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화와노동
2006.10.2 |328호

물 사유화 반대 투쟁, 자본의 세계화를 넘어 민중의 대안을 형성하는 투쟁으로 !


[…] 물 사유화가 가져올 파괴적 결과는 이미 우리 앞에 도착한 현실이다. 우선, 민간자본의 참여가 확대 될수록, 이윤을 확대하고 상승한 운영비를 보존하려는 목적에서 수도요금의 인상은 불가피하다. 온데오가 진출해 있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경우 2001년에서 2004년 사이 세 차례에 걸쳐 수도요금이 35%, 40%, 30%나 인상되었다. 남아공의 경우도 온데오가 진출한 1994년에서 1996 사이 요금이 600%나 증가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정책이 양산하고 있는 실업과 빈곤을 감안한다면, 물 사유화 아래서 엄청나게 많은 인구가 물을 사용할 권리 자체를 박탈 당하게 될 것이다. 또한 물 사유화는 공공부문(정부부문과 공기업을 포함)의 구조조정과 함께 추진되기 때문에, 관련 노동자들에 대한 대량해고, 노동권 후퇴 역시 필연적이다. 사실 한국의 상수도 산업이 낙후한 것은 이미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충분한 인력확보 문제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인천의 경우만 해도 베올리아와의 기술합작의 주요 근거가 유수율 제고지만, 공무원노조는 “유수율 업무와 관련 각 사업소별로 현재 1년에 2개소 정도의 신규사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완료된 구역에 대해서는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유수율 업무는 최소 4인 이상이 팀을 이뤄야 하는 사업으로 담당자들이 지속적인 인력 확보를 요구하였으나 묵살당해 왔다”고 시의 주장에 반박하고 있다. 즉, 상수도사업이 안고 있는 많은 문제들이 공적 책임구조를 유지하면서 인력, 재정 등을 확대, 정상화 하는 것만으로도 상당 부분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술제고라는 사유화의 명분은 많은 국가들에서 사실상 인력감축의 명분에 불과했다는 것이 드러났다. 아르헨티나의 경우 물 관련 공기업의 노동자 7,600명 중 사유화 정책으로 절반이 넘는 4,000 여명이 명예퇴직을 당했고, 인? 뎨謬첸?자카르타 역시 1,000여명의 노동자가 정리해고를 당했다. 또한 사유화 정책은 유수율 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안했다. 대표적으로 필리핀 마닐라의 서부지역의 경우, 누수율을 56%에서 32%로 줄이기로 합의하고 마이닐라드라는 물기업과 계약을 체결했지만, 누수율은 오히려 14%나 증가하여 70%에 이렀다. 뿐만 아니라, 물 사유화를 시행한 대부분의 지역의 누수율이 공공부문이 담당하는 것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기술혁신, 사업의 확장을 위한 투자 등 사유화의 청사진으로 제시되었던 대부분의 조항들은 실현되지 않았다. 반면 운영비용은 급증했다. 결국 물 사유화 정책은 직접적인 사업수익, 그리고 공기업에 대한 주식 지분 확대 등을 통해 초민족 자본의 이윤을 확대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정부부문을 포함한 공공부문 구조조정을 위한 수단이다. 그 결과는 대량해고와 실업, 그리고 공공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권리 후퇴, 초민족 자본의 투자 확대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의 증대 등의 이중, 삼중의 형태로 노동자 민중들에게 전가된다. […]


한미 FTA 저지 한가위 서명운동에 함께합시다.

10월 1일~4일까지 한가위 맞이 한미 FTA 저지 서명운동이 대대적으로 진행됩니다. 각 기차역, 버스터미널 등에서 한미 FTA 저지를 위해 서명운동에 함께합시다.


일시>
10월 1일~3일 : 오후 2시~10시
10월 4일 : 오후 2시~7시

장소> 서울역

문의>안성민 노동부장 (016-655-9674)





[토론회자료집]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미국의 새로운 중동정책



* 9월 29일 김진균 기념사업회에서 개최한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미국의 새로운 중동정책'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목차>

- 전쟁국가 이스라엘의 역사와 현실
홍성태(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미국의 중동정책 비판
류달승(한국외국어대 이란어과 교수)

- 국제 사회와 팔레스타인 영토 분쟁
홍미정(한국외국어대 연구 교수)

- 평화와 정의를 위한 사회운동의 대응과 과제
미니(경계를 넘어)

사회진보연대
http://www.pssp.org | pssp@jinbo.net
(140-801) 서울시 용산구 갈월동 8-48 신성빌딩 4층
TEL:02-778-4001~2 | FAX:02-778-4006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6-10-03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경제적 불안정성의 증대 등 이중, 삼중의 형태로 노동자 민중들에게 전가되지요.. 라고 제가 얘기해봤자...

발마스님, 프랑스에 계신거야요?

2006-10-03 0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6-10-03 0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하이드님,

저는 "하늘 받든 곳"에 있습니다. ^^;
글을 클릭하시면 앞뒤가 모두 나온다지요. ㅋㅋ

비로그인 2006-10-03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침에 집주인아주머니가 오셔서 수도세 많이 나왔다고 수도세 어떻게 할 거냐고.. 얘기를 끝내고 알라딘에 오니 또 수도요금 얘기...^^ 이 놈의 수도세를 우찌 해야 할지... 뜬금없는 댓글이예요.^^

balmas 2006-10-04 0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유님/ ㅎㅎㅎ 수도세 많이 나오죠. ^^;
그나저나 추석 잘 보내세욤 ~
 

지난 번에 발리바르의 영어 논문 한 편을 올린 적이 있는데(http://www.aladin.co.kr/blog/mypaper/900595),

사회진보연대 반전팀에서 이 논문을 번역했길래, 여기에 올립니다.

(출처는 http://www.pssp.org/bbs/view.php?board=document&id=1202)

[사회운동] 10월호에 이 번역본이 수록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바쁜 일정에도 애써 번역해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

------------------------------------------------------------------------------------ 

 

전쟁으로서의 정치, 정치로서의 전쟁: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인 변이들



에티엔 발리바르 (2006년 5월 8월)

* 번역: 사회진보연대 반전팀



[편집자주] 이 글은 에티엔 발리바르가 2006년 5월 8일 미국 에반스톤에 위치한 노스웨스턴 대학의 ‘앨리스 벌린 카플란 인문학 센터’에서 행한 공개강좌의 강연문이다. 전쟁과 폭력 문제에 관한 그의 분석은 이미 『사회운동』에 두 차례 게재되었다. 앞서 실렸던 두 글을 먼저 소개하면, 「평화를 향한 대장정」(사회운동, 2006년 1-2월호)은 1982년에 작성된 것으로 뉴레프트리뷰 출판사가 조직한 심포지엄에 제출된 논문을 편집한 『절멸주의와 냉전』에 담긴 것이다. 1970년대 말 미국과 나토가 유럽에 신형핵무기 배치를 강행하면서 강대국 간의 핵전쟁 위험이 다시금 고조되고, 이에 따라 서유럽에서 반핵평화운동이 다시 분출했다. 발리바르는 이 글에서 동서 핵대결의 ‘세력균형’이란 논리의 악순환을 깨기 위해서는 서유럽의 각국들이 먼저 핵무기 도입․배치를 중단․폐기하고 나토 동맹체계를 해소하는 ‘일방적 군비축소’와 ‘적극적 중립주의’를 단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또한 비슷한 시점에 폴란드 연대노조 운동을 비롯해 동유럽에서 민중운동이 확산되는 것에 주목하며, 냉전체제 전반에 균열을 가하기 위해 양 진영의 운동이 수렴점을 찾으려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 한편 두 번째 글, 「잔혹성의 지형학에 관한 개요: 세계적 폭력시대의 시민성과 시빌리티」(사회운동, 2004년 6월호)는 2004년에 출판된 것으로, 앞서의 글이 냉전 시대의 산물이라면 두 번째 글은 냉전이 붕괴된 후의 세계정세를 ‘세계적 폭력’이란 관점에서 조망한다. 이 글은 지금의 세계가 전쟁, 이른바 ‘인종청소’, 경제의 파멸로 인한 기근과 절대빈곤, 대재앙(외견상 자연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규모의 살인과 같은 유행병, 가뭄, 홍수, 지진) 등 잔혹한 폭력의 지대를 창출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극단적 폭력은 상이한 이유로 발생하지만 누적효과를 낳고, 결국 세계를 생명의 지대와 죽음의 지대로 분할하는 ‘초국경’(원한의 경계선)을 생산한다. 나아가 세계적인 시민성을 창출할 수 없는 자본주의의 정치적 조건으로 인하여 죽음의 지대의 인민은 불필요한 잉여로 간주되고, 외부세계는 예방적 반봉기라는 관점에서 이 지대에서 벌어지는 상호제거 또는 절멸을 조장하거나 이에 개입한다. 이번에 소개하는 「전쟁으로서의 정치, 정치로서의 전쟁: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인 변이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전쟁이론을 고찰한다. 저자는 전쟁에 관한 클라우제비츠의 대표적인 명제들의 유효성에 대해 질문하고 그의 이론체계에 내재한 난제와 모순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이라는 클라우제비츠의 대표적인 명제는 현실을 설명하는 묘사로 해석될 수 있지만, 역으로 군사적 목표가 정치의 목적에 종속되어야 한다는 처방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투로 실현되는 군사전략의 자율화와 파괴 경향이 억제되지 않는다면 ‘제한전쟁’은 ‘절대전쟁’으로 극단화되고, 정치의 조건 그 자체가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18세기 왕조전쟁에서 19세기 국민전쟁으로 현실의 전쟁이 전개된 역사는 ‘극단으로의 상승’이라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개념이 극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이었다. 그런데 현재의 시점에 이르러서는 군사전략의 근대적 주체였던 국가-인민-군대의 통일체가 해체되면서 폭력의 국가 독점과 민족국가에 의한 이데올로기적 통합이 점점 더 의문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쟁의 역사는 한 단계 더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저자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 대별되는 마르크스주의 운동의 전통을 검토하면서 마오쩌둥의 ‘유격대․지구전’ 이론이 클라우제비츠의 경고를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경유해서) 인식하고 정치적 목적에 종속된 군사전술이란 지향을 실천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마오쩌둥 역시 혁명정당이 국가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문화혁명을 경과하면서도) 완전히 버리지 못했고, 유격대․지구전 이론을 통해 역전된 국가와 인민의 위계관계가 다시 당-국가의 우위로 재역전되는 경향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억압적 국가장치의 재건)과 절대전쟁으로의 진화 경향(정치의 조건에 대한 파괴) 역시 재확립되었다는 것이다. 



*       *       *



우리는 이중적 의미에서 진정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인 시대에 살고 있는 듯하다. 우선 활기차게 진행 중인 논쟁이 있다. 이것은 동시대 전쟁의 클라우제비츠적인 또는 비-클라우제비츠적인 성격에 관한 논쟁으로, 이는 ‘전쟁학자’들의 협소한 논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논쟁은 대략 25년 전[1980년대 초반 미국 레이건 정부 당시에] 시작되었다. 그 시점에서 [핵무기에 의한] 강대국의 상호파괴에 대한 전형적인 냉전 시대의 강박증은 주로 제3세계에서 발발한 ‘저강도분쟁’(low intensity conflicts)에 대한 군사전문가와 정치이론가의 첨예한 관심으로 대체되었다 (제3세계라는 범주는 제2세계가 붕괴한 후에도 여전히 많이 사용된다). 저강도전쟁은 극히 비대칭적이었는데, 게릴라 형태의 적에 대항하는 북반구의 기술적으로 정교한 군대의 개입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마틴 반 크레벨드와 미국의 사무엘 헌팅턴은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 정치환경에서 ‘비(非)-클라우제비츠적’ 전쟁이라는 슬로건을 제시한 최초의 인물들인 듯하다. 그 후 전(前)유고연방과 다른 지역에서 ‘종족전쟁’(ethnic war)이 일어났다. 이 전쟁들은 영국의 평화이론가이자 정치학자인 매리 캘도어와 다른 학자들로 하여금 과거의 전쟁(Old War)과 대비되는 새로운 전쟁(New Wars)이란 슬로건을 제시하도록 자극했다. 새로운 전쟁은 정규군을 지닌 민족국가가 아닌 [전쟁의 새로운] 역사적 ‘주체’를 동반한다. 또한 그들에 따르면, 클라우제비츠의 저명한 저작 『전쟁론』에서 파생한 관념들이 일반화되고 새로운 환경, 새로운 전략적 관심사와 새로운 기술에 적용되고 지난 150년 동안 전쟁이론가의 주요한 관심사였더라도 그 관념들의 설명적 가치는 한계에 달했다. 전쟁과 정치뿐만 아니라 종교, 인종, 경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종류의 상호작용이 지금 일어나고 있지만 그 관념들은 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이 현실 물리세계를 설명하며 영예로운 이력을 쌓은 후 어느 시점에서 비(非)-유클리드 기하학에게 자리를 내줄 수밖에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클라우제비츠의 전략과 전쟁학은 또 다른 유형의 [군사적] ‘계산’(calculation)을 고려하는, 역사적 현실에 대한 새로운 비-클라우제비츠적 이해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는 현대 전쟁에 대한 분석가들이 클라우제비츠의 도식과 개념을 분석적으로나 규범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다고 옹호하는 것을 가로막지 않는다. 나는 특히 『무질서의 제국』(Empire of Disorder)이라는 주목할 만한 저서를 발간한 알랭 족스가 그 사례라고 생각한다. 그는 클라우제비츠를 사회․정치적 현상이자 국가주권의 상관물인 전쟁에 대한 이론가들 중 하나로 간주한다. 그는 투키디데스, 마키아벨리, 슈미트뿐만 아니라 홉스, 마르크스, 베버를 전쟁이론가에 포함시킨다. 그러나 이제 상황이 다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당 부분 미국이 중동에서 전쟁을 개시하고 처음 3년 동안 전쟁이 전개된 방식의 결과다.


[미국의 중동전쟁에서] 신속히 이어진 성공적인 공격과 점점 더 어려워지는 방어 전투는 (심지어 퇴각의 가능성, 나아가 필연성에 늘 시달린다) 베트남 전쟁과의 유사성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특정한 지리적 또는 지리-문화적 조건에서 군사작전 내부에서 정치적 요인의 복귀에 관한 고전적 논의와,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군의 효율성이 감소하므로 결국 공격 전략보다 방어 전략이 우월하다는 클라우제비츠의 유명한 명제를 부활시킨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를 적용하기에는] 모두가 염두에 두는 난점이 있다. 그것은, 철학적 범주를 사용해서 말해보자면 ‘순수한’ 클라우제비츠 모델에서 결국 승리하게 되는 전략의 ‘주체’는 이미 형성된 것이든 전쟁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든 전형적으로 근대적인 군대-인민-국가의 통일체와 동일시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는 미국의 침략에 대한 베트남의 저항에는 적용될 수 있지만 이라크 전쟁의 경우에는 매우 의심스러우며 아마도 부적합한 주장이 될 것이다. ‘인민의 저항’ 또는 ‘반제국주의 지하드’를 주창하는 일부 무명의 이데올로그들을 제외하면 그 누구도 단순한 방식으로 반미 군사행동의 ‘주체’를 식별할 수 없으며 ‘이라크’ 국가와 통합된 인민의 존재 자체가 문제다. 


현재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클라우제비츠적 관념이나 용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적용하려고 할 때 이와 비슷한 난점이 작용하는 듯하다. 현재 상황에 관한 표상은 두 적들 간의 (세계적 규모의) ‘격투’이며 각각은 상대방의 섬멸을 추구한다. 미국 정부는 이를 ‘테러와의 전쟁’이라고 부른다. 두 적들 간에 명백한 비대칭성이 존재하지만 현재 상황은 ‘순수한 전쟁’(pure war)의 법칙으로서 ‘극단으로의 상승’이라는 클라우제비츠의 관념을 환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유비 역시 난관에 부딪친다. 클라우제비츠의 모델에서 폭력을 극단으로 상승하게 하는 가동장치는 더 큰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사활적인’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는 각 적대국의 의지이며, 이는 합리적인 도박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극단으로의 상승에는 제한 또는 자기제한의 원칙 역시 포함된다. 전쟁을 위한 전쟁, 자신의 권력을 파괴하는 전쟁은 클라우제비츠의 관점에서는 불가능하며 시공간의 제한이 없는 전쟁, ‘악마’와 동일시되는 불확정적인 적에 대항하는 전쟁이란 관념 역시 불가능하다. 이러한 전쟁을 상상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전쟁’이라고 불러선 안 되며 정치적이기보다는 신학적인 또는 신화적인 다른 이름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고찰이 매우 단순하고 추상적으로 들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를 통해 왜 전쟁과 정치의 본질적, 또는 구성적인 관계에 대한 반성이 심원하게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인 채로 남아있는지 사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더욱 비판적인 의미에서 클라우제비츠의 모든 명제와 정의를 재조사하고, 전도하고, 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마리 폰 클라우제비츠가 남편이 남긴 원고를 『전쟁론』으로 출판한 후 지난 150년 동안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현재에도 그것은 필수적이다).1) 나에게 시간이 있다면 나는 클로드 르포르와 알튀세르가 마키아벨리에 관해 쓴 모델에 근거해서 (그들은 정치적인 것에 대한 자신들의 정의를 클라우제비츠에서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클라우제비츠가 항상, 완전히 합리적이진 않더라도 정치를 사고 가능하게 하는 핵심을 건드린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현대 정치이론 내부에서 클라우제비츠의 문헌에 대한 ‘연구’는 결코 끝나지 않으며, 여기에는 클라우제비츠를 독해함으로써 생산되는 영속적인 곤란함이 동반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충분한 문헌적 근거를 결여한 결론을 선취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확히 문헌으로 돌아가서 개념적 독자성들을 개략적으로 평가하자.


