, 현실의 역사는 NPT체제가 핵보유국들에 의한 수직적 확산은 물론이거니와 핵보유국 확대라는 수평적 확산 역시 막을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사실 이것의 궁극적 원인은 핵보유국들(특히 미국)의 핵독점 노력이 단 한 번도 중단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핵무기가 국가 간 불평등을 보증하는 이상 핵 독점 노력은 어떤 형태로든 핵확산을 끊임없이 자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핵보유국의 핵독점에 의존하는 NPT체제는 핵확산을 막을 수 있는 국제기구로서 유효한 틀이 될 수 없다. 이 말은 동시에 UN 역시 핵확산을 중지할 수 있는 어떠한 유효한 힘도 가지지 못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UN의 권위에 근거한 핵확산 방지 노력 역시 NPT체제의 실효성이 붕괴된 것과 동시에 유의미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3. 핵에 의한 핵의 억지는 왜 불가능한가!

다시 문제의 원점으로 돌아오자. 그렇다면 북의 핵실험은 동아시아에서의 핵확산 아니 더 나아가 동아시아에서의 완전한 비핵지대화를 향한 유효한 시도가 될 수 있는가? 단언하건데 결코 그럴 수 없다. 이유는 명백하다. 핵에 의한 핵의 억지는 가상적인 시나리오 일뿐 현실에서는 핵 균형은커녕 도리어 핵 경쟁을 더욱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떨어진 핵이 일본제국주의를 완전히 패망시킨 것에서 확인할 수 있듯, 핵은 단 한 번의 사용으로도 국가의 존립을 심대하게 위협한다. 통상 규모야 어찌되었건 핵은 보유만 하면 핵보유국 사이에서 공포의 균형이 이뤄진다고들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핵보유를 위한 자기 합리화에 불과할 뿐 현실의 전개는 전혀 다르다. 새로운 차원에서 핵 경쟁과 군사 경쟁이 가속하기 때문이다.

핵보유국 사이에서는 1%의 전력 차이라할지라도 그것은 자신의 존립과 권위를 위협하기 때문에 핵을 보유한 나라들일수록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 이것이 핵무기의 수직적 확산 ― 즉 양적 증대, 질적 개량을 하게 되는 계기다. 따라서 핵무장을 전제로 한 상황에서 군사적 평형상태란 결코 도래하지 않는다. 유일하게 가능한 균형이라면 핵전쟁이 일어난다면 서로 모두 죽는다는 절멸(!)을 전제로 하는 균형일 뿐이다.

바로 이러한 절멸을 전제로 상호 균형을 이룬 시점이 1960년대 말부터 진행된 미․소간의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Ⅰ, Ⅱ)이다. 제2공격능력 ― 즉, 핵 공격을 받고도 핵 반격을 가할 수 있는 능력에 제한을 두어 ‘상호확증파괴(MAD)’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래서 '탄도탄요격미사일(ABM)체제제한협정'과 '공격형전략무기제한을위한잠정협정'이 제기된 것이다. 상호 절멸을 보증함으로서 핵전쟁을 도발할 수 없도록, 이를 위한 핵전력의 평형을 이루자는 것이 전략무기제한협정의 본질이었던 것이다. 공포의 균형만이 유일한 핵 균형에 이르게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런 공포의 균형 속에서도 핵전쟁이 가능하다는 가설이 가능한데, 그것은 본격적인 핵전쟁으로까지 확대되면 상호절멸하게 되기 때문에 핵전쟁 당사자들이 이런 핵전쟁의 확대는 피하게 된다는, 그리하여 제한적인 핵전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1970~80년대 핵전쟁이론의 중핵이었던 ‘제한핵전쟁’론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공포의 핵균형을 이룬다 할지라도 또 다시 핵 경쟁이 가속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억지를 위한 핵무기 ― 즉 전시(展示)용 핵무기는 사용 불가능한 핵무기이며 그야말로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이제 핵 경쟁은 “실제로 사용가능한 핵무기” 개발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오늘날 핵무기 개발 경쟁이 적의 군사목표물을 파괴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규모도 소형화됨과 동시에, 핵전쟁이 발발할 경우 자국의 생존과 적국의 멸망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미사일) 방어망 (MD) 개발이 핵심적인 목표가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동시에 같은 논리 아래 재래식 전쟁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된다. 공포의 균형 아래에서는 핵전쟁보다는 재래식 전쟁 혹은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띠었던 제3세계의 분쟁들과 같은 대리전쟁의 필요성이 더욱 확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정밀타격 능력, 신속 대응능력 같은 기동성들이 재래식 무기개발과정에 집중된다. 오늘날 전 세계를 모조리 파괴할 수 있을 만큼의 핵 군사력이 있음에도 재래식 무기 개발에 모든 군사강국들이 집중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결국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핵에 의한 핵의 억지 ― 군사력의 억지는 절대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바로 이런 논리에 기반을 둔 핵 경쟁이 경쟁 당사국들 간의 군사주의를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국 민중의 민주주의를 끊임없이 배제한다는 점이다. 핵개발을 시작한 이상 핵무기에 대한 대중의 통제는 전혀 허용되지 않는다. 일촉즉발이라는 이유에서건, 굳이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건, 핵무기를 둘러싼 기술을 공유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건 비밀주의가 대세를 이루게 되고, 그만큼 통치자들은 전쟁에 대한 대중들의 의사보다는 군사주의적인 대응 논리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대중의 민주주의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도 대중(핵전쟁에서 적성국의 대중과 자국 및 동맹국의 대중을 구별하는 것은 완전히 무의미하다)을 상대로 하는 전쟁을 치룰 수 있는, 국가 엘리트들의 전쟁이 바로 핵전쟁이다. 전쟁에 대한 대중의 통제권이 완전히 상실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핵에 의한 핵의 억지’는 억지는커녕 현 상태의 유지도 불가능하게하며, 좀 더 정확히는 대중의 정치에 전혀 의존하지 않는 민주주의의 후퇴이며, 절멸주의가 궁극적 목표가 될 수밖에 없는 문명의 후퇴에 불과한 퇴행적인 논리일 뿐이다.