나는 발표를 상당히 불균등한 두 부분으로 나눌 것이며, 각 부분은 훨씬 더 논의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첫 번째, 훨씬 더 긴 부분에서는 전쟁과 정치의 접합에 관한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을 해석 또는 재구성하는 문제를 다룰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서 클라우제비츠에게서 ‘파생’된 개념과 클라우제비츠에 대한 ‘대응’을 다룬다. 이는 상이한 방식으로 존재하며,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클라우제비츠의 민족전쟁 개념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전통의 대응물로서 ‘계급’이 상기될 수 있다. 이어 매우 간략할 수밖에 없는 결론에서 나는 하나의 본질적 통일체 내에서 전쟁과 정치를 접합하는 방식들에 함축된 ‘주체’(또는 비(非)주체, 또는 불가능한 주체) 개념의 쟁점으로 되돌아갈 것이다.


이제 클라우제비츠의 저작을 읽을 때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를 상기해보자. 그의 저작은 미완성으로 남아 있고 (이 사실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 저작의 상태는 파스칼의 『명상록』이나 안토니오 그람시의 『옥중수고』와 비슷하다. 클라우제비츠는 저술 과정에서 결정적인 수정을 가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저작 전체를 다시 쓰길 원한다고 선언했다. 이런 저작에서 철학적, 실용적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는 것은, 지금까지 수백 편의 논평들이 출판되었을 만큼 매우 어려운 과제다. 나는 이 논평들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불완전하고 편향적일 수 있으나 인위적이지 않길 바라는 해석 절차를 단도직입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나의 해석은 클라우제비츠의 명제가 계속 난점을 제기하거나 새로운 재해석을 요청한다는 독해 결과에 근거를 둔다. 나는 네 가지 명제를 추려내서, 그것들을 하나의 체계 또는 공리로 구성할 것이다. 나는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적 기획이 각 명제들의 (서로 분리되어 있든, 서로 반작용하든) 과도한 결론을 통제하려는 계속되는 시도라고 설명할 것이다. 나는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 사상가들이 상이하게 이해하든가, 또는 재정식화하든가, 아니면 서로 분리하려고 시도하는 문제의 명제들이 동일한 집단을 이룬다고 제안할 것이다.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이다


클라우제비츠의 명제 중에서 (최소한 현재에) 군사전문가 집단을 넘어서 가장 유명하고 자주 논의된 것은 전쟁의 정의 또는 특징이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독일어로 Fortsetzung)”(때로는 단순한 계속이다)이라는 명제와 내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전략으로서 ‘방어’는 본질적으로 ‘공격’이나 ‘공세’보다 우월하다는 명제다 (그런데 전략이란 무엇인가? 이 문제 역시 분명히 동반된다). 나는 두 명제에 대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지만, 다른 두 명제를 더 언급해야만 [체계 또는 공리가] 완성된다고 제안할 것이다. 나는 네 가지의 사실상 독립적인 명제들의 체계 또는 공리를 통해서만 클라우제비츠의 의도와 난점이 어디에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계속’ 명제는 『전쟁론』의 분리된 두 곳, 1편과 8편에서 [서로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는] 의미심장한 뉘앙스로 두 번 반복된다. 그것은 저작의 양끝에서 제시될 뿐만 아니라, 저자의 암시에 따르면 대상에 대한 상이한 개념들에 상응한다.


첫 번째는 확실히 전쟁이 ‘계속해서’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고, ‘다른 수단을 통해’ 또는 ‘다른 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는 하나의 방식이라는 관념을 강조한다. 이 때 다른 수단은 위협이나 압박뿐만 아니라 현실의 폭력, 심지어 극단적 폭력의 수단이다. 이것은 정치의 통상적 또는 정상적 수단은 비폭력이며, 그것은 어떤 상황에서는 [정치적 목적을 성취하기에] 불충분해지므로 정상적 수단을 넘어서 ‘다른 수단’(폭력적 수단)을 사용할 수 없다면, 즉 정치의 가능성(과 권력)을 확대하여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면 정치 행위는 절대적 한계에 도달한다는 관념을 함의한다. 그러나 [폭력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상황을 통제할 수 없는 위험을 무릅쓰며, 정치적 주체의 존재가 위험에 빠질 뿐만 아니라 [정치]행위의 정치적 성격과 정치의 정치적 ‘논리’ 자체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 지대, 제한 영역으로 진입한다는 관념 역시 함의한다. 동일한 맥락에서 클라우제비츠는 폭력적 수단(전쟁이라는 수단, 군사제도와 애국주의의 발생과 같은 수단[전쟁]의 수단)의 사용은 정치에 반작용하거나 정치를 변화시킨다는 관념을 도입한다. 정치는 전쟁의 폭력적 수단을 사용하면 변형될 수밖에 없으며, 아마도 근본적으로 변형되고 변성될 것이다. 따라서 정치와 전쟁의 접합이라는 문제는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이라는] 처음 진술의 본체가 위태로워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즉각 변증법적 진술로서 제시된다.


하지만 두 번째 정식이 있다. 두 번째 관념이 강조하는 것은 전쟁이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일 뿐’이며 정치적인 것의 정상적 한계를 침해하지 않지만, 이러한 한계 내에는 또 하나의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정치적 주체는 상황, 세력, 이익에 따라 어떤 정치적 ‘도구’로부터 다른 도구로 이동할 수 있으며 (클라우제비츠는 ‘도구’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한다) 이제 정치적 주체의 특징은 바로 폭력적 수단과 비폭력적 수단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는 비폭력적 수단의 사용에만 자신을 제한하지 않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주권 능력이라고 부를 수 있다). 확실히 이러한 정식으로부터 정치의 합리적 성격에 대한 어떤 표상이 나타난다. 특히 정치의 목적을 달성하거나 어떤 상황을 조정하기 위하여 폭력적 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에 의해 정치의 합리성이 설명된다. 하지만 이러한 표상 역시 변증법적 관념이라는 것이, 또는 잠재적 긴장과 위험성을 동반한다는 것이 입증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현실에 대한] 묘사로 해석될 수도 있고, 처방으로 해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한편으로 정치는 자신의 본성을 바꾸지 않고, 자신의 한계를 침범하지 않으면서 전쟁의 폭력적 수단을 사용한다는 주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쟁의 폭력적 수단은 전쟁의 결과, 전쟁을 사용하는 자에게 끼치는 반작용 효과, 전쟁의 ‘논리’가 정치적 합리성을 벗어나지 않거나 전복하지 않을 때만, 즉 독립적 논리가 되지 않을 때만 정치적 수단으로 남는다는 경고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상 ‘독립적’ 논리이지 않은가? 클라우제비츠가 함의하는 것은 정치가 전쟁을 도구화할 수도 있고 전쟁이 정치를 도구화할 수도 있지만 후자는 불가능하거나 전혀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클라우제비츠는 정치에는 ‘논리’(logic)가 있고 전쟁에는 오직 ‘문법’(grammar)만 있을 뿐이며, 전자가 후자에 대해 최우선권(primacy)을 지닌다고 썼다.


내가 보기에 바로 여기에 난점이 존재한다. 우리도, 클라우제비츠도 이 난점을 결코 쉽게 해결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클라우제비츠는 다른 정식을 제시해야만 했다. 그러한 난점은 앞으로의 고찰을 통해 규명될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정치와 관련하여 전쟁을 두 번, 서로 다른 두 각도에서 고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쟁은 정치의 전부가 아니지만 (왜냐하면 정치는 전쟁과 다른 절차를 지니며, 이 역시 동일하게 필수적이다) 정치의 본질과 관계를 맺고 그것에 영향을 끼친다. 정치가 전쟁에 의존하는 방식과 전쟁의 폭력적 수단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정치에 미치는 결과는 정치의 본질을 드러내고 실제적으로 정치를 결정한다. 확실히 클라우제비츠가 피하고자 했던 것은 전쟁에 대한 의존이 정치의 본질이라는 주장이며, 전쟁의 폭력적 수단의 사용과 전쟁의 논리적이고 실존적 함의(예컨대 하나 이상의 ‘적’을 지목해야 할 필요성)가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정의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은 처음 진술의 역(‘정치는 전쟁의 계속이다’, ‘정치는 전쟁의 결과다’)으로 나아갈 수 있다. (우리는 클라우제비츠가 이러한 주장을 피하고자 했지만 이런 시도 역시 난점들을 지니며, 그 문제들은 클라우제비츠의 계승자들을 늘 괴롭혔다는 것을 앞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클라우제비츠는 ‘도구’로서 전쟁의 활용과 그것이 정치 그 자체에 미치는 역효과에 대해 문제제기하길 원한다 (또는 필요로 한다).


클라우제비츠의 정식이 과거 로마의 사법적․정치적 원리를 근대적으로 다시 정식화한 것이라고 이해하고자 할 수도 있다. “문관이 군을 제압한다”(cedant arma togae), 이는 전쟁의 무장행동과 군사제도가 문관의 최우선권에 복종되어야한다는 것이다.2) 그러나 규범적 가치를 지닌 이 정식은 클라우제비츠를 괴롭혔던 문제를 설명하지 않는다. 그것은 정치적 수단으로서 활용되는 전쟁은 정치에 반작용하고, 정치를 가장 심원하고 어려운 문제에 봉착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며, 이러한 형태에서는 정치의 가능성 자체가 문제가 되고 위태로워진다는 것이다. 반면 전쟁을 정치적인 것의 최우선권에 영속적으로 종속시킨다는 것은 전쟁이 합리적이라고(또는 합리적인 채로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전쟁의 합리성은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수단과 목적의 ‘실천적’ 관계를 통해 본질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전쟁의 합리성은 정치적인 것 자체로부터 유래하는 목적론적 합리성이며, 정치적인 것은 전쟁의 합리성에 대한 척도다. 이러한 주장은 다른 무엇보다도 놀라운데,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이 폭력의 극단에 이른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폭력의 극단, 즉 현실적 파괴가 문제가 되는 폭력의 극단에 이른다는 것은 ‘순수한 폭력’의 형태가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다. 클라우제비츠가 전투(Gefecht)의 관리로 규정한 전술의 수준에서 폭력이 극단에 이르고, 여기서 인간이 개별적으로, 집단적으로 서로 죽이고 죽는다. 그러나 전술과 전투는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전쟁의 일부이며, 정치적 목적에 봉사하는 ‘전략적’ 목표에 종속되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왜 전략의 문제(전략의 정의, 기능)가 클라우제비츠에게 가장 중요하고 또한 아마도 가장 곤란한 문제인지, 결국에는 이 문제가 [클라우제비츠에게서] 회피되고 마는지를 이미 이해할 수 있다. 전략은 전쟁에 대한 (역사적, 개념적) 분석 속에서 극단적 폭력(절대적 수단)의 수준과 정치적 합리성(절대적 목적)의 수준을 접합한다. 우리는 인간학의 용어법을 도입해서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이란 이름으로 정치와 결합시키는 ‘폭력’은 무제한적 폭력이 아니라 제도적 폭력이며, 제도적 폭력으로 남아 있어야만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클라우제비츠의 정식은 ‘폭력이 정치의 계속’이 아니다). 따라서 클라우제비츠에게 문제는 어떻게 폭력이 극단에 이르면서도 제도의 한계 내에서, 제도적인 것으로 남게 할 수 있느냐이다. 하지만 대립물의 통일이 유지될 수 없다면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또는 발생할 것인가?


아마도 우리는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 변이들이 실천적 동기와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 따라 매번 어떻게, 왜 발생하는지 이미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변이들은 ‘전쟁이 다른 수단, 즉 극단적 폭력의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이며, (본래의 가설에 따라) 정치는 정치적 합리성 또는 목적에 종속된 도구로서 폭력을 사용한다’는 원리를 형식적으로는 유지한다. 그러나 그러한 변이들은 정치적인 것에 관한 통념과 ‘전쟁’의 정의에 완전히 새로운 내용을 부여한다. 역으로 그 변이들은 정치, 전쟁, 폭력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해석함으로써만 ‘계속’이라는 관념을 주장하거나 문제로 삼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러한 변이들은 클라우제비츠의 관념이 지닌 순환성과 동시에 초기 조건을 훨씬 뛰어넘는 생산성을 보여줄 것이다. 그러나 이는 클라우제비츠가 더욱 구체적인 일련의 공리들 내에서 일반적 원리와 결부시킨 다른 명제들을 고려함으로써만 가능해질 것이다.


공격 전략에 대한 방어 전략의 우월성


『전쟁론』에서 발견되는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두 번째 명제는 ‘공격’에 대한 ‘방어’의 전략적 우월성과 관련된다. 이 명제 역시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고, 여러 번 다시 정식화된다. 하지만 방어와 공격을 다루고, 이런 관점에서 상호 검토를 다루는 6편과 7편에서 주요 논의가 전개된다. 클라우제비츠는 방어의 우월성이 전술 수준과 관련된 것도 아니고 정치적인 것과 관련된 것도 아니며, 따라서 방어의 우월성이란 전략의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수준에서 전형적으로 존재하고 전략 이론의 전체 대상은 이 명제를 확립하고 여러 환경과 조건에 따라 방어의 전략적 우월성을 규명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밝히고자 했다. 여기서 우리는 다시금 전형적인 순환을 발견한다. 일반적으로 방어의 전술적 우월성이란 주장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전술적 공격은 모든 전략적 방어의 본질적인 부분이라는 관념은 그와 대단히 상반된다 (왜냐하면 전술적 공격은 적에게 피해를 주고 적의 전쟁수행 능력, 즉 기동과 판단 능력을 부단히 파괴하기 위해서 세력관계에서 나타나는 시공간적 불균형을 활용하며, 이는 특히 최초 공격에서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클라우제비츠의 계승자 중에서 마오쩌둥은 유격대 전쟁을 이론화하면서 [방어 전략과 전술적 공격의] 상호 보완성를 일관되게 발전시킬 것이지만, 이는 클라우제비츠에게 이미 명백히 존재했다. 또한 ‘방어적 정치의 우월성’ 또는 본질적으로 우월한 방어의 정치(예를 들어 민족의 방어, 민족경계의 방어, 독립의 방어)라는 주장 역시 의심할 여지가 없는데, 이는 아마도 가장 어려운 지점일 것이다. 내가 보기에 방어의 정치는 정의로운 전쟁(just war) 이론의 ‘현실주의적’ 판본과 같거나 그 일부다.3) 폭력의 적법성(ius ad bellum)의 근대적 판본은 오로지 외부의 침략에 반응하여 민족이 수행하는 방어적 전쟁만이 적법하다는 것이다. 이런 전쟁은 적법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리고 모든 것들을 고려할 때 결국에는 승리를 거둘 수 있다 (‘결국에는’이란 여러 예외도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방어의 정치는 클라우제비츠의 개념이 아니다. 그에게는 전쟁에 관한 도덕적이거나 신학적인 개념이 없다. 클라우제비츠는 훗날 칼 슈미트가 유럽 공법(ius pulicum Europaeum)으로 체계화한 관념, 즉 민족국가는 정치적 목적을 성취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전쟁에 호소할 고유한 권리를 지닌다는 관념의 전형적인 주창자다. 방어의 우위라는 관념은 정치적 목적(Zweck)과 무관하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군사적 목표(Ziel)와 ‘오직’ 관련된다. 확실히 방어의 전략적 우월성은 정치와 전쟁의 접합의 형식적 합리성에 본질적 한계를 부과한다 (물질적 한계 또는 유물론적 한계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정치가 전쟁의 궁극적 목적을 부과하는 한에서만 이러한 접합은 합리적이거나, 이론화할 수 있는 합리적 구조를 보여준다 (의식적이든 아니든, 전쟁 행위자가 정치의 결정을 의식하든 못하든, 모든 전쟁의 궁극적 목적은 항상 정치적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바로 군사적 목표의 달성 가능성이 정치가 합리적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한에서만 (대개로 사후적으로 결정한다) [전쟁과 정치의 접합은 합리적이다]. 그리고 이는[군사적 목표의 달성 가능성은] 확실히 현실 전투의 형태로 결정된다. 이제 우리는 다시금 낯선 상황에 이르게 된다. ‘전략’이 클라우제비츠의 숙고의 주요 대상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는 이를 위해 역사적 상황을 비교하고, 전략의 천재성를 보여주는 군사 천재의 사례들을 검토하고, ‘전쟁계획’ 또는 ‘전략적 통일성’의 개념이 되는 특유한 ‘문법적’ 개념을 분리하고, 이러한 전쟁계획이 고안되고 실험될 수 있는 지리적, 시간적 한계(‘전투’, ‘전장’ 등등)를 지적하려고 대부분의 분석을 할애했다.4)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역설적이다. 그러한 작업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실체화될수록, 작업의 대상[전략]의 자율성은 점점 더 모호해지거나 문제가 되는 듯하고, 또는 오히려 논리적 역설에 말려든다. 즉, 이는 마치 전략적 사고와 전략적 계획의 주요 목표는 궁극적으로 전장에서 전략의 자율성과 같은 것이 실존할 수 있다는 것을 정확히 보여주는 것처럼 된다. 전략은 내적 긴장과, 아마도 전쟁 개념의 아포리아(aporia)[철학의 난제]를 응축한다. 세 가지 문제를 추가적으로 검토해서 이를 해명해보자.


첫째, 이는[전략의 문제는] ‘이론’과 ‘역사’가 문제의 통일체에서 만나는 곳이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이 항상 독자적(singular) 과정이며 연역적인 전쟁과학 같은 것은 없다는 사실을 항상 강조했다. 그러나 『판단력 비판』의 칸트적 의미에서 정치와 전쟁이 접합되는 규칙과 경향에 대한 반성은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반성은 가설로 남는다. 우리는 전략의 자율성이란 개념은 전적으로 자신의 조건들과 한계들, 그것들의 역사적 변이들과 관련을 맺으며, 자신의 유효성을 영속적으로 시험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역사적으로] 조정되는 개념이며 판단의 범주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클라우제비츠가 합리적이며 주관적인 이유로 이러한 고찰에 흥미를 느꼈다고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주어진 역사적 정세에서 역사로부터 끌어낸, 더욱 정확히 말하자면 그가 참여한 전쟁인 프랑스와 나머지 유럽 국가들의 혁명전쟁과 제국전쟁으로부터 끌어낸 ‘교훈’이 결국 방어 전략이 승리하는지를 보여주는지, 이런 교훈이 미래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는 전쟁이 정치의 도구로 남는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또는 어떤 의미에서 더 이상 전쟁이 정치의 ‘계속’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을(또는 이미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지, 또는 [정치의 계속이라는 전쟁의] 논리적 기능을 제거하는 위험을 무릅쓸 뿐이라고 의미하는지 결정하고자 했다. 클라우제비츠는 역사의 경향적 결과로서 방어 전략에 우월성을 부여했기 때문에 방어 전략의 우월성을 다루는 논증에는 이 문제가 [항상] 수반된다. 클라우제비츠를 늘 괴롭혔던 이 문제가 전쟁에 대한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인 반성에 영속적으로 출몰할 것이고, 현재에는 과거 어느 때보다 그러하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은 인상적이다, 클라우제비츠는 자신의 명제를 역설로서 제시했고 (어떻게 오직 소극적인 결과를 낳는 방어 전략이 적극적인 결과를 낳는 공격 또는 정복 전략에 비해 우월하다고 증명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역설은 전쟁의 수단이 극단으로 나아갈 때 명백해질 어떤 잠재적 불가능성의 신호가 아닌지 의심했다.


둘째, 우리는 방어 전략과 공격 전략이 마치 분리된 채 존재하는 것처럼 두 가지 ‘상이한’ 전략들 각각의 특질을 비교하는 표면적인 도식을 극복하기 위해 클라우제비츠의 정식을 [다른 것으로] 변형해야 한다. 그것은 방어의 공격으로의 변형과 반전, 또는 방어가 공격으로 전환되는 변곡점의 탐색이라는 더욱 심원한 문제다. 이것은 전쟁의 시간과 공간의 문제 즉 전쟁의 ‘역사’의 문제이며, 전쟁 행위자의 문제이므로 다시금 실질적인 의미에서 전쟁의 역사의 문제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이 ‘격투’의 복합적 형태이고 시간에 따라 발전하며, 다시 말하자면 행위자들의 세력관계를 부단히 변형한다고 썼다. 그 행위자들은 복합적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정부와 인민을 포함하고, ‘군대’란 전형적인 형태로 통합된 제도와 인간을 포함하며 (군대는 역사의 행위자가 전쟁의 영역에 등장하는 일반적 형태다) 동맹과 동맹의 변화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전쟁의 시간은 공격에서 방어로, 방어에서 공격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지닌 시간이다. 그것은 예정된 순환을 지닌 순전히 논리적인 시간이 아니며, 결국 전략적 ‘태세’ 중 하나[방어 또는 공격]을 강화하는 모든 요인들의 경향적 우월성에 의해 지배되는 역사적 시간이다. 이러한 시간의 효과를 요약하기 위해 클라우제비츠가 사용한 일반적인 통념은 마찰이다. 마찰이라는 용어가 암시할 수 있는 것과 반대로, 그것은 기계적인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인 개념이다. 그것은 도덕적, 기술적, 심리적, 사회학적 요인을 ‘통합한다.’ 따라서 클라우제비츠의 문제, 즉 전략적 숙고의 대상은 왜 즉각 성공하지 못한 (또는 완전히 성공하지 못한) 공격은 방어를 취하는 적에게 점차 굴복할 수밖에 없는지, 어떤 수단이 이런 불가피한 결과를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떻게 방어 전략이 성공적인 반격의 준비인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반격이 방어로부터 준비되며, 어떤 의미에서 방어는 내재적으로 공세국면에서도 계속되고 연장된다(fortgesetzt)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변곡점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따라서 모든 문제는 이런 변곡점을 규정할 수 있느냐, 어떤 종류의 사건이 이런 변곡점으로 규정될 수 있느냐가 된다. 클라우제비츠가 이 문제를 절대적으로 창안한 것은 아니지만, 그는 이 문제에 이론적 공식을 부여했다. 그것은 1812년 러시아 전쟁에서 나폴레옹의 ‘공세 전략’과 쿠투조프의 ‘방어 전략’의 대치 과정에서 거대한 규모로 실행되었다. 프러시아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승자가 주도하는 동맹에 다소 자발적으로 참여한 후 [프러시아와 프랑스가 대(對)러시아 연합전선을 펴게 되자] 클라우제비츠는 상대 진영으로 넘어가서 러시아 군대의 보좌관으로 참전하기로 결단하고 전쟁에 참여한다.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레오 톨스토이를 포함해 19세기 이후 전쟁 이론가들이 반복해서 언급할 정도로 극적인 사건은 보로디노 전투였다 (엥겔스와 톨스토이는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에 착수하기 이전에 보로디노 전투에 대해 서술한 글을 신뢰했으며, 그 글은 나중에 클라우제비츠의 누이에 의해 출판했다).5) 비슷한 규모와 전력을 지닌 두 ‘대군’은 엄청난 사상자를 냈고, 보로디노 전투는 나폴레옹의 전술적 승리로 보였지만, 결국 나폴레옹의 전략적 패배로 입증되었다. 보로디노 전투는 즉각 러시아 수도의 정복을 낳았지만, 사실상 나폴레옹의 최후의 패배를 예비하였다. 그러나 이 대치 역시 [방어에서 공세로] 변곡점이 발생하는 어떤 전형적인 조건을 보여주었다. 그 조건은 전투의 지속, 광대한 지리적 환경, 주민의 적대감 상승으로 인한 정복 그 자체의 반(反)생산적 효과뿐만 아니라 정규전과 게릴라전의 결합, [정규전과 게릴라전] 양 측에서 전쟁의 주요 행위자로서의 인민의 무장과 통합이었다 (게릴라전은 스페인에서 수입된 새로운 개념이다. 비록 그러한 전투형태가 스페인에서 처음 벌어진 것은 아니더라도6)).


이는 우리를 세 번째 고찰로 이끈다. 그곳에서는 ‘정치’, ‘전략’, ‘전술’이라는 세 가지 수준은 더욱 명백히 변증법적으로 얽혀있다. 이는 아마도 클라우제비츠의 가장 심원한 딜레마일 것이다. 그것은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을 이해할 때 두 개의 논리적 ‘대립항’ 또는 ‘극단’이라고 묘사한 것들 간의 관계와 관련된다. 그것은 한편으로 전쟁이 있는 곳에는 전쟁이 추구하고 직면하는 섬멸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이고, 또 한편으로 전쟁에서 고유한 정치적 능력은 전쟁이 동반하는 특정한 위험과 전쟁이 정치적인 것에 미치는 특정한 효과 속에서 이미 시작된 전쟁을 계속해야 하는지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능력 즉 언제, 어떤 대가로 ‘전쟁을 끝낼 것인지’ 결정하는 능력이라는 사실이다. 클라우제비츠는 섬멸에는 한계가 있고, [섬멸이] 그 한계에 접근할 수는 있지만 넘어설 수는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믿는다. 그는 자신이 ‘절대전쟁’(absolute war)이라고 부른 것을 고찰했지만, 훗날 ‘총력전’(total war)이라고 불린 것을 고려하지는 않았다. 절대전쟁에서는 격투가 극단으로 상승하며 국가 또는 민족의 모든 세력이 전쟁에 참여하지만, 총력전에서는 군사력뿐만 아니라 비전투원도 목표물이 된다. 정치를 계속하는 전쟁에서 문제가 되는 섬멸은 군대를 물리적으로 섬멸하거나 무기력한 상태로 진압하거나 해산시키는 것이고, 적이 타인의 의지와 목적을 강요당하는 것에 대해 저항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역으로 전쟁을 중단하는 능력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프리드리히 대왕이라고 불린 프러시아 국왕 프리드리히 2세를 클라우제비츠가 매우 존경했던 이유는 그가 정복지를 계속 보유하기 위해 자신의 승리들을 통제하고 유리한 순간에 화친을 맺는 능력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폴레옹의 천재성이 결국 비참하게 끝나고 그와 그의 나라를 패배로 떨어뜨릴 수밖에 없던 이유는 그가 정복의 논리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정복의 논리에서는 모든 예정된 한계를 넘어서 전쟁규모를 확대해야만 [나폴레옹의] 정치적 목적이 달성될 수 있고, [러시아의] 방어가 우세하고 압도적인 반격을 준비하며 이전 상태를 회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극단 사이에 강한 긴장이 있다. 왜냐하면 전쟁을 중단하는 능력(이는 ‘부정적인’ 전략적 통념이고, 클라우제비츠는 역설적인 방식으로 여기에 최우선권을 두었다)은 전쟁이 군사력과 자원의 일부분만을 포함할 때, 즉 적대국들 간에 섬멸의 가능성이 거의 없을 때에만 극대화된다. 반면에 물리적 섬멸이라는 전략적 목적은 군사력과 자원, 무엇보다도 인력의 동원을 초래하고, 이는 의지에 따른 전장으로부터 철수를 불가능하게 하며, [철수가 시도된다면] 국가의 실존에 대한 배후의 공격[내분]이라는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한다. 또 다시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마도 존재하지 않을 ‘평형’점이며 또는 ‘불가능한’ 지점, 즉 전쟁과 정치의 접합에 관한 ‘불가능성’의 지점이다. 즉 그것은 전쟁의 불가능성이란 유령을 되살리지만, 그 유령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나를 마지막 고찰로 이끈다.


나는 시작 부분에서 클라우제비츠의 주요 명제를 하나의 공리 형태로 배열할 수 있으며, 그 공리의 지위 자체는 명백하다기보다는 가설적이며 문제적이라고 말했다. 나는 공리를 구성하는 두 명제만을 검토했고, 각각은 어려운 문제를 제기한다. 나는 남은 두 명제를 급히 다루어야 하지만,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내가 옹호하고자 하는 관념은 클라우제비츠의 담론이 네 명제의 결합으로서만 이해될 수 있고, 전쟁의 주체(또는 전쟁의 ‘정치적 주체’, 따라서 전쟁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주체’)라는 그의 궁극적 문제는 네 가지 명제사이에서 아마도 끊임없이, 모순적인 방식으로 순환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한전쟁과 절대전쟁


세 번째 명제는 ‘절대 전쟁’과 '제한 전쟁'(limited war)의 구분과 관련된다. 이것은 그가 『전쟁론』을 저술하는 동안 생각을 바꿨고(그의 저작이 미완성으로 남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이론 전체를 고쳐 써야만 하는 ‘새로운’ 입장에 도달했다고 주장하게 한 바로 그 지점이다. 그러나 이는 전혀 분명하지 않고, 사실상 징후적 독해를 필요로 한다. 그 후 해석자들은 클라우제비츠에게 다양한 인식론적 도식(변증법, 이념형 등)을 투사하여 모든 가능한 방향에서 수수께끼를 풀려고 노력했다. 여기서 첫 번째로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클라우제비츠가 ‘절대’ 전쟁이 아닌 것을 가리키는 두 가지 용어를 두고 주저했다는 점이다. 그는 ‘제한’전쟁과 ‘현실’전쟁(real war)을 언급하지만, 거기서 그는 실제로 벌어지는 현실전쟁은 항상 제한전쟁이고 절대전쟁은 가상적 모형이라는 관념으로 도약한다. 즉 가상적 모형에 따라 경험적 사례를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실제로 관찰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너무나 단순하며, 문헌과 사실상 모순된다. 아주 성급히 말하자면, 나는 이런 관념이 레이몽 아롱과 어긋나며 엠마뉴엘 테레이와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이 ‘절대전쟁’이라는 통념을 가상적 모형이나 이념형으로 환원하지 않으며, 역사적 현실 즉 역사적으로 관찰되었던 전쟁의 성격 변화와 관련을 맺는다고 믿는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우리가 극적인 딜레마에 직면하게 한다고 믿는다. 분명히 ‘절대전쟁’과 ‘제한전쟁’은 상반되는 두 극점을 의미한다. 그것은 논리적 의미의 극점이고, 현실전쟁은 두 극점 사이에서 움직이고 다양한 단계와 결합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실은 최소한 두 가지 상황에서 거의 순수한 방식으로 두 극점에 접근했다. 나는 최근 시기에서 그에 관한 등가물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는다. 18세기 절대왕정 시기에 정부 간의 전쟁(Kabinettskriege)은 군사 카스트[특권계급]의 지휘 하에 용병, 직업군인, [모병된] 신병에 의해 강압적으로 수행되었고, 그것의 목적은 이른바 ‘유럽의 균형’ 내부에서 세력균형을 바꾸고 적대적 이익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심지어 피비린내 나는 전투를 동반하더라도 정의상 제한전쟁이었다. 그러나 프랑스혁명과 함께 개시된 ‘새로운 전쟁’(Volkskriege)은 절대전쟁이었고, 규모와 폭력의 측면에서 극단으로의 상승을 동반했다. 새로운 전쟁은 인민봉기에서 처음 나타난 ‘민족의 무장’을 동반했고, 나폴레옹은 이를 대륙의 헤게모니를 위한 제국주의 도구로 변형했다.7) 그 후 무장한 민족들은 서로 경쟁하고 싸웠으며, 각자는 민족주의적 비책을 계발했으며, 그들은 자신의 실존이라고 믿는 것을 위해 싸웠다. 이러한 전개는 전쟁의 세계사에 대한 클라우제비츠의 비범한 설명이 담겨있는 8편에 약술되어 있고, 이것은 뒤따른 시도들의 모형이 되었다 (여기에는 1860년대에 저술, 출판된 『신아메리카백과사전』(New American Cyclopedia)에 담긴 엥겔스의 항목도 포함된다). 그리고 클라우제비츠의 질문은 명백하다. 우리는 어떤 이유로 이러한 전개가 비가역적이고 역사는 ‘전쟁의 절대화’를 향한 방향으로 전개한다고 믿어야만 하는가? 우리는 어떤 가능성에 의거해 이러한 경향에 저항해야만 하는가? 이런 경향은 민족과 국가의 실존을 위태롭게 하고, 모든 정치적 문제들 중에서 전쟁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게 하며, 결국 정치의 도구인 전쟁에 대한 정치의 최우선권을 파기한다. 여기서 클라우제비츠 개인이 누구였는지 회고하는 게 유용할 것이다. 그는 불안한 귀족 가문 출신의 프러시아 장교로서 (주로 칸트적인) 철학교육을 받았고, 대적(大敵) 프랑스와 계속 싸우기 위해 자신의 나라를 떠나는 위험을 무릅썼고 직접적인 외교적 조정보다는 애국적인 관심을 우선시했다. 그는 인민 징병제에 기초해서 19-20세기에 이르러 거대한 군대로 발전할 것을 창안함으로써 프러시아 군대가 민족군대로 변형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8) 하지만 이러한 전개가 군사 카스트와 국가 관료로부터 정치적 결정의 완전한 독점권을 박탈할 가능성에 대해 그가 우려한 것은 분명하다 (나아가 빨치산이나 게릴라는 극단적 상황에서 궁극적인 무기이지만, 그들을 활용할 때 사회적 위험성이 동반된다는 점을 우려했던 것도 명백하다). 이는 네 번째이자 마지막 명제로 우리를 이끈다.


전략에서 도덕적 요인의 최우선성


네 번째 명제 역시 가장 크게 논쟁된 것 중 하나다. 그것은 전쟁의 역사에서 다른 전략적 요인에 대한 ‘도덕적 요인’의 궁극적인 최우선성이다. 클라우제비츠가 ‘도덕적 요인’이라는 통념으로 열거한 일련의 복합적 요소들과 그것들이 철학적 견지에서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면, 우리는 매우 복합적인 힘들의 체계를 발견한다. ‘도덕적’ 요인은 확실히 도덕성에 대한 고찰과 관련되지만, 그것은 역사에서 주체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개인적, 집단적 정서라는 더 광범위한 문제틀과 분리할 수 없다. 도덕적 요인들은 집단적인 것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것과 관련된다. 그래서 우리는 군대가 난폭한 죽음의 위험과 대치할 수 있게 하는 병사의 용맹과, 어떤 전장 상황의 무한한 복잡성을 독자적인 직관으로 대체하고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하는 총사령관의 자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또한 우리는 클라우제비츠가 국가의 ‘지성’ 또는 국가의 정치적 합리성이라고 부른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수단과 목적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개인의 능력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우리는 인민의 애국심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군인의 전투능력, 자원과 인명의 희생을 유지할 수 있는 민족적 능력의 배경을 형성한다. 애국심 역시 새로운, 즉 ‘근대적’ 의미에서 정치적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 모든 도덕적 요인은 집단적인 역사적 작용인, 또는 제도적 작용인의 차원 또는 계기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는 내가 말했던 것처럼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전략’의 수준이 분리될 가능성을 반영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도덕적 요인을 검토하는 것에 클라우제비츠가 대부분의 시간을 쏟은 이유다. 즉 그는 도덕적 요인을 군대의 통일성이 형성되고, 그것의 소멸에 저항하고, 적의 폭력을 압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에 기여하는 것으로서 검토했다. 역으로 다른 요인(예를 들어 경제적, 기술적 계기)을 무시하지 않는다면, 도덕적 요인에 부여된 중요성은 다른 요인의 유효성을 더욱 심원한 도덕적 심급에 종속시킨다 (예를 들어 조세인상 등의 방식으로 경제자원을 전쟁에 동원하는 민족적 능력). 후대의 이론가들이 자신이 더욱 유물론적이고 현실주의적이라고 간주하고 클라우제비츠를 날카롭게 비판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제비츠가 군사기술의 발전과 그것이 전략의 역사적 변형과 전쟁의 결과에 끼친 영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등장한 생산양식과 결합된 기술변화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전쟁의 역사를 다시 쓰기 위해 긴 연구(『신아메리카백과사전』의 ‘군대’ 항목)에 전념한 엥겔스와 같은 마르크스주의자조차 클라우제비츠가 ‘도덕적 요인’이라고 부른 것의 등가물을 고찰해야만 했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전쟁의 가능성과 전쟁의 발전에 관한 계급의식, 더욱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이데올로기의 영향에서 그것을 발견했다.