4. 북한 핵실험의 여파는 어디까지

지금 언론에서는 일본과 대만의 핵무장 가능성이 다방면으로 보도되고 있고, 곧 열릴 38차 한미안보연례협의회에서는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핵우산 정책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한다. 동아시아에서 핵확산이 그야말로 현실의 일정이 되어버린 것이다.

사실 이런 사태는 지난 7월에 있었던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부터 예측 가능한 것이었다. 북한의 미사일 실험 발사 이후 곧바로 미국의 미사일방어(MD)국은 북한 미사일을 모형으로 하는 요격시험을 진행했다. MD체제를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한 실체적 실험을 한 것이다. 미국이 지난 2002년 발표된 핵태세보고서에서 핵전력의 3지축을 과거 지상미사일, 비행기, 잠수함으로 정의되어 있던 것에서 운반수단, 미사일방어망, 개선된 핵무기제조기반으로 재정의했음을 상기하면 미사일방어국의 지난 실험은 동아시아에서의 핵확산 흐름에 대응하는 핵경쟁의 일환이었음이 틀림없다. 따라서 같은 맥락에서 보면 북핵 실험 이후 한국, 미국, 일본은 군사동맹 강화를 전제로 미국의 핵우산 정책을 더욱 구체화되고, 미사일방어망을 확고히 할 것이 분명하다.

어떤 의미에서건 북한의 핵실험을 동아시아에서 핵확산의 원인으로 지목할 수는 없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의 핵확산은 분명 미국의 핵독점과 자신의 군사패권을 강화하려는 데에서 기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 핵실험이 동아시아에서 핵확산을 저지하려는 노력 중 일환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점 역시 명확하다.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동아시아에서 핵 경쟁이 어느 한쪽에 의해서든 쉽게 멈춰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확산대응정책’은 어떤 형태로든 더욱 강화될 것이고, 그 만큼 군사적 긴장감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더구나 이번 사태에도 미국은 북미관계의 ‘급진적인 개선’ 이라는 카드를 내밀 가능성이 거의 없다. 미국은 북미관계 개선으로 자신이 얻을 실익이 별로 없다고 보고 있고,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오로지 ‘대량살상무기’의 제거라는 차원에서만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북외교노선이 ‘무시(ignore)’와 ‘접촉(engagement)’ 정도의 폭에서만 진동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오히려 미국은 남아공이 그랬고 한국도 그랬으며 가깝게는 이라크가 그러했듯 이제껏 핵비보유국이 핵개발을 포기한 역사는 정권교체 (혹은 그에 준하는 위협) 말고는 없었다는 점을 상기하려 들 가능성이 더 크다.

이런 상황에서 핵개발, 미사일 발사, 핵보유선언 그리고 핵실험이라는 일련의 군사주의적 대응으로 체제보장과 경제회복의 활로를 개척하겠다는 북한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고, 이리되면 북한은 이제까지 그랬듯 더 강력한 군사주의적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다. 북한이 현재의 위기에 대한 해법으로 ‘선군정치’ 사상을 체계화하고, ‘강성대국론’을 제시한 마당이라면 더더욱 말이다.

사실 핵보유국으로서 핵실험과 사용가능한 핵무기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미국은 어떻게든 사용가능한 핵무기의 실질적 존재를 부인할 것이며, 경제․해상봉쇄 형태에서부터 MD 개발에 이르기까지 핵무기 보유․생산․유지를 막거나 무용한 것으로 만들어 버리려 할 것이다. 그리고 북한은 잠깐이나마 실익을 얻는다 해도 현재처럼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는 한, 그리고 지금처럼 핵 대결을 고수하는 한 사용가능한 핵무기를 입증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5. 평화를 향한 사회운동의 도전