클라우제비츠의 네 명제 간 관계를 살펴보면, 각각의 명제가 다른 명제의 결과를 지지하고 규명하거나 또는 제한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는 우리가 무한한 논리적 순환에 들어서게 되는 이유다. 예를 들어 제한전쟁의 절대적 인민전쟁으로의 근대적 변형은 어떤 도덕적 요인에 결정적 역할을 부여한다. 도덕적 요인은 전쟁의 ‘정치화’라는 의미에서 방어 전략과 방어의 반격으로의 전환에서 사활적 요소다. 그러나 애국주의는 국가가 조종할 필요가 있지만 지배할 수 없는 대중의 정서이기 때문에 도덕적 요인은 정치의 합리성을 위협하는 양면성을 생산한다. 전쟁 시기에 애국주의는 공포를 포함하며 또한 공포를 압도하는 적에 대한 증오(Feindschaft)가 된다. 그것은 지배자에 대한 충성과 동일시될 수도 없으며 (그것은 심지어 지배자에 반대하는 것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해관계에 대한 고려를 통해 주관적으로 통제될 수도 없다. 그것은 정치를 파괴할 수 있는 정치를 실현한다. 여기서 우리는 전쟁의 주체에 관한 클라우제비츠의 가차 없는 질문의 비밀을 만나게 된다. [전쟁의] 직접적인 주체는 군대이지만, 군대는 최소한 근대 시대에 결코 자율적인 존재가 아니며, 그렇게 될 수 없다. 군대는 계속 생산․재생산되고, 전쟁의 환경과 그 누적된 효과는 이러한 재생산을 변조한다. 그러나 군대는 하나의 괴물이다. 군대는 국가와 인민의 결합이자 접합점이며, 민족이라는 관념은 [국가와 인민이라는] 두 가지 계기로 분열된다. 이것이 클라우제비츠의 딜레마였다. 이제 전쟁은 오직 민족전쟁, 곧 민족주의적 전쟁의 형태로만 실현 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모든 결론을 끌어내야 하지만, 역사의 무대에 출현한 새로운 인민권력을 통제해야 하며, 인민권력은 국가 자체가 인민의 정서를 영속적으로 능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은 민족국가가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정치적 문제의 군사적, 전략적 등가물이었다. 즉 어떻게 ‘봉기를 제도화할 것인가’, 어떻게 대중들에게 고삐를 채울 것인가? 놀라운 것은 이 문제가 19세기 초반 혁명전쟁과 제국전쟁 직후 정치적인 것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 떠올랐던 상황을 넘어서 의제로서 남아있었다는 것이다.


전쟁과 마르크스주의 전통


복잡한 문제를 동반하지만, 나는 여기서 매우 간략하게나마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 담론을 들여오고자 한다. 오늘은 [포스트-클라우제비츠 담론 중에서] 마르크스주의적 담론만을 다룰 것이다 (만약 마르크스 자신이 마르크스주의자라면…). 그 차이는 마르크스가 최소한 초기에는 클라우제비츠를 읽지 않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클라우제비츠를 감탄하여 읽고 마르크스에게 그 중요성을 조언해준 사람은 엥겔스다 (1849년 프러시아 군대와 맞선 혁명세력의 분견대를 훌륭히 퇴각시킨 후 엥겔스에게 붙여진 별명은 ‘장군’이었고, 그는 항상 군사 문제에 관심을 두었다).9) 


그렇지만 비교는 『공산주의자 선언』을 새롭게 독해하면서, 특히 1장의 구절들을 엄밀히 독해하면서 시작해야 한다. 1장은 계급투쟁의 연속적 형태가 역사적 변형, 특히 국가의 상이한 형태와 정치적인 것의 상이한 제도들을 이해하기 위한 안내선을 구성하며, 계급투쟁은 계속되는 내전(civil war)과 동일시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내전이란 표현은 1장의 끝에 있으며, 분리되어 있지만 확실히 두드러진다).10) 내전의 행위자들(또는 정당들)은 전쟁과정에서 생겨나며, 가시적일 수도 비가시적일 수도 있다. 마르크스가 1장의 서두에서 제시한 놀라운 정식처럼 내전은 상쟁하는 계급들 중 하나의 승리로 귀결될 수도 있고, 상호 파괴로 끝날 수도 있다.11)


나아가 우리는 클라우제비츠와의 연결고리를 확립한 푸코가 제시한 논평을 따라 이러한 구절들을 독해하자. 1) 사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 더 엄밀하게 말하면 ‘인종전쟁’으로서의 정치라는 이전의 해석을 ‘전도했다.’ 인종전쟁은 프랑스혁명 이전의 유럽 역사서를 지배했고 그 후에도 살아남았다. 2) 계급투쟁이라는 마르크스적 통념은 ‘인종전쟁’의 변질된 형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계급은 구체제 사회 내부의 인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계급투쟁은 19세기의 적대적 통념, 즉 ‘인종투쟁’의 통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클라우제비츠와 마르크스를 넘어서 ‘인종전쟁’이라는 초기 관념으로 돌아가는 것은 투쟁 또는 갈등과 동일시되는 정치적인 것의 어떤 순수성 또는 확실성을 부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통념에서 나는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출현하는 것을 둘러싸고 전쟁과 정치의 통념에 대한 역사적, 논리적으로 엇갈리는 스텝(chasse croisé)이 존재한다는 관념만을 유지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푸코가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은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것은 전쟁과 정치의 접합에 대한 클라우제비츠의 관념과 마르크스의 관념의 대결이다.


확실히 가장 인상적인 차이는 마르크스가 계급투쟁을 분산과 집적의 단계, 잠재와 발현의 단계를 지닌 내전(즉 일반적인 의미에서 혁명)으로 이해함으로써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범주에서 배제하길 원했던 바로 그것을 ‘전쟁’이라고 확실히 부른다는 사실이다. 인간학적 관점에서 볼 때 대외전쟁, 민족전쟁처럼 내전도 ‘순수한’, 무차별적 폭력의 형태가 아니며, 그 역시 제도적 폭력의 형태다. 내전은 심지어 문명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보일 정도로 (또는 과거에 그렇게 보였을 정도로) 잔혹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더라도 제도적 폭력의 형태다. 그러나 내전은 특정한 유형의 정치제도 즉 ‘도시’ 또는 ‘국가’의 파괴로서 나타난다 (또는 그리스 이후로 그렇게 나타났다). 바로 이런 이유로 클라우제비츠의 용어법은 ‘폭력의 합법적 사용에 대한 독점’이란 국가의 정의를 예상하며 (이는 폭력의 정치적 활용에 대한 독점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 용어법에 따르면 내전은 정치의 도구가 아니라 반(反)정치의 도구다. 슈미트에 이르러서야 내전을 포함하는 반정치의 도구가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 이율배반적으로 통합된다 (나는 이 문제를 잠시 뒤로 미루겠다). 사실 마르크스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두 가지 개념을 두고 분열을 겪었던 듯하다 (우리는 이러한 딜레마가 결코 해소되지 않았으며,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정치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계속 짐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정치적인 것이 ‘정치국가’를 의미하며, 국가를 둘러싸고 정치적인 것의 분리된 공간이 공적 대행자로서 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지배계급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지만 외형적으로 또는 사법적으로 계급이익을 초월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계급투쟁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다. 계급투쟁은 정치적인 것을 초과하며, 결국 분리된 공간으로서의 정치국가를 억압할 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를 ‘정치국가의 종언’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정치적인 것이 투쟁, 투쟁의 증대되는 양극화, 투쟁에 대한 ‘의식’과 ‘조직’의 형성, 역사의 변화를 생산하는 투쟁의 역할을 의미한다면 정치는 바로 영속적, 초역사적 ‘내전’으로 정의된다. 그러한 내전은 결코 정확히 동일한 형태를 취하지 않지만 (‘최후’까지, 즉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최종 대결까지) 결코 소멸하지 않는다. 


이것은 ‘전쟁’이란 용어의 은유적 활용인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클라우제비츠와 비교한다면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내전은 전쟁의 개념을 확실히 반성적으로 활용하며, 특정한 전쟁 개념을 단순히 적용하지 않으며 그것에 대한 문제제기와 변형을 동반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명제 또는 가설을 독해할 수 있다. 1) 오직 ‘내전’으로서 사회적 전쟁(social war)만이 ‘절대’전쟁, 또는 근본적으로 적대적인 전쟁이 된다. 그것은 극단에 도달하고, 절멸의 위험이 작동한다. 따라서 그것은 ‘본연의 의미에서’ 전쟁이다. 2) 이러한 전쟁은 ‘정치’를 구성하고 클라우제비츠의 정식을 전도하지만, 클라우제비츠에게는 단지 경향(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포)으로 남아 있던 것을 논리적 결론으로 나아가게 한다. 즉 그 결론은 정치의 ‘수단’으로서 폭력은 정치적인 것에 반작용하며, 정치가 전쟁의 계속이 되게 한다는 관념이다. 나아가 이것은 전쟁 ‘주체’의 표상의 총체적인 변화와 분리할 수 없다. 그것은 더 이상 제도적․사법적 주체 곧 국가가 아니며 오히려 내재적인 사회적 주체다. 전쟁의 사회적 주체는 자신의 역사적 형성과 부단한 자율화 과정 자체와 진정 구분될 수 없다. 물론 이는 마르크스가 (또는 마르크스를 클라우제비츠의 관점에서 독해하는 사람들이 - 그렇지만 우리는 이런 이들이 매우 적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계급투쟁이라는 약호를 통해 클라우제비츠의 명제 또는 클라우제비츠의 문제를 치환 또는 ‘번역’함으로써 그 명제와 문제를 부활시키게 한다. 


그러한 문제들 중 하나는 계급을 ‘군대’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관련된다. 이것은 계급투쟁을 점점 더 통일되고 양극화되는 두 적대적 세력들 간의 대결로 표현하는 것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일 것이다. 마르크스의 설명에 따르면, 이는 자격부여(qualification)에 종속된다. 그것은 계급투쟁의 결과일 것이며, 이런 의미에서 계급투쟁은 진정으로 자신의 행위자를 창조하거나 생산한다. 그 조건은 피착취계급과 착취계급의 초역사적 대결의 마지막 무대 또는 등장인물, 즉 자본주의 사회에서 오직 최종적으로 실현되는 경향이다. 오직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는 지배계급의 편에서 계급투쟁의 조직자로서 직접적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그 적대자는 어떤가? 프롤레타리아의 관점에서 볼 때 조직화된 세력은 국제노동자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나 ‘정당’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로 여기서 마르크스는 그 개념[군대로서의 계급]을 최종적 결론으로 밀고 나아가는 데 주저했고, 좀 더 은유적인 활용으로 돌아갔다. 우리는 혁명을 계급전쟁(class war)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어도 공산주의 전통에서 1세기 동안 매우 강력했다는 것을 알지만, 마르크스에게서 군대 형태의 혁명정당, 즉 계급정당 또는 ‘전체 계급의 정당’이라는 개념의 가능성만을 발견한다 (왜 그런지는 조금 후에 말하겠다). 그러나 그 전에 방어의 문제와 관련된 두 번째 포스트-클라우제비츠적 파생개념, 또는 클라우제비츠와 유사한 파생개념을 강조해야 한다. 우리는 『공산주의자 선언』에서 ‘비정치적’ 요소의 복귀를 준비하는 놀라운 역전을 목격한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의 투쟁이 심지어 혁명을 준비하고 자본가계급을 전복할 때라도 ‘방어적’ 투쟁이라고 설명하지만 이는 정치철학이 되며, 사실상 묵시론이 된다. 이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임금노동자를 절대적 빈곤과 실업에 빠뜨리며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며, 바로 이런 의미에서 (임금노동자, 더욱 일반적으로는 노동자[임금노동자뿐만 아니라 농노나 노예]가 사회를 부양하고 유지하므로) 사회의 재생산과 생존을 위협한다는 관념과 결합된다. 마르크스가 여기서 묘사한 것처럼, 자본주의에는 허무주의적 요소가 있으며, 이 때문에 자본주의에 대한 공격을 사회 내부의 적에 대항하여 사회를 방어하는 것과 동일시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다음에 더욱 전략적, 또는 준(準)전략적 고려가 나타난다. 그것은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은 자신의 힘, 의식, 조직을 경쟁하는 부르주아 조직으로부터 이끌어낸다는 관념에 있다. 마르크스는 프롤레라리아 계급 정당을 반(反)국가로 가상하지 않았고, 오히려 국가가 착취적 사회질서를 위해 사회를 억압하는 한에서 국가의 부정, 즉 ‘부정의 부정’으로 간주했다. 이 모든 것은 대외 전쟁의 상황과 반대로 ‘내전’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전쟁’에서 적대자들은 진정 외부적이지 않고, 서로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그들은 하나의 분할[분업] 형태에서 동일한 사회적 주체의 진화 양식이며, 그렇게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전쟁과 정치의 접합을 이해한 결과는 결정적인 동시에 모호하다. 적대의 화해 불가능한 성격을 현실화함으로써 내전의 모형은 계급사회, 특히 자본주의에서 정치적인 것의 본질을 폭로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정치적인 것의 종언을 준비하는 ‘사라지는 매개자’라는 이행의 형태로 명백히 나타나며, 우리는 이를 자기절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엇이 마르크스가 후속 작업에서 이러한 설명을 단념하거나 무시하게 하였는가? 후속 작업은 그가 계급투쟁의 전개에 관한 다른 모형을 모색하도록 이끌었고, 그가 『공산주의자 선언』에서 제시했던 반정치로서의 정치적인 것이란 날카로운 서술로부터 어떤 의미에서 물러나게 하였다. 왜 그런가? 내 견해로는 일련의 긍정적인 요인들이 작동했다. 그것에는 점증하는 빈곤과 부의 양극화라는 ‘묵시론적’인 선형모형을 희생시키는 자본주의 발전의 경제적 축적사이클에 부여된 중요성의 증대도 포함된다. 그러나 전쟁과 내전의 현상들에 대한 더 많은 경험 역시 부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그 현상들은 계급투쟁을 내전과 유비하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했고, 그것은 극단으로 밀린 내전 즉 ‘절대적 내전’으로서 혁명 모형에 관한 모든 부정적 측면을 보여주었다 (그 교훈은 마르크스주의 전통 내에서 ‘개량주의’와 ‘혁명주의’간에 뜨겁게 논쟁되었다). ‘제한적 내전’ 또는 ‘억제된’ 내전은 형용모순으로 보였다. 1848년과 1872년(파리코뮨)에 일어난 현실의 내전은 대량학살의 비극적 경험이었다. 이 때 부르주아 국가는 프롤레타리아를 궤멸시키기 위해서 (식민지 전쟁을 포함해) 대외전쟁 동안 형성된 군사 장치를 손쉽게 사용했고, 프롤레타리아는 결코 ‘군대’가 아니었다 (심지어 게릴라 군대도 아니었다). 게다가 (20세기는 물론이거니와) 19세기 동안 민족전쟁은 계급투쟁에게 자리를 내주지 않았고 정치와 전쟁이 접합하는 바로 그 장소이자 전략적 사고의 장소로서 남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압도적인 증거가 있었다. 민족전쟁을 ‘현실’과 현실의 ‘정치’과정을 은폐하는 외양 또는 인공현실로 묘사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결코 완전히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 민족전쟁은 서로 다른 나라의 지배계급이 ‘자신의’ 노동자가 서로를 절멸하도록 하고, 민족주의 담론으로 노동자를 기만하려는 노력을 결합해야 한다. 하지만 이처럼 민족전쟁의 엄연한 현실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했으며, 이는 클라우제비츠와 그의 문제를 직접 이해하는 것으로 복귀해야한다고 요청한 것이었다.


이는 엥겔스에 의해 준비되었다. 그는 클라우제비츠가 도덕적 요인을 ‘관념론적’으로 강조했다고 비판했고, 그것의 유물론적 등가물을 모색했다. 그것은 전쟁의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에 대한 강조와 양립할 수 있다고 입증되어야 했다. 이러한 등가물은 인민의 군대 또는 대중 징병이 (최소한 민주공화국에서는) 군대 내부에 계급투쟁을 잠재적으로 도입할 것이며, 따라서 군사문제에서 대중들에 대한 클라우제비츠의 공포를 대중들이 국가와 군사장치를 희생시키며 새로운 전략적 행위자로서 부상한다는 예언으로 역전시킬 것이라는 관념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레닌과 마오쩌둥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변증법적 원칙이 전쟁과 정치의 새로운 접합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전략적 결합체에 대한 관념이 국가-군대-인민의 통일체로부터 계급, 인민, 혁명정당이라는 새로운 통일체로 대체되었다. 알다시피 레닌은 클라우제비츠를 철저히 읽었고, 1차 세계대전이 발발되고 2인터내셔널과 반전결의안이 붕괴된 후 『전쟁론』에 관한 주석과 논평을 남겼다. 레닌은 “제국주의 전쟁을 혁명적 내전으로”라는 구호를 기초했고, (적어도 자신의 나라에서는) 성공적으로 이행했다. 그 구호는 ‘도덕적 요인’(국제주의적 계급의식)이 시간이 지남에 따른 ‘대중’전쟁(즉 대중으로 구성된 민족군대가 수행하는 전쟁)에 대한 정치적 공포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것은 ‘방어’로부터 준비되는 ‘공세’라는 관념에 대해 완전히 독창적인 해석을 제공하며, ‘절대’전쟁은 유지될 수 없거나 유지될 수 없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그 필연성을 이끌어낸다. 따라서 그것은[내전으로 전환은] 반드시 국가를 파괴해야 하며 차라리 국가를 희생시켜 정치의 조건들을 반드시 재창조해야 한다. 국가는 인민을 무장시키고 인민의 무장력 활용을 통제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한에서만 정치를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능력을 박탈당하자마자 정치적 환영(幻影)이 될 것이다. 또는 합법적 폭력의 국가 독점으로부터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폭력의 계급 독점으로 변화되자마자 그렇게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클라우제비츠의 전위가 ‘정치적인 것’에 대한 칼 슈미트의 비정치적 개념의 출발점을 형성한다는 것에 잠시 주목하자.12) 여기서 주권은 계급투쟁을 예방적으로 억압하기 위해서 국가의 핵심에 ‘예외상태’를 설치할 수 있는 능력으로 동일시되며, ‘내부의 적’ 즉 ‘계급적 내전’의 적에 대한 정의는 대외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폭력의] 국가 독점과 그 능력을 항상 재창조한다.

 

그러나 우리는 마오쩌둥의 ‘유격대의 지구전’ 이론에 이르러서야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계속’이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개념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인 방식의 탈환이자 정치적인 것에 대한 클라우제비츠의 관념에 대한 대안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것은 영속적으로 클라우제비츠를 괴롭혔던 아포리아를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사실 나는 여러 논평자들이 인정했던 것처럼 마오쩌둥이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 가장 일관된 클라우제비츠주의자였을 뿐만 아니라 클라우제비츠 이후 가장 일관된 클라우제비츠주의자라고 믿는 편이다. 왜냐하면 그는 클라우제비츠의 공리 중 일부가 아니라 전체를 모두 재해석했기 때문이다. 사실 그가 실제로 클라우제비츠를 직접 읽었거나 일부 인용문을 읽었는지 알기 어렵다 (나는 클라우제비츠의 저작이 그가 읽을 수 있던 유일한 언어인 중국어로 번역되었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항일전쟁 이후 (더 정확히는 대장정의 종료 이후) 마오쩌둥의 다양한 소책자와 논문에서는 레닌이 제국주의에 대한 에세이에서 클라우제비츠를 직접 인용한 대목에서 다시 인용한 것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마오쩌둥이 그 문제틀을 실질적으로 재구성했다고 시사한다. 모택동의 핵심적인 관념은, 처음에는 제국주의 적국과 지배 부르주아는 군대가 있지만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은 군대가 없기 때문에 방어 전략이 강요되지만, 이는 결국 대립물[공격전략]으로 역전되고, ‘가장 강한 적’의 실제 절멸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 ‘지구전’(또는 전쟁의 대장정)이라고 불리는 전쟁의 지속시간은 ‘마찰’의 변증법적 등가물이며, 농민 대중들 내부에서 피난처를 찾는 혁명적 노동자와 지식인의 소규모 핵심에게 필요한 시간이다 (그들은 물 속에서 헤엄치는 물고기처럼 인민 속에서 자신을 발견한다). 그들은 세 가지 결과를 동시에 추구한다. 첫째, 침략군의 고립된 분견대에 맞서 지역적 게릴라 공격을 감행함으로써 적군의 희생을 대가로 스스로 무장한다. 둘째, 전장을 전국적 수준으로 (중국에서는 반(半)대륙 수준으로) 확장함으로써 전략의 기술을 ‘배운다.’ 셋째, 헤게모니를 외부의 권력(식민지 정복자 또는 민족의 특권계급)으로부터 내재적 권력으로 이동하고, 피지배계급들의 공통이익을 대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인민 내부의 모순을 해결하고’ 인민을 인민의 적(또는 당의 적)으로부터 분리한다. 공산당은 바로 그 내재적 권력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장기간 동안 내재적 권력으로 머무른다고 간주된다). 


오늘 이런 분석의 맹목점은 오히려 더 분명해 보인다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를 낳았다). 즉 반제국주의 투쟁에서 민족 내부의 세력들만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처럼, 2차 세계대전의 국제적 맥락을 사실상 무시한다는 것이다. ‘자력갱생’이라는 마오주의의 위대한 구호는 잠재적으로 민족주의적 차원을 지닌다. 그러나 정치적인 것으로서의 전쟁의 합리성이란 관념(이는 정치적 주체를 함축한다)에 대해 하나의 새로운 역사적 해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결과는 인상적으로 남는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완전한 순환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러한 순환의 종결이 특히 국가가 수행하는 제도적 전쟁과 인민의 게릴라 전쟁 간에 확립된 위계적 관계의 역전이라는 것은 필시 우연이 아니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이러한 역전이 클라우제비츠에서 발견되는 아포리아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차라리 그 아포리아를 전위할 것이다. 클라우제비츠의 난점은 전쟁을 ‘절대전쟁’ 즉 무장한 인민이 수행하는 전쟁으로 변형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립되고 활용되어야 하는 ‘도구’에 대해 국가가 선험적으로 절대적 지배자라고 말할 수 없다는 사실에서 유래했다. 또한 중국혁명의 역사로부터 어떤 교훈을 끌어오면서 생기는 마오쩌둥의 난점 또는 우리가 그를 사후적으로 독해할 때의 난점은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계급 이데올로기를 통해 인민을 군대 또는 ‘인민군’으로 내부로부터 변형한 조직[공산당]의 내재적 권력, 즉 혁명정당이 스스로 국가가 되는 조건에서만 [방어에서 공세로] 전략적 반전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적 대행자로 남을 수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 (이는 심지어 국가가 혁명적 사건들에 의해 주기적으로 파괴되고 재건된다고 하더라도 그러하며, ‘문화혁명’으로 나아갔던 마오주의적 전망 또는 문화혁명 동안 교육되었던 마오주의적 전망에서도 그러하다). 사고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민족해방전쟁의 조건에서는 가망성이 매우 낮지만) 혁명정당이 ‘권력장악’을 삼가거나, 또는 적의 완전한 파괴라는 ‘최종’목적(Zweck)까지 혁명전쟁을 수행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며, 따라서 ‘절대전쟁’을 ‘제한전쟁’으로 어떻게든지 축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략적 과정의 주체(또는 전략적 과정 내부로부터 결정되는 주체)는 모든 상황에서 분열된 주체 또는 주권과 봉기 사이에서 동요하는 주체로 머문다. ‘분자전쟁’(엔첸스베르거)에 대한 일부 근대 이론가와 논평자는 주체의 범주를 단순히 제거하거나 그것을 부정적이거나 불완전한 형상으로 환원함으로써 아포리아를 해결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전쟁’의 범주 그 자체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끝>


1) [역주] 클라우제비츠는 1780년 프러시아 부르크에서 태어나 1831년 51세의 나이로 프러시아 브레슬라우에서 콜레라로 병사할 때까지 39년간 군인으로 일생을 보냈다. 폰 마리는 1832년 유고를 정리하여 10권의 선집계획 중 1차 저작계획으로 1권에서 3권까지를 묶어 『전쟁론』이란 제목으로 출판하였다 (마리는 남편이 생전에 자신의 저작이 출판되는 것을 완강히 반대했다고 술회했다). 그 후 1837년까지 『전쟁과 작전술에 관한 칼 폰 클라우제비츠 장군의 유작집』이 10권으로 출판되었다. 


2) [역주] 마르쿠스 키케로(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는 카이사르와 동시대 사람으로 기원전 63년에 집정관의 자리에 올랐다. 같은 해 63년에는 카틸리나의 역모 사건이 발생하자 키케로는 원로원 최종권고를 무기 삼아 이를 진압한다. 키케로는 자신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Consul sine armis(군사력을 갖지 않은 집정관), Dux et imperator togae(토가 차림의 최고 사령관), Cedant arma togae(文이 武를 제압하다). 키케로는 ‘정의로운 전쟁’(just war)에 관한 이론을 제시했고, 이는 훗날 기독교 사상가들에게 계승된다.


3) [역주] ‘정의로운 전쟁’(just war=bellum justum) 이론은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테오도시우스가 기독교를 국교화한 후 중세 기독교 전쟁사상의 핵을 이룬다 (콘스탄니누스(301-337)는 군대를 로마로 진격시키면서 군대의 방패에 십자가 표지를 달게 했으며, 테오도시우스는 416년 칙령을 내려 기독교도만을 군인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키케로의 정의로운 전쟁 이론을 받아들여 전쟁이 다음의 조건을 갖추면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첫째, 전쟁이 사회의 보편적인 선을 위한 것으로 합법적 당국에 의해 선포되어야 한다. 둘째, 전쟁의 원인이 정당해야 하며, 결코 법질서에 위협이나 손상을 주어선 안 된다. 셋째, 전쟁의 목적은 전쟁 이전보다 훨씬 더 법질서를 보장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합법적 당국을 황제로 규정하고 방어전이 아닌 공격전까지 정의로운 전쟁에 포함시키는 것이며, 정복전쟁 이후 적대국을 포괄적인 법질서로 융화시켜야 한다는 함의를 담고 있다. 한편 십자군 전쟁의 참화가 지난 후 아퀴나스(1225-1274)는 정의로운 전쟁의 원칙을 재정식화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전쟁방식은 공격전이 아니라 방어전이어야 하며, 정당방위의 경우에만 살상이 인정되고, 전투요원이 아닌 민간인은 결코 전쟁 대상이 되어선 안 되고, 적을 살상하기보다는 적이 스스로 상용하는 처벌을 자임할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4) [역주] 클라우제비츠는 전략 일반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전략이란 전쟁의 목적(적의 무장해제)을 획득하기 위한 전투의 원용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략은 총체적인 군사행동에 목표를 부여하는 것이며, 전쟁계획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여러 행동계열을 하나로 묶어서 최종적인 결정행위로 유도하는 국면으로 연결시켜주어야만 한다. 요컨대 전략은 분리된 전역을 수행하기 위해 제반계획을 마련하며, 각 전역에서 행해질 전투행위를 통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략의 구성요소를 ①정신적 요소, ②물리적 요소(전투병력, 조직과 편성, 3개 병종의 구성비), ③수학적 요소(작전선의 각도, 집중운동과 원심운동), ④지리적 요소(지형지세의 영향, 지휘소의 지점, 야산․삼림․도로), ⑤통계적 요소(모든 종류의 자재보급 수단)로 제시한다. 


5) [역주] 1812년 9월 7일 나폴레옹의 모스크바원정 도중에 있었던 최대의 격전. 초토화전술을 써가며 후퇴만 계속하던 러시아군은 신임 총사령관 쿠투조프 장군 지휘 하에 모스크바 서쪽 약 90㎞ 지점인 보로디노에서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을 맞아 싸웠다. 양군의 병력은 프랑스군 13만 5000명, 러시아군 12만 6000명이었으며, 쌍방 모두 500∼600문의 대포를 가지고 있었다. 전투는 새벽부터 시작되었고, 맹렬한 포격전에 이어 치열한 백병전까지 벌였는데, 프랑스군 5만 8000명, 러시아군 4만 4000명의 많은 사상자를 냈으나, 저녁까지도 승패를 가리지 못하였다. 쿠투조프는 더 이상의 희생을 피하려고 야음을 틈타서 퇴각하였으므로, 프랑스군은 그대로 전진하여 모스크바에 입성하였다. 이 전투는 표면상 나폴레옹군의 승리로 보이지만, 그 후 러시아군이 우위에 서게 되었다는 점에서 프랑스군의 러시아 원정 실패의 시초가 되었다.


6) [역주] 게릴라는 스페인어로 ‘소규모 전투’를 뜻하는 말로서 나폴레옹이 스페인 원정에서 스페인 사람들의 무장저항을 게릴라라고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 전략적으로 열세한 측이 대중의 지지와 험준한 지리적 조건을 이용하여 스스로 선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특정한 형태로 전술적 공격을 취하는 전쟁과정 중의 한 국면을 이루는 싸움의 한 형태이다. 참고로 빨치산(partisan)이란 parti 즉 도당이라는 뜻이며, 이것은 게릴라전에 종사하는 인간의 집합체 조직을 뜻한다. 1818년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원정 시에 고전하는 자국의 군대를 도와 이에 저항하였던 러시아 농민을 프랑스군이 호칭한 데서 비롯된다. 또한 유격전은 중국의 마오쩌둥이 사용한 용어이며, 1927년 이후의 국공내전 및 대일전쟁을 통하여 중국공산당 무장저항조직의 별동대가 소부대로 유격하면서 틈을 보아 적을 치는 비정규적 방식의 전법을 지칭한 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게릴라, 유격대, 빨치산이란 용어는 유래가 다르지만 지금은 대체로 혼용하여 사용된다.


7) [역주] 1792년 4월 오스트리아와 프러시아가 프랑스 국내의 반혁명파와 손을 잡고 혁명파를 공격해온 이후로 프랑스 군대의 역할과 성격은 변용되었다. 더 넓은 범위의 프랑스국민을 무장시킨다는 방침이 세워졌고, 정규군과 의용군의 통합이 이뤄졌다. 1793년 프랑스 국민공회에서 가결된 법령의 문안은 다음과 같다. “모든 프랑스 국민은 군복무를 위해 징발된다. 젊은 남성은 전선의 전투부대에 참여하고, 기혼남성은 무기를 만들거나 군수품을 수송하며, 여성은 천막이나 의복을 만들거나 병원에서 복무하고, 어린이는 낡은 아마포로 붕대를 만들며, 노인은 광장에 나가서 병사들의 용기를 북돋우고 공화국의 단결과 국왕에 대한 증오를 선전한다.” 이러한 국민총동원령에 따라 징병제(국민개병제․의무병역제)가 도입된다.


8) [역주] 나폴레옹이 프러시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강요한 조약은 1808년 이후 프러시아 육군의 규모를 4만 2천명으로 제한했다. 프랑스의 강제적인 동원해제, 점령과 징발로 인해 프러시아 국민들의 감정은 악화되었고, 1813년 해방전쟁이 시작되고 프러시아 정부가 대대적으로 징병에 돌입하자 국민들은 기꺼이 징병에 응했다. 클라우제비츠는 1812년 러시아로 넘어가서 러시아군 중위계급의 옷을 입고 참전했다가 1813년 프러시아로 돌아오고 3월에 프러시아 군으로 복직한다. 그는 프러시아의 ‘국민총동원’(Landstrum)과 ‘후방군 민병조직’(Landwehr)을 구상했지만, 국왕의 냉대로 인해 그 활동에 직접 기여할 수 없었다.


9) [역주] 엥겔스는 1849년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에서 독일제국헌법을 반혁명세력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독일 라인 지방에서 일어난 바덴-팔쯔 봉기(badisch-pfälzischer Aufstand)에서 빌리히의 부관으로 직접 참여했다(프러시아 포병장교 출신 혁명가인 빌리히는 엥겔스를 ‘대단히 쓸모있는 장교 가운데 하나’였다고 평가했다). 그 해 10월 영국으로 망명하기 전까지 그가 겪은 경험은 그의 혁명적 군사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 [역주」 “우리는 프롤레타리아 발전의 가장 일반적인 단계를 서술함으로써, 다소간 가려져 있는 기존 사회 내부의 내란[내전]이 공개적인 혁명으로 바뀌고,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지를 공개적으로 타도하여 자신의 지배권을 확립하게 되는 데까지 고찰했다” (『마르크스․엥겔스 저작선』, p 64, 거름, 1991.) 


11) [역주] “지금까지의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다. (…) 서로 영원한 적대 관계에 있는 억압자와 피억압자가 때로는 은밀하게, 때로는 공공연하게 끊임없는 투쟁을 벌여 왔다. 그리고 이 투쟁은 항상 사회 전체가 혁명적으로 개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투쟁하는 계급들이 함께 몰락하는 것으로 끝났다” (『마르크스․엥겔스 저작선』, p 52, 거름, 1991.)


12) [역주] 칼 슈미트(1888-1985년)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정치학자이다. 1933년 그는 베를린 대학의 교수가 되었으며, 같은 해에 나치 당에 입당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나치 당원으로 활동했다. 그가 쓴 주권에 대한 저작들은 논쟁적인 저서로 남아 있다. 그에 따르면 주권이 존재하는 장소는 사법적 질서의 안과 바깥 모두이며, 주권은 어떠한 법률로도 제한할 수 없는 권력이고, 주권자란 예외상태에 대해 결정하는 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10-01 1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6-10-02 0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여주신 님 고맙습니다. 지적해주신 부분은 번역자들에게 알려주겠습니다. 아마 역자들도 좋아할 겁니다. 혹시 읽어보시다 더 지적할 게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
 

발리바르 영어 논문 한  편 올립니다. :-)

출처는 http://ciepfc.rhapsodyk.net/article.php3?id_article=81

 

Etienne Balibar : "Sub specie universitatis"

Article paru dans Topoi, Vol. 25, Numbers 1-2, September 2006, special issue "Philosophy : What is to be done ?", edited by Ermanno Bencivenga, Springer Verlag, pp. 3-16
vendredi 8 septembre 2006.
 