(더 많은 민주주의, 노동자의 연합을 모색하는 방식이 아니라) 북한이 제국주의의 군사주의적인 행태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체제를 보존하고 이를 답습하려 한다면 동아시아의 평화를 향한 길에서 북한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상당히 난망한 일이 되고 말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민족공조’라는 말은 더욱 애매해질 수밖에 없는데, ‘민족 공조’라는 말을 소극적으로 이해하면, 이는 남한의 대북정책 현행 유지, 민간교류 현행 유지이고 이는 사실 지금까지 반복된 불안한 상황 즉, 현 상황유지 및 UN을 통한 핵확산 방지를 지속하자는 길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어떤 면에서 북미관계개선, 남북한 국가연합의 실시/ 6․15 공동선언 이행과 같은 조금 더 적극적인(?) 형태의 ‘민족공조’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미 앞서 이야기 했듯 미국은 한반도에서 ‘남북통일’은 물론이거니와 ‘북미관계의 급격한 개선’과도 같은 어떤 적극적인 변화 자체를 염두에 두지 않고 있고, 이에 철저히 종속된 남한 정부가 (사회변혁을 거치지도 않은 채) 이를 개척해 나갈 리는 아예 만무하다. 심지어는 북한조차 급박한 체제위기 상황에서는 일정한 범위의 실용주의적 해법 말고는 제시할 방도가 없기 때문에, 결국 적극적인 양상을 모색한다 할지라도 (운동 주체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사실상 소극적인 양상 즉 ‘현행 유지’로 수렴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민족 공조’라는 담론은 국가 간 체계의 불평등성이라는, 그로 인한 착취와 배제의 재생산이라는 현실을 제한적으로나마 환기시킬 수 있을지 모르지만, 금융세계화 국면에서 국가 간 위계가 어떻게 조정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가 직면하는 위협의 성격, 동아시아에서 군사적 긴장 상태가 어떻게 급변하고 있는지를 보지 못하게 한다. 바로 미국의 군사적 일방주의를 전제하는 국가 간 공동지배 방식이 강화되고 있고, 핵보유국(특히 미국)의 핵독점 속에서 핵경쟁의 확대 심화라는, 절멸주의―핵무기주의 확산이라는 현실 말이다. 그리고 이 대열에 북한이 참여함으로써 핵무기주의의 새로운 순환을 열고 있다는 사실까지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운동이 국가주의적인 한계에서 현 상황에 대한 해법을 찾는다면 그것은 무망한 일이 될 것이다. 전혀 다른 길에서 운동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민족공조’ 수준에 갇혀 있는 운동을 뛰어 넘어, 사회운동들의 새로운 연대 ― 전쟁을 가속하고 재생산하는 ‘포스트 냉전체제’에 맞서고자하는 적극적인 평화운동과의 연대, 아니 더 나아가 동아사아에서 전쟁과 신자유주의에 맞서려는 사회운동들의 새로운 연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한 운동의 소통과 경험은 새로운 사회운동의 출현에 매우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며 그 자체로 이미 새로운 사회운동의 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무엇보다도 동아시아에서 국제주의의 새로운 가능성,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국제주의의 새로운 출구를 열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

바로 그러한 자리에서 동아시아의 사회운동들의 연대를 통해 전면적인 비핵지대화운동을 향한 토론이 시작되어야 한다. 동시에 동아시아에서 핵 대결의 근원적 힘을 제공하고 있는 전쟁블럭(한․미․일 동맹)을 해체하기 위한 운동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미국의 핵우산 정책과 MD 추진에 반대하는 운동, (동아시아 핵확산이라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것이 명백한) 북한에 대한 정치․군사적 제재에 반대하는 운동, 그리고 북한의 핵무장을 비판하는 목소리는 이 운동을 출발하는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이라크 파병에 반대하는 운동과 평택미군기지 반대운동, PSI 참여에 반대하는 운동은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지금까지 진행해온 가장 중요한 운동이다.

만일 이후 동아시아에서 완전한 비핵지대화가 실현된다면 그것은 평화를 향한 새로운 사회운동의 도전과 그에 따른 더 많은 민주주의, 그리고 핵무장의 완전한 해체로 인한 것일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도 “적극적인 평화운동의 출현”이 시급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박준도씨는 사회진보연대 인천지부 집행위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금 시간이 지나긴 했지만, 어제 반기문 장관이 유엔 총장으로 선출된 일을 돌이켜보자는

뜻에서 퍼왔습니다.

---------------------------------------------------------------

 

[논평] 유엔 사무총장 선출, 인권의 원칙을 지켜라

인권운동사랑방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내년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유엔 사무총장의 유력한 후보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반 장관은 지난 7월과 이달 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 사이에서 실시된 두 차례의 예비투표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대로라면 28일 열리는 3차 예비투표에서 총회에 추천될 유일한 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정부가 이를 위해 전방위 외교를 펼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일각에서는 1991년에야 유엔에 가입한 나라에서 유엔기구의 수장을 배출한다는 ‘자부심’과 ‘애국심’으로 들떠 있다.

하지만 우리는 반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으로 부적절하다고 판단한다. 비록 현실은 이상과 거리가 있긴 하지만 유엔은 인권과 민주주의, 세계평화를 이상으로 하고 있다.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 직원들의 수장인 ‘수석 행정관’으로서,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협한다고 그 자신이 인정하는 어떠한 사항에도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막중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다. 유엔헌장은 회원국들이 사무총장의 임무 수행에 지시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해 그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다. 그동안 유엔 사무총장은 강대국과 약소국의 균형자로 강대국을 견제하는 역할을 요구받아 왔다. 코피 아난 사무총장은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해 “유엔의 지지가 없는 침공은 불법”이라며 이라크 전쟁의 불법성을 지적해 잠시 미국과 대립하기도 했다.