I feel greatly honored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list of living philosophers asked by Ermanno Bencivenga to propose a contribution for the volume on "What is to be done ?" in philosophy at this moment of time. It is also a challenge to have to write my contribution in an idiom that has been partially universalized by scientific research, technology, diplomacy,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creasingly also philosophy and cultural criticism, but which is not my own (or my "mother's") tongue. I welcome the challenge, though, not only as a test of my capacity to become integrated in the conversations of the transatlantic academic environment, but as a practical experiment in "ex-appropriation," to borrow the neologism coined by Jacques Derrida, which I hope to show hereafter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issue that I want to discuss. It may be also the case that this estrangement is useful to put oneself in the kind of lunar position required to address a question like this (whose political overtones, possibly ironic, deriving from essays by Chernichevsky and Lenin with the same title, will have been noticed with amusement, excitement, or embarrassment, by many an addressee) : half way between the uninteresting expression of some personal interests and desires, and the ridiculous pretension for an individual to speak on behalf of the "discipline" as such. To me, at least, the linguistic displacement provides the kind of discursive utopia where I can try to explain in which horizon I would locate my work if it were to affect the orientation of philosophy as such.

I start with a play on words that in my opinion is anything but accidental. Philosophy as we practice it ("we," the addressees of Ermanno's interpellation, or more generally "we," the individuals who collectively are given the name philosophers by institutions and public opinion, with more or less agreement among us about the objectives and the standards that such a designation may imply) has become (mainly) an academic discipline, i.e. a discipline learnt and practiced at "the University" (I beg permission to use here the term University as an equivalent of Academia, i.e. in the collective sense that you find in languages like French or German, not only referring to individual institutions, like UCI, or Sorbonne, or JNU, or UNAM …). And, as a tradition that we want to continue and carry further, philosophy has been mainly an area of research where people discuss and clarify the conditions and consequences of universality, as an idea, a value, or a modality of discourse. This is true prima facie even (perhaps above all) in the case of philosophical discourses which lead to the imposing of (more or less severe) limitations on the possibility of knowing, enunciating, realizing, and transmitting the universal, or which adopt a negative attitude with respect to these objectives (i.e., which take an "anti-universalistic" position and see philosophy as an attempt at overcoming, criticizing, de-constructing, etc. universalism, which in turn encourages others to promote or defend it). "University" and "Universality" can be translated into the same Latin word : universitas, as they both involve an idea of totality, of leaving no exception, nothing that is irreducibly outside (universitas rerum, universitas generis humani, universitas studiorum). We know that Universities were created indeed with an ambition (which they have striven to retain) of leaving no significant realm of knowledge and even no interest of mankind out of their course of studies, and it seems that, in Modern times, philosophy as a reflection on universality has been not only associated to this project, but primarily involved in it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We also know that this reciprocity of determinations-however decisive for our own vocation and training-was never without problems, and probably is less than ever so today. Perhaps we should collectively attempt a diagnosis of the present time, concerning this "problematic" character of the situation of philosophy at the strategic point of encounter of universitas as an institution and universitas as a logical (or ontological) category : there are good reasons to believe that it has reached a point of crisis, where it can no longer be taken for granted, or natural, or inevitable, or irreversible. Universities might well in the future (and already in the present) no longer need philosophy as a discipline "specializing in generalities" (Comte's celebrated but also ambivalent formula) in order to represent their systematic organization. This is not enough to make it a philosophical problem, but it could be a reason for philosophers who are also academics to reflect about the features and origins of this crisis (if there is one, which I believe).

But philosophy was not always an academic discipline, and perhaps has never entirely become such-which might suggest (albeit in a loose way, by simply following a broad idea that what is contingent can change) that it will not always remain an academic discipline, or not to the same extent. What would become then of its "universalistic" orientation ? It can be useful here to look at history. Few of the great names in our philosophical canon before the 19th century worked in Universities and this was not only because they were not "offered positions." To be sure, this is not a simple problem, not only because there were major exceptions, particularly during the Middle Ages, but because in other times there existed "schools" and "communities" of different kinds of (and for) philosophers which played a role in the emergence of the idea of a "university". This means nevertheless that some of the most important definitions and models of "universality," which remain inspiring for us, were first elaborated not only apart from the university, but against its methods and goals : this was the case for the rationalist idea of mathèsis universalis as well as for its empiricist counterpart ("natural history," in the broad classical sense). More recently we have seen discourses which renewed the debate about the meaning or content of universality being elaborated outside, or on the margins, of Academia before they were appropriated by it (think of Kierkegaard, Emerson, Marx, Nietzsche, Tolstoy, Benjamin, even Wittgenstein). There are indeed too many examples go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draw the conclusion that philosophy as such is created outside and then developed, commented, historicized, axiomatized and transmitted within the University (as is mainly the case for literature and the arts, but also to some extent for law and technology), but on the long historical run there are enough observable antinomies and shifts to warn us against the idea that the location of the reflection on the universal within the institution named after it, is unproblematic or immutable. The main issue, as we know, and it is already no longer a pure "sociological" one, concerns the styles (or "language games") associated with specific locations (or, better, specific practices of thinking, writing, arguing, communicating within institutions). This is not to say that academic institutions impose one single style or method to philosophical practice (though the tendency to "universalize" certain methods in a normative manner has been often associated with foundational and epistemological claims within the University). And it is also not to say that the styles that have been progressively ruled out or marginalized by the institution (the philosophical poem or novel, the dialogue, the meditation, the demonstration ordine geometrico, the tract or manifesto) will necessarily return in a "post-academic" age of philosophy. But it is certainly a reason to incorporate a discussion about the norms, standards, and discursive models that philosophy owes to its academic institutional location within any critical reflection on its present and future. A reflection all the more difficult because it cannot take the form of prophecy or prescription.

What makes such a reflection at the same time more urgent and more confused is also the fact that it is frequently reaching us through the prism of considerations on the geohistorical (therefore geopolitical, geocultural, ultimately geophilosophical) statu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sides of universitas. They are indeed a counter-effect of the progressive relativization of the "culture" which has, if not invented, at least refined and widespread the university-form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conquered the world in the name of "universal" values and techniques, namely the West (whose "boundaries" as we know are not fixed, and above all are debatable). That philosophy should be a typically "Western" discipline or project, and therefore involve an intrinsic contradiction between its very particular ("local") mode of thought and its universal, "global," ambitions (particularly to provide a framework and a methodology for the confrontation of cultures), is probably much too simple a way of asking the question, but it also points to a sharp conflict that can no longer be ignored. And it seems to me that the conflict can be overcome neither through the repetition, however sophisticated, of the Eurocentric thesis that governed the classical philosophies of history (clearly a secularized version of the theological scheme of the "election"), namely the idea that history miraculously or necessarily produced in a certain site or topos the singular conditions for the emergence (enunciation, recognition, institution) of the Universal as such ; nor merely through the self-critical move which would ask us to incorporate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istic illusion" within the elaboration of the category of the universal itself, particularly in the form of an extended knowledge of the hegemonic functions that it has assumed (which could not remain without effects on its philosophical elaborations) and the extent of the repressions (i.e. arbitrary choices, violent discards, restrictive norms of "rationality") that it required (and which could pave the way for more or less devastating returns of the repressed…). Rather, I tend to believe that what is required is a form of decentred critique directly tackling the main paradox of "real universality" as a process resulting from globalization which disrupts "universalism," as it was conceived in Western history and internalized by philosophers of all schools (transcendental, dialectical, positivist, analytical …), namely the fact that certain "Western" institutions (the University being one of them, as also the Market, Technology, Bureaucracy) are more and more generally adopted while their original narrative of legitimacy appears to be less and less dominant. But such a critique clearly would become possible only in the form of a confrontation of multiple heterogeneous viewpoints. It would thus be itself conflictual or, if not, would change nothing in the philosophical "mirror" of universitas. The "language" in which it could arise remains unknown, or rather it is likely to emerge only within the conflictual confrontation itself.

Finally, what seems to complicate any reflection on the topos of philosophy is the fact that its project of developing a universal discourse on the universal-what I will take the liberty of calling here in a comprehensive manner : to speak the universal-within the "universalistic" institution par excellence (the University or the Academia) was never unchallenged. Not only had philosophy "rivals," but it was through the confrontation with its rivals that it gained the certainty that it spoke the universal in its proper, autonomous, "philosophical" way. We recognize here the problem that Kant formulated in his Streit der Fakultäten, around the time in which our disciplines were acquiring their modern status (1798). Philosophy is presented by Kant as a "junior" discipline, which finds itself in competition with theology, law, and medicine for the definition of the "ends" or ultimate questions of mankind (whose list was given in the First Critique : What to know ? What to do ? What to hope or expect ?). But since according to him it is the only discipline which derives its discussion of such ends from purely rational principles (as distinct from revelation, authority, or empirical practice), it is philosophy that will assign their limits of validity to the ends offered by the other "senior" faculties (the salvation of the soul, the rights and duties of the citizen, the healthy life of the individual), by developing within itself a "region" where these ends are critically considered in a universally acceptable manner. As a consequence, philosophy will not stand above the other disciplines in the sovereign way in which theology used to "reign" in medieval universities, but it will indirectly determine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boundaries (which is crucial also for their public recognition). More recently, we have to acknowledge, the "conflict of the faculties" has not ended, but taken other forms, where the "antagonistic" position with respect to philosophy has been occupied by various disciplines, from mathematics and logic to linguistics, from history to economics, sociology and anthropology, from physics and biology to psychology. Sometimes it would seem that philosophy keeps its singular place only because other paradigms of knowledge combat among themselves to set the standards of "essential science." What makes these conflicts so difficult to solve but also so significant for the renewed interest in the problem of universality that I am trying to account for (and the re-definition of its content) is the fact that the boundaries are never obvious (but neither were they in the case of theology, law, or medicine in the early modern era). Or it is never possible to decide uncontroversially whether philosophy is the discipline that (in a transcendental manner) reflects on the principles, the semantics, the foundational problems, the practical destination of other disciplines, etc., or it is any one of these universal forms of knowledge which provides philosophy with questions and reasoning models, or uses it as an instrument for its own conceptual clarification. In other words, from the point of view of philosophy, whether its essence is in se or in alio. Which in both cases may allow us to understand its specific (and privileged) relationship to the enunciation of universality, but with totally different styles and contents. Again, if we look at the recent past, we can agree that Heidegger, Sartre and Bertrand Russell, or Freud, Weber and Quine were all philosophers, but clearly not in the same immediate sense (or only a very trivial one : they sought and wrote "abstractions"). I see no reason to believe that such conflicts or confrontations between different discourses sub specie universitatis or different "enunciations of the universal" represented by disciplinary models, where philosophy is both judge and jury, will cease to influence its own conception. But we cannot ensure that their discussion will take place within the limits of the University, or that they will be settled in the form of an articulation (and in practice a hierarchy) of academic disciplines.

I will now jump to a different way of relating the question "what is to be done ?" (in philosophy) to the issue of speaking the universal (how to speak it ? where to speak it ?). This is because, basically, I don't believe that it can suffice for philosophy to examine how it came to claim for itself the function of speaking the universal, and was institutionally legitimized in this function (albeit never without problems), or to speculate on the contingent elements involved in this situation and their possible reversal or "ending." What is most challenging for philosophy in this situation, it seems to me, is the self-legitimizing trope that it displays. The conceptual difficulties of this trope, but also its productivity, its openness to continuous developments and realizations, call for a new philosophical examination, in order for philosophy to prepare itself for other intellectual adventures, to already transform itself in order to be able to continue in different epistemolog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 can imagine different strategies to elaborate in a critical manner the paradoxes involved in the enunciation of the universal, which indeed have root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self. I will try to give a summary account of three of them, which I find in some sense indispensable. Probably they are not the only ones, but I select them here because of their sharply different orientations.

The first strategy is a Spinozistic-Wittgensteinian one. To be sure Spinoza and Wittgenstein are widely different thinkers (some attempts, though, have been made at "reading them together," not only on technical points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truth with singular propositional contents, but from a more general perspective, particularly concerning their rejection of "methodological" and "metalinguistic" considerations in philosophy, their common idea that there can exist no "super-concepts"). But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the universal, they seem to me to have in common a typically dualistic way of understanding it, which means that they distinguish between a "theoretical universalism" and a "practical universalism," whose languages are in a sense radically incompatible. One of these speaks a language of explanation and representation (or depiction), the other speaks a language of norms, effects, and uses. It is the task of philosophy, no doubt, to connect them. But since in this conception there is nothing like an external (ideal, or transcendental) point of view from which the difference could be reduced (or, which amounts to the same, that could appear as a distribution of complementary "domains," as is the case in Kant with "nature" and "liberty," for example), thus philosophy becomes an exercise in describing or inventing pathways which lead from one "place" (topos) to another one that is not really separated (i.e. does not belong to a different "world") but is nevertheless qualitatively distinct. Or, in other words, it becomes an exercise in understanding why we always inhabit the same ("immanent") world in two contradictory manners which are both universalistic.

What gives this analogy additional relevance (and makes it intellectually exciting) is the fact that both Spinoza and Wittgenstein have been led by the vicissitudes of their philosophical lives to writing separate books, each of which with a different style and intention displays one form of universality from its own point of view (or in its own language), therefore proving unable to give an idea of the other, except in the aporetic form of an internal limit, or a point of escape, whose meaning can be only described in a negative manner. To be sure, this is an unpleasant situation, especially for philosophers who want to be systematic, and we should not be surprised that they tried to resolve or dissolve it by setting up mediations (by "translating" one problem into the language of the other : in the case of Spinoza, it was apparently the problem of practice that was ideally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ory, in the case of Wittgenstein ultimately the problem of theory into the language of practice, but this was always only a first step). Rather than discussing the mediations (i.e. the "systems"), however, I want to draw attention to the aporia itself, which is, I think, the most decisive aspect here.

Spinoza wrote the Ethics, which is basically the construction of an intellectual form of lif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ausal relations existing among natural individuals (including humans themselves), in secret, and (albeit anonymously) he published the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which is a historical and philological discussion of the possibility to liberate the political community from its dependence on a specific form of religious faith, and ground it on free contributions of the various creeds to the practical recognition of the common good or utility. Wittgenstein published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which is an attempt at defining the "logic" or "language " (Sprache), which is common to all descriptions (of which the most precise are the scientific descriptions) of "the world" as the totality of "facts" (Tatsachen), or really existing connections among things ; and he privately wrote (or worked o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which the object of reflection is no longer the logical form identically present in the connection of empirical states of affairs and in their linguistic image or depiction (an idea that bears striking analogies with what has been called the parallelism of things and ideas in Spinoza), but the infinite variety of language games in which, following tradition but also inventing new rules derived from practice, "public collectives" (i.e. in a very broad sense communities, however lasting or transitory, constituted around the possibility of sharing some meanings or interpretations) teach themselves how to give life an expression, or transform experiences into words.

The theoretical universal in Spinoza is called Deus sive Natura, and it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infinite chain of causal (or "productive") relations among things (including the ideas themselves), and the impossibility of contingency (see Ethics, I, prop. 28-29). In Wittgenstein it is called the "general form of the truth function" (Tractatus, Prop. 6 sqq.), and it is displayed ("shown") in terms of the complete system of operations which make the truth of a proposition, or its correspondence with reality, depend on the truth of others with greater or lesser probability (in the limit-case : certainty). The practical universal in Spinoza is called "free state" or "free republic," and it is defined as the possibility that heterogeneous (even incompatible) doctrines or beliefs (rooted in different ways of imagining the situation of humans in the world and assigning their purposes) subjectively contribute to reaching a common goal, or provide subjects with singular motives for their reciprocal utility. In Wittgenstein it emerges in a more virtual manner in the way in which the "language of everyday life" (which is nothing else than the sum total of all uses) can practically work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for the establishment of "conventions," in particular to regulate heterogeneous, or even conflictual, forms of life.

Conceptually, we notice that the two universalities are following opposite schemes : one is following the scheme of the ideal unification of the multiplicity of experiences (even if it is in the form of an open, infinite or expanding unity, such as the one designated by the concept of nature in Spinoza), whereas the other is following the scheme of the practical equivalence established by convention between a multiplicity of convictions or beliefs, while testifying by the same token to its irreducibility to any simple or univocal representation, and which can be conceived only as practical itself (i.e. a contingent, fragile or reversible result of the joint actions that it makes possible, a feedback effect which does not deprive it from its reality, but rather makes it a dynamic, self-sustaining process).