반면 반 장관을 추천한 한국 정부는, 유엔의 승인 없이도 일방적으로 군사적 행동을 할 수 있다는 부시 미 대통령의 뒤를 이어 이라크에 자이툰 부대를 파견했다. 이른바 ‘다국적군’의 침공은 어떤 유엔 결의안에도 근거하지 않았으며,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선제공격 금지’ 원칙을 규정한 유엔헌장마저 짓밟은 전쟁범죄였다. ‘전범’으로 처벌받아야 할 한국 정부가 되레 유엔 사무총장 자리에 군침을 흘리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게다가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 선언과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합의 등 미국의 ‘2중대’ 역할을 유감없이 해내고 있는 한국정부의 반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에게 기대되는 ‘독립적’이고도 ‘중립적’인 역할을 제대로 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반 장관은 한반도 평화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합의하기 위해 지난 1월 워싱턴으로 날아간 당사자이기도 하다.

반 장관은 지난 21일 제61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인권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사회 구성원들의 신성한 의무이며, 인권 존중 없이는 평화와 개발도 별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 한국 정부는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하라는 국제노동기구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노조 사무실을 침탈했다. 게다가 삶의 벼랑 끝으로 몰린 건설노동자들의 정당한 노조활동을 ‘공갈’과 ‘협박’으로 매도해, 결국 한 명의 노동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고 또 한 명의 여성을 유산시켰다. 게다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할 평택 미군기지 확장 문제는 또 어떤가. 자신의 문제를 돌아볼 줄 모르는 인권은 결국 교만과 패권에 빠질 수밖에 없다. 국제인권기준의 국내적 이행조차도 무시하는 한국 정부는 유엔 사무총장의 야망을 품기에 앞서 먼저 인권에 대한 자기 성찰적 자세부터 가져야 한다.
인권오름 제 23 호 [입력] 2006년 09월 27일 2:02:38

 

 

유엔 사무총장 선출 관련 영문 성명 발표
Missing Human Rights Principle on the selection of the UN Secretary General
기사인쇄
인권운동사랑방 
SARANGBANG Group for Human Rights

OCT 5, 2006


1. Greetings with solidarity. Sarangnbang is an independent human rights NGO of ROK(Republic of Korea).

2. Sarangbang has announced some statements about the selection of the UN Secretary-General. It's one of the important reason that Ban, Ki-Moon we have watched as th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ROK is the best election hope for the UN Secretary-General.

3. We believe UN is still trying to persue its own ideal, human rights and peace in the world. For it, the UN Secretary-General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fairly with justice. So the UN Secretary-General has been required to make a diversion to powerful countries as a balance of power. But as we know, ROK government has been familliar with pro-US diplomatic policy, the US which is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the world.

4. We believe UN still has its own main object in the world. In a conclusion, we don't consider the minister Ban is appropriate for the UN Seretary-General.

================================================

Missing Human Rights Principle on the selection of the UN Secretary General


This statement has been made on behalf of Sarangbang Group for Human Rights. Sarangnbang is an independent human rights organization of ROK(Republic of Korea).

People say that the Korean diplomat , Ban Ki-Moon, has been risen a candidate with the best election hope as the next UN Secretary-General. We also know well that the ROK government has made every endeavor to win his seat. The popular view and mass medias of the ROK are excited with a sort of self-pride and patriotism, so his election will be described as victory of ROK diplomacy and foreign policy. However the Secretary-General's role is not for a country's pride, as we know.

We consider that the general aims of UN should be human rights, justice and peace in the world. Although the reality is different from the ideal, the Secretary-General plays important roles in pursuing the aims of UN. The Charter describes the Secretary-General as "chief administrative officer" of the Organization, who shall act in that capacity and perform "such other functions as are entrusted" to him or her by the Security Council, General Assembly,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nd other United Nations organs. The Charter also empowers the Secretary-General to "bring to the attention of the Security Council any matter which in his opinion may threaten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So far the UN Secretary-General has been required to make a diversion to powerful countries as a balance of power. As an example, Mr. Kofi A. Annan stated that US’s attack to Iraq was that "Attack without the support of UN is illegal".

We deeply concern about the attitudes and practices of the ROK government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t is well known fact that the ROK has dispatched troops to Iraq and the troops[Zaitun] are still stationed there. This conduct is against the aims of UN and anti-war sentiment in the world. We consider the attack in Iraq is a war criminal which didn’t have any authority of UN resolution, but also disregarded the UN Charter. Traditionally the ROK government has showed pro-US attitude and the minister Ban has done leading role in that policy as a chief diplomat.

We have many proved lists. On 21 SEP 2006, at the UN assembly speech, the minister Ban addressed "Human rights is not an option, but a sacred obliga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It’s not valuable peace and development without human rights." However, on the very next day, ROK Government shut down the offices of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Such an action was opposed to ILO's recommendation which must guarantee the Government employees' labor rights.

The US and the ROK government have agreed to add new 1,154 ha to the existing 1,513 ha for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a city near the capital of ROK] under the name of 'Strategic Flexibility'. It should be noted that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 will play a major role in attack and containment agains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llowing to the MD(Missile Defense) project of US Military, which will destroy peace sustained with difficult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 believe Korean people should be able to control peace in Korean peninsula, not the US Military, as we call 'right to peace' following to the UN resolution 39/11. Moreover ROK government is willing to evict farmers from their own land on Pyeongtaek. Lots of farmers faced to a crisis situation to be evicted are still remained and cultivating their own land. However, in last September, ROK govenment already destroyed their neighbors' houses which were left in empty. In addition, Korea-US FTA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We have warned Korea-US FTA will collapse the ROK domestic economy and industry, also Korean people's lives. There is no doubt that globalization following to the Korea-US FTA would be a big disaster to Korean people. We oppose Korea-US FTA because it would totally ruin people's right to subsistence.