Finally we notice that the pathway from one type of universality to the other, in Spinoza as in Wittgenstein, remains paradoxical and in fact can be described only in terms of negative presentations of one of them within the language of the other. This involves a profound sceptical element, no less real in Spinoza than in Wittgenstein although probably less often recognized (since it was Wittgenstein who explicitly reversed his first "dogmatism" into a seeming "relativism", while Spinoza in the TTP, for those who had been informed of his "esoteric" philosophy, was supposed to have "spoken for the multitude" in its own inadequate language). And, to no surprise, this is also where the greater difficulties concern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or the agent emerge. It is said (perhaps ironically) to constitute a "mystical" element in Wittgenstein's Tractatus becaus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adequate image" of the material world it can only feature as an unspeakable correlate of the totality of the logical language. But this mystical element is also practical, it coincides with the "gesture" of showing (zeigen) the logical form, therefore it has an equivalent in the analysis of "rules" and "games" i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at is not mystical at all : on the contrary, it belongs to the everyday experience of learning (since the operations of logic form a language-game themselves, they have to be learnt, they belong to the realm of custom or culture, which is not to say that their content is itself conventional or flexible). In Spinoza, I would suggest that the problem becomes unavoidable at the end of the Ethics, when the figure of the "wise man" (sapiens) is framed, as a thinking capacity which, having completed the progression across the three kinds of knowledge, is now free from the illusion of freewill and able to refer each singularity (including itself, as body and mind) to a causal necessity. But in which world does such a wise man live or exist ? Since Spinoza does not believe in "other worlds," it cannot be outside this world, but nor can it be in the social world where trans-individual relations are based on language and imagination. Unless we suppose (an oblique solution suggested by the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that the wise man is able to represent his science or wisdom with its anthropological conclusions in the form of a vera religio, a "true religion" or a "universal faith" where Natura is "translated" again as Deus (an operation that Spinoza, like many of his contemporaries, believed to be identical with the isolation of the social and moral principles common to all historical monotheisms). This is a hypothesis rather than a demonstration, and in my opinion it leads to insisting on the unsurpassable equivocity of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But isn't this equivocity what constitutes the great interest and strength of such constructions (which have other replicas in philosophy : Spinoza and Wittgentein, whom I singled out for clarity of exposition, both clearly derive from a certain averroist tradition of "double truth" theories) ? Even their sceptical element is important here. They do not tell us to abandon the idea (and the ideal) of universality-much on the contrary, they show that it can be vindicated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But they deprive us of the illusion that we could derive "universal forms of life" from th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world, and indeed from any doctrine or theory, or that the rules of equivalence among "subjectivities" (therefore coexistence, shared action, production of a "common good," practical resolution of conflicts) could be anything other than conventions or institutions. But this also means that universal institutions, at least as a tendency, are a meaningful political project. This can prove a useful therapeutics against apocalyptic convictions.

I want now to briefly describe a totally different strategy, which also aims at demonstrating that the paradoxes of universality have an intrinsic character, although locating them at a different level, and pushing us towards very different conclusions. I will call it the Hegelian-Marxist strategy, because it was elaborated by Hegel (mainly if not exclusively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since on these issues his later works speak a very different language) in terms of "consciousness" (and figures of consciousness) and "antagonism" (or conflictual recognition), and was later reformulated by Marx in terms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omination." Each of these terminologies allows it to emphasize some of the implications of this problematic (which belongs originally to the realm of "German Idealism," with its dramatic political and theoretical reversals, but has a much wider relevance, and brings to the fore some of the deepest problems of the dialectical tradition in general). To put it in its simplest form, it seems to me that the underlying idea is the following : there can be no universality in the realm of ideas or representations (which here also includes actions and practices, since there can be no human or historical practices without a representation, not only "for others" but "for themselves," für sich) if not in the form of a domination over other ideas and representations (which can be thought as being suppressed or made minoritarian, pushed into the subaltern or excluded condition of the "particular," not to say the "tribal"). Therefore, universality and hegemony become equivalents, and conversely no ideology (system of representations, figure of consciousness) can become "universal" unless it becomes also dominant, more precisely works as a process of domination, a "dominant ideology" (herrschende Ideologie). This is indeed a very critical theory, which has been resented as such (and for that reason violently objected to, particularly on the side of "dogmatic" philosophers and thinkers who advocate absolute universalistic discourses, be they religious or secular, moral or scientific). It has proved difficult to handle for its own inventors (especially Marx and his followers, who struggled desperately against the idea, perhaps the evidence, that their own discourse could become universal, as the language of social emancipation, only at the cost of becoming itself a form of "domination"). However it is not only this critical (and self-critical) effect that interests me here, it is above all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argument itself.

Let me start with what we might call "Hegel's Paradox" concerning the Universal : the idea illustrated all along the Phenomenology that, by an intrinsic limitation or rather internal contradiction, it is impossible to speak the universal without transforming it immediately into a particular discourse (or representation). The universal must be actually spoken (or enunciated), even if this is only in an internal or self-referential dialogue, it is by nature a discourse or a moment in the development of discourse, and it has to be spoken by someone (i.e., some one). Hegel, as we know, is a resolute adversary of the idea that there could be "unspeakable" or "inexpressible" ideas and experiences (what the first chapter of the Phenomenology mocks as the myth of das Unaussprechliche) : which is not to say that everything can be said at once, or in the same discourse by any one. On the contrary there is a formal constraint-inherent in language-that makes it impossible to express universality without subjecting it to the determinations of time and place (making it the expre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is time and place), but above all enclosing it within the horizon of a certain viewpoint inherent in this situation. A historicist reading of this thesis will recall Hegel's own later formula (in the Philosophy of History) that "no one can jump beyond his time" (and probably also not beyond his environment : but for Hegel environments are meaningful only inasmuch as they represent successive "sit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tgeist), as a "factual" proposition which reflects the finitude of historic individuality. But the originality of Hegel is to ground it at a deeper ontological level, by describing it as a consequence of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in other terms by thinking universality as a category of conscious representation as such (just the opposite of Spinoza or Wittgenstein, let us note in passing). "Consciousness" as it is described "phenomenologically" by Hegel, starting with perception (which can be attributed to an individual or an isolated consciousness) and ending with the collective, historical figures of spirit (today we would rather say culture, with its institut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structuring the constitution of communities), is this thinking capacity (and also immediately, in Hegel's description, this speaking capacity) that builds totalities of meaning and confers upon them certainty (Gewissheit) and truth (Wahrheit), in short universality (Allgemeinheit). But it can do so only from a specific point of view, particularly because it makes it possible for a plurality of individuals to share the same subjectivity (or for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subjects, the "I" and the "We," to exchange their places : "I that is We, and We that is I"). As a consequence, what consciousness in each of its figures aims at is not "the world" as such, but "its world," "a world," or a common worldview, whose coherence comes from its intention of projecting over the totality of experience some principle of certainty or truth (which can be epistemological, moral, aesthetic, religious, juridical …), which in fact is exclusively valid "for itself." And the general idea that you cannot speak sub specie universitatis without immediately particularizing the universal that you enunciate (or transform it into its logical opposite), comes from the fact that every discourse or enunciation of the universal is subjected to the law of conscious representation, or there is no "universality" if not for a consciousness in this broad sense. And there is no consciousness without its intrinsic limits, or conditions of possibility.

It is not difficult to read here a generalization of Kant's notion of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as a priori form of organization of the experience, but also a ruthless critique of its pretension to stand above experience itself. However the argument cannot become identified with a "relativism." Consciousness and the language it speaks (for example the moral language of responsibility and duty, or the scientific language of causality, or the juridical language of liberty and equality) organize experience from inside (from within its own "history"), therefore they must fuse (or confuse) the opposites,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ere is no way of escaping this constraint, except the understanding of the necessary transition from one figure of consciousness to another, or the principle of historicity that is immanent in their limitation (which is not a new figure of consciousness, or another representation of the universal, but a self-reflection or a naming of this transition).

It is not difficult either to understand how this description of consciousness and its paradoxical relationship to language-at the same time particularizing and universalizing representations-could give rise to the Marxist notion of ideology. To be sure, the Hegelian "figures of consciousness" cover a wider range of experiences and meanings (not only social discourses, or discourse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certain historically dominant forms of society and politics, but other types of worldviews : the mechanistic "laws of nature," the religious "revelations," etc.), but the Marxian interpretation of the communitarian dimension of representations (or their mediating function between "I" and "We," individual and collective subjectivities) as the expression of historical class struggles, draws our attention to the essentially conflictual nature of universality in its Hegelian determination,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In fact what Hegel wants to describe is not simply the fact that to speak the universal forces the speaker(s) to give it a particular figure, but that it means asserting a certain universality against another one, thus depriving the latter from its own universality, effectively denying that it can itself be universal. Not only does the universal represent a paradoxical unity of logical opposites, but it exists only in the form of conflicting universalities, where the terms of the conflict (which can be also understood as embodying antagonistic interests, referred by Hegel to a broad concept of life and spirit, and by Marx to a more specific concept of social production) struggle to assert their domination.

But what does it mean to assert one's domination ? It means that one discourse "relativizes" the other, or sets the standards, defines the norms after which the other can be granted a limited value and function, qualified or disqualified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hich in some cases will appear reversible, as is notoriously the case in the Master/Slave dialectic, where in the end the worldview of the Slave, based on the universal value of Labor, will overturn the primacy of the Master's worldview, based on the universal value of Sacrifice, reversing the negativity into positivity and opening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culture. But above all it means that a dominant discourse is one that reflects the contradiction with its "other" within itself, and makes this reflection the intrinsic motive of its own development (again an idea which is not only a way of making historical judgments, but refers to an ontological structure of consciousness). Some famous passages in Hegel's Phenomenology give a striking illustration of this principle. Perhaps the most well-known (not by chance) is the dialectic of "culture" (Bildung) itself in which he depicts the conflict of two great "universalities," the universality of Faith (in the theological sense) and the universality of secular Reason (in the form given to it by the Enlightenment : die Aufklärung), which is presented as a splitting of the notion of intellection (or "pure insight," Einsicht), where Reason in order to appear universal to itself represents Faith as "superstition," while adopting for itself its other's notion of certainty or belief (opposing the universal character of rational beliefs to the particularity of superstitious beliefs, which also means : opposing the self-critical character of Reason to the a-critical character of Faith). But there are other examples, equally striking, such as the dialectic of the Two Laws (or the two conflicting absolutes, human morality and civic legality), in the history of the Greek City as interpreted by the tragedy of Antigone, or the dialectic of Christianity as a religion of the Death of God, where the principle of "picture-thinking" (Vorstellung) coming from the "natural religions" (polytheism, where the divine is represented in individualized figures) is realized in the Christian idea of incarnation only to become spiritually negated or sublimated. Analogous Marxian examples could be retrieved in the Communist Manifesto, where it is a question of "socialist and communist doctrines" as imaginary reversals of private property from within the dominant (liberal) ideology itself, an idea which will return in Capital in the form of the "negation of capitalist property within the limits of capitalism," a sort of socialism within capitalism as it were.

Again, there is a sharp critical element in these philosophical constructions. I don't read them, however, as purely negative (an interpretation which pushed to the extreme gives us the idea of a "negative dialectics", where the universal only features as the "fetish," the "abstraction," or the "denial of the contradiction," which would prevent us from thinking in terms of concrete singularities), but rather as conceptual constructions of the universal, which show its internal tensions or conflicts. And this is what leads me to adding a final consideration. In Hegelian-Marxian terms (or in terms of this Marx who continues and displaces the phenomenological moment in Hegel) the conflictual character of universality is not a lack, or failure of universal discourses, but rather a criterion which allows us to identify those which truly deserve this name, by displaying their capacity of representing their "other" (or their adversary, their "enemy" : Hegel describes "superstition," as it is viewed by the Enlightenment, as its Feind) within themselves, as the negative element which they need for their own development, or to become self-conscious. In this sense, not only there is always conflict where there is universality (or a self-assertion of the universal), but the conflict is always asymmetrical, uneven, with a dominant, repressing, and a dominated, repressed, element.

But here diverging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which clearly do not lead to the same practical conclusions. I will formulate them in quasi-tactical terms for the sake of simplicity (which seems also justified by the fact that most examples in Hegel as in Marx refer to historical or transhistorical conflicts between antagonistic worldviews) : if one discourse of the universal dominates another one (call it consciousness to emphasize its capacity to shape subjectivities, or ideology to emphasize its social function), this can mean that the dominated discourse is forced to retreat, to express its difference, or its resistance, within the "logic," the categories, the rhetoric, of the dominant discourse, i.e. becomes "alienated". As a consequence any opposition or resistance will only reinforce the dominant discourse, which is a very effective manner of understanding the equivalence between "hegemony" and "universality." It is not that the universal is not "situated," has no real exteriority. However this exteriority remains inaccessible for the dominated discourse (as the Ding an sich was inaccessible for the Kantian consciousness), as if there were no real otherness. But this interpretation can be reversed : one can understand rather that what "universalizes" a given worldview is only its having to internalize resistances, oppositions, and objections. One can even go one step further and suggest that it is only the "negative element" secretly at work within a dominant ideology, which reflects the irreducible presence of an other (its "ironic" element, as Hegel puts it in the case of Antigone and the Greek city, or Le Neveu de Rameau and bourgeois morality), that provides a discourse with a universal power to shape our experiences of the world, beyond the limited consciousness of its inventors and speakers. In the end, we will get to the hypothesis that what makes a "dominant ideology" is not a generalization of the values or opinions of the "dominant," but rather of the "dominated," subjects. This is not an easy idea, but it is certainly one that haunts the interpretations of the Master-Slave dialectic, and without which Marxian (and post-Marxian) discussions concerning the universalistic character of the "bourgeois ideology" could not make sense,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the persisting equivocity of the notion of "human rights." The idea has been long defended that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erives not only from their proclamation, but from the fact that all resistances and objections against the dominant order (call it capitalism or liberalism, if you will) must become formulated themselves in terms of vindication or extension of abstract human rights in order to acquire legitimacy. But it is at least equally sustainable that the dominant ideology basically invokes human rights (or humanism, admittedly the typical form of secular universalism in the moral, juridical, and political field) because this is the general language in which insurrections and emancipatory struggles aiming at equality and freedom, and challenging the ruling order of privileges, are carried on. Which would mean that the key to the understanding of universality as hegemony resides in a quasi-lacanian trope : "dominants receive their language/consciousness from the dominated in inverted form." This is indeed an interesting way to retrieve the paradoxical nature of the enunciation sub specie universitatis : the "place" where the universal as discourse is located, and which particularizes it, is never directly "its" place, it can be only the place of its internal other, or where its internal other can come.

However crucial these two ambitious strategies for the enunciation of the universal might be considered-the one based on a scheme of Double Truth (theoretical univocity vs practical equivalence), and the one based on the conflictual relationship between a Sovereign discourse and its internal Other-they don't seem to me to exhaust our problem. In view of many current debates about the heterogeneity of cultures, the possibilities that its recognition opens, but also the obstacles that it raises before a universal institution of the universal, it seems now necessary to think of the paradoxes of its construction not only in terms of difference or conflict, but in terms of translation.

The debate (or perhaps we should say rather the new debate) on the nature and the effects of translation has been running for several decades now, mainly in the realm of "cultural studies." But nobody doubts that it has a philosophical dimension (in which in some sense the orientations and future status of philosophy are at stake). Conceptions of translation with different philosophical backgrounds (logical, structuralist, hermeneutic) are also constantly involved in debates about universalism and communitarianism or multi-culturalism, which shows that theories and concepts immediately acquire a political meaning. I want to briefly sketch the way in which I think that another strategy to "speak the universal" is involved here (a divided one admittedly, whose intentions are at stake in its own development), and which traditional metaphysical issue it should lead us to revisit (namely the problem of individuality and individuation). It will have to be, of course, considerably simplified.

Discussions about translation often begin with recalling a "paradox" which has become kind of a lieu commun, namely that translating is impossible (or an impossible task) while nevertheless performed everyday on a large scale, i.e. real. This indeed becomes compelling only inasmuch as the "ideal" notion of translation on which it relies is shown to be intrinsic (as norm, or instrument, or obstacle) to the activity of translation itself. What is said to be impossible is a perfect translation in which interlocutors or readers belonging to separated linguistic universes (or using autonomous languages to understand others and themselves, or to read texts) would nevertheless attach the same meanings (and possibly also the same poetic values, the same images and affects) to different words and phrases. While most theorists agree that such a correspondence (or equivalence of languages) is never reached in practice, except perhaps in very limited and highly artificial cases (where the notion of a language only refers to a specialized code), they may nevertheless refer to it as an ideal type.

This is clearly the case in W.V.O. Quine's celebrated doctrine of the "indeterminacy of radical translation", developed in his essay "Meaning and translation," where the initial thought experiment (a scene supposedly taking place before any previous translation, in the moment of a "first encounter" between a missionary, or an ethnographer, and an indigenous native who ignore each other's language, and have no mediator or interpreter at hand), demonstrates that actual processes of translations, if they take place (and they certainly do take place), never provide the certainty that words refer to the same objects or that sentences convey the same meaning. Such a conviction can only derive from shared learning processes and - at a higher level, through "semantic ascent" - from the fact that different languages become used as different interpretations or non-isomorphic models of a single axiomatics. For Quine, languages are like "theories" with which speakers explain the physical experiences, which can be tested only locally, or partially, therefore have only a relative truth. Needless to say, there is no question here of defending a positive concept of semantic universality, not even in the logical-scientific domain, a critique which goes along with a more general critique of synonymy and meaning. Universality is the paradise lost of the human mind.

Interestingly, the single essay perhaps equally influential in contemporary philosophical debates about translation, Walter Benjamin's "The Task of the Translator"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albeit coming from a totally different tradition (not logical, but philological and hermeneutic, tracing back to the romantic ideas on language developed by Schlegel and Humboldt) and aiming at an almost opposite conception of translation (not the equivalent expression of everyday experiences, but the transference of poetic forms and aesthetic values from one written language into another), seems to involve certain common prerequisites. Benjamin would conside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Mitteilung) - what for Quine is ultimately impossible - as fairly possible inasmuch as a "fact of the matter" is involved, but rather inessential to the art of translation. What this (literary) art really concerns is the continuation of the aesthetic effect produced by a linguistic creation from within an original language into another one, what he describes as a living development of a "seed" (Samen), or a potentiality of migration/metamorphosis always already given in (great) works of art. Poetic writing is effective not only inasmuch as it has transformed the original language whose expressive qualities it has displayed and complemented, but also inasmuch as it has the capacity to recreate other languages, by becoming transferred (übertragen) and translated (übersetzen). The "intention" thus manifested by translation is that of reaching a "pure language" (eine reine Sprache) where there would not exist an equivalence of codes but a complementarity, better said a "harmony" or "affinity" (Verwandschaft) with respect to their expressive power. It therefore does not designate a substitutability but a community, or common achievement of languages, grounded in their irreducible diversity. Such an achievement however (to which Benjamin ascribes a "messianic" function of ending history, although it arises from purely historical practices) remains inaccessible, it works as a "regulatory idea" within each effort of translation.