In this context, we upset that the ROK government disregards its acts and proceeds with unchanged policy for the UN Secretary-General. We wish to keep solidarity for the UN human rights machinery, which however is all too often forgotten or disregarded in the real states' policy. So we don't consider that the minister Ban who is th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ROK now is appropriate for the UN Secretary-General.

Human rights that don't review their own problems have nothing but to get bogged down in "arrogance" and "suprema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ignores even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should have a self-reflective attitude before have an ambition for the next UN Secretary General.
2006년10월05일 23:15: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기인 > [펌] 차베스 연설 "부시는 악몽 속에서 여생을 보낼 것이다"

출처:www.pressian.com

"부시는 악몽 속에서 여생을 보낼 것이다"
김영길의 '남미리포트'<202> 차베스의 유엔 연설 전문


지난달 20일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서 했던 연설이 20일 남짓 지난 지금까지도 남미 사회에서 명연설로 회자되고 있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을 가리켜 '악마'라고 지칭해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왔던 차베스는 이 연설을 하기 전부터 미국 정부에 대해 상당히 '열을 받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에 입국한 차베스는 자신의 경호 책임자가 기내에 감금되고 주치의까지 미국 입국이 거부되는 바람에 비행기 안에 남아 있어야 하는 수모를 당했기 때문이다.

차베스는 이번 유엔 연설을 통해 중동과 아시아, 중남미에서 일어나고 있는 제국주의의 피해를 집중적으로 열거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네수엘라와 쿠바를 중심축으로 한 남반구에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재삼 강조했다.

다음은 베네수엘라 국영 뉴스가 최근 보도한 차베스 대통령의 연설 전문을 필자가 국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외신에 소개되고 한국에 번역된 연설문은 차베스의 스페인어 연설을 영어로 번역하고, 다시 한국어로 중역(重譯)한 것으로 원문과 차이가 많다. <필자 주>

▲ "이 책을 읽고 미 제국주의 프로젝트를 이해해 보십시오." ⓒ 베네수엘라 대통령궁

존경하는 의장님, 유엔대표부 대사님, 각국의 대통령, 내각수반, 고위대표자 여러분!

(노암 촘스키의 저서 <패권인가 생존인가 - 세계 지배를 추구하는 제국주의 미국>를 들어 보이며) 나는 먼저 이 책을 아직 읽지 못한 분들에게 한번 읽어보실 것을 감히 권하는 바입니다. 노암 촘스키, 노암 촘스키는 미주대륙은 물론 전세계적인 지성으로 불리는 인사 가운데 하나이며 <패권인가 생존인가 - 세계 지배를 추구하는 제국주의 미국>은 그가 최근에 내놓은 역작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 책은 지난 20세기 동안 전세계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또한 오늘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뒤덮고 있는 거대한 위협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게 해줄 것입니다. 전세계를 지배하려는 미 제국주의의 헤게모니 쟁탈전은 전인류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나는 미 제국주의, 패권주의의 위험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이는 마치 자신의 목숨을 노렸던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우리의 목을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미국 국민들과 전세계에 알림으로써 이런 위협이 중지되도록 하고자 합니다.

나는 이 책의 몇 구절을 여기에서 읽을까 생각도 했지만 시간관계상 일독을 권하는 것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이 책은 빨리 읽혀집니다. 의장님! 이 책은 아주 재미있습니다. 의장님도 쉽게 이 책에 빠져들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나는 이 책이 영어와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로 출간되었음을 확신합니다. (박수)

나는 다른 누구보다 더 먼저 미국의 형제자매들이 이 책을 읽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 위협이 바로 그들 가운데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악마가 그들 집안에 있다는 말입니다. 악마! 미국 내에 있는 악마, 그 악마가 어제 여기에도 왔습니다. (박수)

바로 이 장소에 어제 그 악마가 다녀갔습니다. 제가 서있는 이 연단에는 아직까지도 유황냄새가 진동을 합니다. 신사숙녀 여러분. 어제, 제가 서있는 이 자리에 제가 악마라고 지칭한 미 합중국 대통령 각하께서 마치 자신이 전세계의 주인인 것처럼 연설을 했습니다. 이 세상의 주인처럼 말입니다. 그러나 그의 연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과 의사가 여기에 있었더라면 좋았을 뻔했습니다.

그는 제국주의의 대변인처럼 여기에 와서 세계 지배에 대한 최신 방법과 어떻게 하면 전세계 민중들을 착취하고 약탈할 수 있는지 그 묘책을 우리에게 알려준 것입니다. 그의 연설 내용을 알프레드 히치코크 영화의 시나리오로 삼았더라면 좋았을 것입니다. 내가 그 영화에 제목을 붙인다면 '악마의 묘책'이라고 할 것입니다.

미 제국주의는, 사실 촘스키가 이 책에 심도 있고 눈이 부실만큼 명확하게 언급을 했지만, 지배체제의 헤게모니 강화를 위해 혼신의 힘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허용해서도 안 되며, 그들이 건설하고자 하는 세계독재체제 강화를 결코 용납해서도 안 될 것입니다.

전세계를 지배하는 폭군대통령의 연설 속에는 냉소와 위선, 제국주의의 위선이 넘쳐났고 이 세상 전체를 통제하려는 의도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그들은 미국식 민주주의 모델을 우리에게 강요하고 있습니다. 엘리트층만을 위한 위선이 가득한 거짓된 민주주의 모델을 말입니다.

▲ "전세계에 대한 지배야욕이 이 책 속에 다 들어 있습니다." ⓒ베네수엘라 대통령궁

그렇다면 (이들이 주장하는) 전형적인 민주주의의 모습을 한번 살펴봅시다. 내습과 폭격, 포격 등 무기를 앞세워 강요된 민주주의가 진정한 민주주의입니까? 민주주의를 제대로 정의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를 다시 한번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해병을 동원한 침략과 폭력으로 억지로 강요된 민주주의는 어떤 민주주의일까요? 민주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 사람들도 이런 민주주의를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제 이 자리에서 미국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당신이 어디를 보든지 폭력과 테러, 그리고 순교를 통해 비참함과 존엄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자살테러를) 부추기는 극단론자들을 쉽게 찾을 수가 있습니다." 그가 어디를 보든지 극단론자들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나는 확신하건대, 형제여! 당신은 나를 이 피부 색깔(유색인종을 의미) 때문에 극단론자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바로 이 피부 색깔 때문입니다. 바로 이 색깔 때문에 어제 여기에 왔던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도 극단론자로 보일 것입니다. 제국주의자들에겐 우리 모두가 극단론자들일 뿐입니다.

우리가 극단론자들입니까? 아니지요. 세계는 이제 깨어 있고 민중들이 일어서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제국주의의 독재자 각하. 나는 당신이 남은 여생을 지독한 악몽 속에서 보내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신이 어디를 보든지 미 제국주의의 지배에 대항하여 전세계의 완전한 자유와 평등, 주권회복을 위한 저항을 사방에서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그들은 제국주의에 맞서 저항하는 우리를 가리켜 극단론자라고 부릅니다.

어제 이곳에 온 미국 대통령은 또 이런 말도 했습니다. "나는 오늘 이 자리에서 미국 국민들이 평화를 갈망한다는 사실을 중동국가 국민들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네 이건 사실입니다.

우리가 미국의 브롱크스, 뉴욕의 거리, 워싱턴,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샌안토니오, 샌프란시스코 거리의 시민들에게 평화를 원하느냐고 물어본다면 그들은 모두 "예"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정부는 평화를 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전쟁을 앞세워 패권을 확립하길 원하며 이를 통해 착취와 약탈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게 미국 국민들과 정부의 다른 점입니다.

(부시가) 평화를 원한다고요? 그렇다면 이라크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습니까? 레바논과 팔레스타인은 어떻습니까? 중남미와 전세계에서는 지난 100년 간 무슨 일이 벌어졌습니까? 또한 베네수엘라에 대한 협박은 무엇입니까? 베네수엘라와 이란에 대한 새로운 협박 말입니다.

그는 이어 레바논 국민들에게 이런 말도 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여러분들의 가정과 사회연합체가 피아간 상호포격에 의해 고립되고 파괴되어 고통을 당하는 것을 보았을 것입니다." 이게 말이나 되는 소립니까. 전세계를 향해 자신이 얼마나 뻔뻔하게 거짓말을 잘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 아닙니까? 레바논에 일방적으로 퍼부어진 초정밀 장비가 장착된 미사일 폭격이 피아 간에 상호 주고받은 폭격이라고요?

그 대통령은 서부영화를 상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마치 서부에서 결투를 할 때 상호 총격에 의해 주변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사람들을 떠올리며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무고한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거주민들에게 퍼부어진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의 폭격은 살인자들의 폭격이요, 파시스트들의 폭격이며, 제국주의의 폭격입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무고한 민간 거주지가 폭격으로 인해 파괴된 참상에 가슴 아프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미국 대통령은 여기서 아프가니스탄 국민들, 레바논 국민들과 이란 국민들에게, 의장님, 사실 오늘 새벽 나는 그의 연설문이 번역되어 요약된 서류를 챙겨왔습니다, 그는 이란 국민들에게 "나는…' 레바논 국민들에게 '나는…', 파키스탄 국민들에게 '나는…'이라고 여러 가지 말을 했습니다.

좋습니다. 한 가지 물어봅시다. 그는 미국 대통령으로써 중동의 국민들에게 무슨 말을 할 수가 있을까요? 나는 남반구 국가들, 억압받고 있는 나라의 국민들이 마음속 깊이 미국에 대해 한 가지 동일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 국민들은 오직 한 번만이라도 미 제국주의자들에게 직접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양키 제국주의 고 홈"을 이구동성으로 외칠 것입니다.

▲ "악마가 바로 이 자리에 왔었습니다." ⓒ 베네수엘라 대통령궁

의장님, 그리고 동료 여러분, 친구 여러분, 2차 세계대전 이후 창설된 유엔에서 지난 8년 간 우리는 매년 이 장소에 와서 오늘 했던 것과 똑 같은 일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 모인 우리 가운데 아무도 이런 체제를 바꿀 생각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받아들입시다. 유엔이라는 국제조직이 괴멸되고 붕괴되어 아무짝에도 쓸 수 없는 조직이 되어버렸다는 말입니다. 매년 여기 와서 서로의 연설을 듣는 것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또한 여러 가지 장문의 문서들을 작성하고 에보나 룰라(브라질 대통령), 스리랑카 대통령, 칠레 대통령의 연설을 듣고 하는 이런 것들을 위해 유엔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들(미국)은 유엔이라는 이 기구를 최소한의 힘도 발휘할 수 없는 단순한 연설의 장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 전 세계는 지금 생존을 위해 끔찍한 현실을 겪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따라서 저와 베네수엘라는 9월 20일 오늘 유엔의 재창설을 제안합니다. 의장님, 지난해 각국 정상들과 대사들, 각국 대표들이 모여 긴급을 요하는 4가지 안을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논해봅시다.

첫 번째는 유엔의 문호개방입니다. 바로 이 자리에서 룰라 대통령이 이 점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과 비상임이사국을 구분짓는 차별을 깨고 문호를 개방해야 합니다. 새로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제3세계 국가들에게도 새로운 상임이사국의 자격을 부여하자는 말입니다. 이것은 유엔개혁의 제1단계입니다.

두 번째로 유엔 기구는 세계적인 분쟁에 접근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이런 결정들이 투명하게 진행돼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로 유엔기구는 즉각적인 억제력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이것은 누구나가 알고 있는 '비토권'이라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의 비민주적인 제도와 관련됩니다. 이에 대한 최근의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미 합중국의 비도덕적인 비토권은 이스라엘 군대가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고 레바논을 파괴하도록 허용했습니다. 우리는 우리 눈앞에서 벌어지는 이런 참상을 속수무책으로 서서 바라보고만 있었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가 이와 같은 분쟁에 대해 즉각적인 억제력을 행사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네 번째로 우리가 항상 이야기해왔던 것처럼 유엔 사무총장의 역할과 권한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제 우리는 퇴임을 앞둔 사무총장의 유엔에서 마지막 고별연설을 경청했습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는 점점 더 혼란해지고 배고픔과 가난, 폭력, 인권침해 사례가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유엔 기구의 몰락과 미 제국주가 만들어낸 비참한 결과입니다.

의장님. 베네수엘라는 유엔 내의 비합리적인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몇 년 전부터 준비를 해 왔습니다. 유엔 회원국의 일원으로서 말입니다. 우리는 독립적이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평화와 국제기구의 개혁을 추구하는 한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전세계인들에게 패권주의의 무력침략을 고발할 것입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볼리바르 장군의 조국인 베네수엘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후보에 출마할 것을 결정한 것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미국 정부는 공개적으로 우리가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자유롭게 선출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으며 비도덕적인 방법까지 동원하고 있습니다. 제국주의자들은 진실을 두려워합니다. 그들은 독립적인 목소리를 두려워합니다. 그러면서 우리를 향해 극단론자라고 합니다. 하지만 극단론자들은 그들 자신입니다.

나는 이 자리를 빌려 친절하게도 베네수엘라 지지를 선언한 모든 국가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비상임이사국 선출 투표가 비밀투표라 굳이 지지선언을 할 필요가 없었는데도 말입니다. 하지만 제국주의자들의 공개적인 방해가 오히려 많은 국가들의 지지선언을 가속화시켰습니다. 또한 이는 베네수엘라 정부와 국민들을 도덕적으로 굳게 뭉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남미공동시장이 공개적인 지지를 선언했는데, 이 블록의 정회원이자 형제국가들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가 그들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중남미국가들이 우리의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카리브 공동체와 볼리비아가 우리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또 아랍연맹도 베네수엘라를 지지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우리를 지지하고 있는 아랍연합의 형제들, 카리브 연안국가 형제들, 아프리카연합 국가들에게도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프리카 연합의 대다수 국가들이 우리를 지지했으며, 중국과 러시아 등 수많은 국가들이 베네수엘라 지지를 하고 있습니다.

나는 베네수엘라 국민들과 진실의 이름을 대신해 이 모든 국가들에게 다시 한번 따스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만일 베네수엘라가 안보리 이사국에 진출된다면 자국의 이익뿐만 아니라 전세계 민중들의 목소리 역할을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진실을 수호해낼 것입니다.

의장님. 이 모든 것 위에 한 가지 더 내가 낙관할 수 있는 이유는 어느 시인이 말했듯이 '절망 속에서도 사태를 낙관적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는 "전쟁에 대한 위협과 폭격, 침략 등으로 전국민들이 몰살을 당해도 새로운 시대의 새 날이 밝아오기 때문에 낙관적" 이라고 했습니다. 또한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말하기를 "세월은 새 생명을 잉태시킨다(혹은 난세에 영웅이 태어난다)"고도 했습니다.

젊은이들의 생각은 조금 다르겠지만 지금 지구 곳곳에는 각종 새로운 대안운동이 기운차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미 제국주의와 팍스아메리카 건설의 논리가 완전히 거짓된 논리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역사는 지난 10여 년 간 이들의 거짓논리와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모델이 얼마나 잘못된 것이었나를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 각 곳에 빈곤과 비참한 현실만을 양산시켰을 뿐입니다. 이를 청산하고 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구상해야만 할 것입니다. 아프리카와 유럽, 중남미 오세아니아 등 지구 전역에 새벽이 밝아오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 모두가 용기를 가지고 이 지구를 구하기 위한 투쟁에 자원하는 마음과 더 나은 미래,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는 것에 낙관적인 비전을 가져주기를 강조하고 싶습니다. 베네수엘라는 이미 이 투쟁을 시작했고 그것 때문에 우리는 어려가지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미 베네수엘라에서 쿠데타 자금과 계획을 완비하고 지속적으로 반정부 세력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테러세력들을 키우고 있다는 말입니다.

며칠 전, 미안합니다. 조금 전이었군요, 칠레의 바첼렛 대통령은 우리에게 전 외무장관이었던 올란도 레떼리에리의 끔찍한 암살사건을 상기시켜주었습니다. 내가 한 가지 더 첨가하자면 이런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자유를 누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시민들도 미국인 자신들에 의해 살해를 당하는데 그것은 CIA의 살인자들에 의해서입니다. 그들은 테러리스트들입니다. 더불어 우리는 며칠이 지나면 끔찍한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의해 73명의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쿠바 민항기 테러사건 30주년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그런데 그 민항기를 폭파시킨 책임을 지고 미주대륙의 가장 큰 테러리스트라고 불리는 그 사람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베네수엘라의 감옥에서 지내다 CIA와 부패한 정부관료들에 의해 탈옥을 했고, 지금은 여기 이 나라(미국) 정부의 보호 아래 살고 있습니다.

그는 실형언도를 받았고 자신의 범죄에 대한 유죄를 인정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그에게 이중적인 잣대를 들이대어 자신들 마음대로 테러리스트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나는 베네수엘라 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했음과 평화를 위해 싸우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밝힙니다.

미국 정부가 보호하고 있는 테러리스트의 이름은 루이스 뽀사다 까릴레스입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이 사람 외에도 베네수엘라에서 부정부패자라는 평가를 받았던 수많은 인사들이 이곳에서 보호를 받으면서 호의호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지난 2002년 베네수엘라 쿠데타 기간 중 수많은 대사관들을 폭파했고 무고한 시민들을 살해했습니다. 그들은 또 나를 납치하여 살해하려고 했으나 신의 도움으로 국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오고 군부가 협조하여 내가 지금 이 자리에 설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그 쿠데타를 주모했던 인사들은 모두 이곳으로 피신하여 미국정부의 보호 아래 있습니다. 나는 이 자리에서 미국정부가 테러리스트들을 보호하고 있다는 것과 완벽한 이율배반적인 연설을 한 것을 고발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쿠바에 대해서 얘기를 했습니다. 내 그렇습니다. 우리는 며칠 전 거기에 있었고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거기에서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보았습니다. G-15 정상회담과 비동맹운동회의는 역사적인 합의를 이끌어냈고 이를 공동선언문으로 채택하기도 했습니다. 걱정하지 마십시오. 지금 읽을 생각은 없습니다.

이것은 50개국 이상의 정상들이 투명하게 공개토론을 거친 합의사항입니다. 이 기간 동안 쿠바의 아바나는 남반부 국가들의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비동맹운동은 다시 한번 기세를 올렸고 재출발을 다짐하기도 했습니다.
나는 이 자리에서 동료 여러분들과 형제자매 여러분들에게 제국주의의 확장을 저지하고 새 시대를 열기 위해 새롭게 태어난 비동맹회의를 성원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잘 아시다시피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이 회의의 신임 회장으로 향후 3년간 이 그룹을 이끌게 될 것 입니다. 우리는 그가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을 능률적으로 훌륭하게 이끌어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피델이 곧 사망할 거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카스트로가 사망하지 않아 실망하고 있습니다. 그는 회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군복을 입고 업무에 복귀할 것이고 비동맹운동 회장직까지 동시에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친애하는 동료 여러분. 그리고 의장님, 남남협력 체제의 강력한 운동이 새롭게 태어났음을 선포합니다. 지구의 남반구. 우리는 무거운 채무(외채)를 짊어진 자들입니다.

▲ "쿠바의 비동맹운동 회담은 새로운 대안운동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 베네수엘라 대통령궁

(비동맹운동 공동선언문을 들어 보이며) 이 합의문에 들어있는 계획들,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을 전하는 것으로 나는 이 합의문 파일과 이 책(촘스키 저서)을 접을까 합니다. 하지만 내가 진심으로 추천했던 말들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이 지구를 제국주의의 위협으로부터 구하기 위해 우리는 이를 반영할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온 세상이 전쟁위협에서 벗어나는 평화로운 때가 바로 이 세대에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제국주의의 위협이 없는) 새 시대를 우리의 아들딸들과 손자들이 반드시 누리게 될 것입니다.

평화가 깃든 세상, 기본원리를 충실하게 이행하는 유엔을 재창립합시다. 이를 위해 우선 유엔 본부를 미국이 아닌 다른 장소로 옮겨야 합니다. 새롭게 변화될 유엔본부를 다른 곳, 다시 말해서 남반구 국가로 이전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베네수엘라를 차기 유엔본부 후보지로 추천하는 바입니다.

여러분들은 내 주치의가 입국을 하지 못하고 비행기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과, 나의 경호 책임자가 내가 타고 온 비행기 내에 감금돼 있다는 사실을 아실 것입니다. 이들은 미국 입국이 거부되어, 나를 수행해 이 유엔 총회에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또 다른 권력남용이며 불법행위입니다. 의장님. 베네수엘라는 이 일이 악마의 사악한 짓으로 기록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내가 서있는 이곳에는 아직까지 유황냄새가 진동을 합니다. 그러나 신은 우리와 함께 하심을 믿습니다. 신의 축복이 우리 모두에게 함께 하시기를 기원하며 좋은 날이 되길 빕니다. (기립박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