Nothing can appear wider apart than a pure cognitive and a pure poetic concept of translation. However there is a common idea underlying Quine's and Benjamin's reasonings : that of a language that is (or must be considered) initially as closed totality, both in the sense of displaying an internal relationship among its elements and of being associated with a community of speakers (and listeners, writers, readers) "belonging" to it or to which it would "belong," whether empirically construct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shared learning (in a behaviorist mode), therefore appearing as conventional, or supposed to pre-exist as a "living" collective individual, with its own dynamic of transformations, which would ascribe to individual subjects their horizons of meaning (in the Humboldtian tradition). To be sure, this common prerequisite was also basically accepted by 19th and 20th century linguists (including structuralists), who made it the starting point for their enumerations, typologies, and systemic analyses of languages (each language, or in this sense, idiom, having its proper name, such as "English," or "Arabic," or "Mandarin Chinese," or "Yiddish," its specific rules or grammar, its words or expressions, its history, etc.), and, as a consequence, being the given totality from which the problem of translation arises. There is no question of deny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representation, both in terms of transcendental (or quasi-transcendental) constitution of our experience (with the idea of a linguistic totality which forms the symbolic bond of a community, there comes also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riteria of mutual comprehension and incomprehension, recognition and misrecognition, the drawing of linguistic borderlines), and in terms of institutional norms and practices (which are not only exclusionary, since they precisely made the translation, the "interpreting," necessary and in fact essential practices in our societies). It would be simply grotesque to assert that it has entirely lost its relevance in today's "post-modern" globalized world. But it has also become impossible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amount of facts concerning languages, translations, and cultures, that highlight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linguistic-communitarian doublet, or contradict its dominant representation. I don't think either that these facts deprive the grand philosophical problematics of Quine or Benjamin of every interest, much the contrary. But they might lead us to assigning their limits, and reversing our use of such regulatory ideas as "radical translation" or "pure language", in order to see them not so much as ideals towards which an enunciation of the universal as translation is hopelessly striving, than internal obstacles with which it is struggling.

To put it in telegraphic manner,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s totality or system and community as horizon of mutual understanding (or inter-comprehension, recognition through dialogue) illustrates the fact that it is always a political reality, however general and abstract the notion we put under this category. For several centuries (albeit never without exceptions and resistances) it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dominant representation and institution of languages as national (or quasi-national : "ethnic", "civilizational") languages, and communities as peoples (present, past, or future), with or without a sovereign State. This fact, when it is taken as an absolute a-historical, or trans-historical, necessity, tends to reverse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and the normative character of national languages, blurring the fact that many languages which have become "autonomous" entities are actually the result of (institutional) practices of translation (including the scientific and literary, but also pedagogic, legal, commercial translations, etc.), and not the reverse. And it tends to create the illusion that a process, or an effort of translation, starts with a given language (even if to complete or transform it). We should rather admit that a situation in which speakers would "encounter" an absolutely unknown idiom have long disappeared, if they ever existed, and that the Benjaminian "affinity of languages," in which they are "not strangers to one another," is in a sense a fait accompli -except that it is not a harmony but an accumulation of conflicts, if not exactly a war of all against all. We live in a world of ubiquitous and competing translations, "bad" and "good", "authorized" and "unauthorized", and therefore also a world in which some languages are continuously incorporated into others (rather similar to what Bakhtin called heteroglossia). A worldofpermanenttransgressions of the established linguistic borderlines, which produce the naturalization of speakers as well as the denaturation of idioms. Just think of which "linguistic rules" and which "communities" the name English today covers (to the dismay, it must be said, of some of its speakers and writers). Indeed what characterizes this world is not equality or full recognition of the Other, even if (as I argued elsewhere) it cannot go without a certain form of antagonistic reciprocity. It is incompleteness or even suppression (of what is deemed "untranslatable" or "unworthy of translation") and one-sidedness (some languages translate or mistranslate others, and impose themselves as "translating languages", but also develop themselves by incorporating a wealth of translations, while others remain subaltern, translated or untranslated, depending on relationships of power and knowledge), that defines the historicity of the network of translations where languages and communities (therefore cultures) become politically coupled.

To speak the universal as translation therefore is not simply to advocate translating (or translating more), but it is to translate again, otherwise and elsewhere, for other groups and individuals who will thus gain access to the labor of translation. And if translating practices have produced (and keep producing) political communities, to reflect on the possible transformations of these practices is eminently a meta-political, a philosophical task (in the sense of returning to the elements, the very stoicheia of politics, which allow us to understand its alternatives, its powers,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Allow me to add three final indications on this point, which indeed would deserve fuller developments.

First, there has been in the recent years a tendency to broaden and shift the use of the category of translation, particularly in the work of authors belonging to the "post-colonial" studies (such names as Said, Babha, Spivak, come to mind, and also Butler from a mor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from the idea of translating languages (or texts in given languages) to the idea of translating "cultures." In a sense, this is only another episode in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s of the idea of translation, which the philology and the semantics of Western modernity had restricted to the construction of dictionaries, grammars, and the establishment of parallel libraries of written texts or more recently the dubbing of soundtracks in films, and which becomes again a generalized circulation of informations and creations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ties of sense. But it is also a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linguistic inequalities hindering communication and the sharing of languages are rooted in the collective history of the speakers who enter the "public sphere" with their traditions and sensibilities, their ascribed places and statuses, that they are not only speaking but also spoken (and written) subjects. As we know this does not lead necessarily to emphasizing the fixity and exclusivity of traditional cultures demanding their political rehabilitation, rather it leads to associating (politically, aesthetically) the activity of generalized translation with experiences of resistance, hybridity, divided identities, dissemination of texts, performative reversals of names. In my opinion all this only makes sense if "cultures" are themselves conceived as open, evolutionary systems of phrases, texts, speeches, dialogues, rather than monadic "worldviews", and if the task of the multiple translators (of which there are always more than officially acknowledged, but less than necessary) is seen as embodying a living contradiction, the emergence of vanishing mediators who manage to "belong" simultaneously to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entirely belong to none, who are "strangers from within" as it were.

Second, the pragmatic categories that seem most relevant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generalized translation are not only those of speech acts, illocutionary force, use and intention, authority and context, etc., but above all those of incomprehension and differend which reverse the "impossibility of the translation" into its paradoxical condition of possibility. Zygmunt Bauman for instance uses an idea of the "incomprehension" as the primary 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side and between "communities of meaning," therefore he defines universality as the result of an activity of translation (rooted in everyday life) through which the bearers of differences learn "how to go on - to cope with the task of sorting out right, adequate or passable responses to each other's moves." In a more tragic manner, but also with a Wittgensteinian background, Jean-François Lyotard describes "regimens of phrases" which are incompatible or "incommensurable" because a wrong that is expressed and argued in one of them will be judged or evaluated only in another one, and more generally because they are not subjected to a pre-existing law.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niversal rule cannot exist at all, but that it can exist only if it is invented after the event in a singular manner : to enunciate the "impossibility to translate", or to juxtapose incompatible phrases in the same discourse, "linking" them instead of masking them, returning to the original that resists translation from within the referential language and exhibiting the differend, is the very move that postpones untranslatability or removes its given limits. Here again an element of universality "to come" (as Derrida would say) is practically involved. And in both cases violence and reciprocity are at stake, their equilibrium being bound to remain uncertain.

Finally, it seems to me that we can indicate what kind of metaphysical problems are involved in generalizing and radicalizing the issue of translation. They concern the constructed status of individuals. As the institutional, naturalized (not to say fetishized) correspondences between idioms and communities are weakened and become more conflictual, each of the two poles being visibly made of "phrases" which do not spontaneously coincide, whose circularity has to be "enforced" over time by traditions and institutions (which also implies that voices are silenced and resistances are repressed), it is not the case that individuals are released of their trans-individual relations, that they emerge naked as in a "state of nature." But it is the case that another form of "radical indeterminacy" is brought to the fore, one that does not so much concern the reference to objects than the reference to subjects (or their self-reference). This does indeed match our contemporary experience of the limits of comprehension, in which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standard (in fact mythical) hierarchi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re inverted : for instance it is for "me" (E.B.) much easier to talk and discuss with a colleague in the U.S. Academia in a mixture of international English and French, than with a young racaille ("scum") from the Banlieues (as our Minister of the Interior calls them and they sometimes provocatively call themselves), whose words, grammatical patterns and pronunciation I understand incompletely, although they belong to a variety of "non standard" French perhaps mixed with some Arabic (I had less difficulties with the working class of the older generation, because spending 20 years in the Communist Party had given me a code and a training). So which "languages" are the same, and which (and whose) are different ? What practical realities do the official names cover ? And where does the "translation" process mostly take place, within or across the institutional borderlines ? But what is true of class with respect to national languages and communities, whose respective strength may become now reversed with respect to the recent history, might also apply to other dis-articulations of social identities that cross anthropological differences and cultural frontiers (depending in particular on the evolution of our "democratic" educational systems). In any case, the ontological correlate of a world of generalized translations is neither the emergence of the pure individual nor its final suppression, in the name of traditional communities who would universally tighten their grip on communication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absolute authorities in matters of translations (although this is clearly a risk). It is rather a problematic individuality, or a suspended process of individu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individual as a "capacity to move" (to transfer oneself) within a universum/multiversum subjected to the contradictory tendencies of increasing standardization and the vindication of differences, of identification with traditions and resistances to normalization. Where to ground the singularity of the individual and how to assess its possibilities to emerge from collective conditions of existence is indeed the common problem of all strategies of enunciation sub specie universitatis.

I certainly have no illusion concerning the perfect consistency of my scheme of reflection. To be sure, I see several ways of organizing the diversity of the strategies that have just been presented : formally, by referring them to different "grammatical models" (e.g. disjunction, inclusion, consecution), historically, by referring them to "stages" of our own philosophical culture ("pre-modern" or classical, "modern", and "post-modern" if you like) - which is not incompatible. What prevents me from going too far in these directions is not only that I have no certainty concerning their forming a complete counting (in fact I derived them simply from certain moments of my own theoretical work), but also that I can see already why they are not completely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neither "conceptually" nor "politically". Nevertheless, I keep thinking that they cannot easily become subsumed under a single concept of "the universal", or the "language of the universal." In other terms they present us with intellectual choices which, so it seems to me, must sharply divide philosophers. I offer them as hypothetical instruments to address from within philosophy the paradoxical question of its unknown future.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6-09-27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프랑스?
왠만하면, 페이퍼도 읽고 답글 달라고 했는데요, 워낙 긴 페이퍼는 마지막 문단만 보는지라, 하하하

balmas 2006-09-28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 페이퍼 안읽고 답글 달면 무효랍니다. 다시 다세요. ^^;

하이드 2006-09-28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너무해요 ㅜㅜ 마지막 단락이랑 첫단락은 읽었는데, 봐주삼-

balmas 2006-09-28 0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흐, 안된다면?

싸이런스 2006-09-28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네요. 퍼갈께요.

menwchen 2006-09-28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자료 퍼갑니다^^* 논문 잘읽고 있습니다.  프린트의압박 때문에 조금씩 해서 보고 있어요^^ 

하이드 2006-09-28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돈( 일적인거) 이랑 살인( 미스테리) 아니면 이렇게 긴 영어 못 읽어! 우띠에잇!

balmas 2006-09-30 0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싸이런스님/ 예, 그러셈.
멘님/ 오랜만이시네요. ^^ 분량이 너무 많아서 ... ^^;;;
하이드님/ ㅋㅋㅋ 이거 반칙인데, 페이퍼 읽지도 않고 댓글을 세 개나 달았네용. ^^
 

 

르원틴은 어떤 인물인가
삐딱한 반환원주의자 / 허영수 기자
2006년 09월 23일 (토) 20:53:37 허영수 기자 ysheo@kyosu.net
   
   
 

리차드 르원틴은 저명한 유전학자이면서도 환원주의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몇 안 되는 과학자 중의 하나로 꼽힌다. 그리고 열렬한 좌파 생물학자이다.


대담집 ‘과학의 정열’(다빈치, 2001)에 나와 있는 루이스 월퍼트 영국 런던대 교수와의 대담을 보면 그의 반골 기질이 잘 드러난다. “당신이 반체제 인사임은 아주 분명하다. 그 입장을 즐기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르원틴은 이렇게 답한다. “그렇다. 내가 다투는 것은 다투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주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증명하는 것은 그에게 무척 중요했다. 좌파는 세계를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만약 이 세계의 지위, 부, 권력이 전부 유전자의 산물이라면 좌파는 바꿀 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되지도 않을 일에 매달리다가 머리가 어떻게 되지 않으려면 무엇이 진실인가를 알아야만 했다. 그래서 그 주제에 천착했고, ‘모든 것이 유전자에 쓰여 있지 않다’를 결론을 내렸다.


엘리트적인 특권도 싫어해서,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을 관두기도 했다. 과학자라면 누구나 선망하는 지위를 내던진 것이라 세간의 이목을 끌었는데, 이에 그는 “나는 명예로운 칭호에 반대하고, 과학에 메달을 수여하는 일에 반대한다”라는 입장을 얘기했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과학자의 모든 순수한 열정과 노력이 ‘상’의 존재에 의해 왜곡되고 있는 것을 비판한 것이다.


그러면 기성 권위에 대립하는 인물이 상당히 권위 있는 하버드대의 교수였던 것은 문제가 안 될까. 이와 관련한 르원틴의 답이 걸작이다. “하버드 교수인 것이 큰 도움이 된다. ‘그는 하버드 교수이기 때문에 완전히 괴짜는 아닌 것 같다. 그가 말하는 것에도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사람들이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과 전혀 다른 얘기를 할 수밖에 없는데, 하버드대 교수라는 직함이 필요했다는 얘기다. 솔직한 그의 면모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허영수 기자 ysheo@kyosu.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의지성] 미국 진보과학의 大父 리처드 르원틴
지긋지긋한 환원주의에 대한 ‘비결정론적’ 반격
2006년 09월 23일 (토) 20:49:21 이상원 서울시립대 ysheo@kyosu.net
   

리처드 르원틴(Richard Lewontin, 1929 ~ )은 미국의 진화 유전학자다. 그의 국제적 명성에 비해 국내에서 그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그 이유야 어쨌든, 필자는 여러분이 그의 저술을 한번쯤 들춰볼 것을 권유한다.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1954년에 박사 학위를 받은 르원틴은 컬럼비아대에서 도브잔스키(Theodosius Dobzhansky)의 학생이었다. 잘 알려져 있듯이, 도브잔스키는 진화의 신종합 이론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유전학자이다.


르원틴의 전문 연구 분야는 집단 유전학과 진화론 연구이다. 이 분야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 양자 모두에 크게 기여했다. 이미 1960년대에 르원틴은 미국 유전학자 중 최정상의 지위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기여 가운데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 기법을 발전시켜 집단 유전학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킨 일이다. 그는 1966년 시카고 대학교에 있을 때 허비(Jack Hubby)와 공동으로 겔 전기영동 기법으로 유사 단백질을 분리하여 집단 내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최초로 확인했던 것이다. 이 기법으로 그는 초파리 속의 일원인 드로소필라 프세우도오브스쿠라(Drosophila pseudoobscura)의 유전자 좌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기법은 초파리뿐만 아니라 사실상 대부분의 생명체에 적용 가능한 실험 기법이어서 르원틴의 이 기여로 집단 유전학 연구는 큰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1974년에 출간된 이러한 주제에 관한 그의 주요한 책으로 ‘진화적 변화의 유전적 기초’가 있다.


1972년에는 인종 간의 유전적 다양성보다 특정 인종 내의 유전적 다양성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는 인간 유전학 분야에 크게 기여한 연구다. 이 연구는 인종 간의 우열성을 인간의 유전적 상태에 입각하여 논의하고자 하는 기도를 막아주는 과학적 바람막이 역할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1960년에 그는 고지마(Ken-Ichi Kojima)와 함께 ‘복잡한 다형(polymorphisms)의 유전적 동학’이라는 논문을 쓴다. 여기서 르원틴은 두 개의 유전자 좌에서 자연 선택이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관련된 방정식을 제시한다. 이 방정식은 이론 집단 생물학에 크게 기여했는데, 이러한 연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발했던 두 유전자 좌 선택에 관한 이론적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르원틴은 이미 집단 유전학 분야의 성과로 유명한 전문가가 되었으나,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그의 저술, 발언, 행동으로 또한 세인의 주목을 받게 된다. 과학과 사회의 심오한 관련성과 과학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집요하게 탐구하는 르원틴의 이 분야 대표 저술은 1984년에 레온 카민, 스티븐 로즈와 함께 쓴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1993)이다. 이 책은 환원주의적 세계 인식 방식에 대한 심도 있는 비판적 논의와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한 강력한 논박을 담고 있다.


생물학적 결정론자들에 따르면,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현상은 우리의 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계급, 인종, 성 간의 지위, 부, 권력에서의 불평등은 자연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진 생물학적 특성 탓이라는 것이다.

생물학적 결정론은 역사적으로 상이한 여러 형태로 계속 출현해왔다. 20세기로 들어오면서 새로운 형태의 생물학적 결정론이 나타난다. IQ 옹호론, 가부장제 옹호론, 정신분열증의 유전학 등이 그것이다. 이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IQ는 뇌 용량에 의해 결정되고 뇌 용량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남성과 여성 간의 능력 차이는 생물학적 특성의 차이, 특히 뇌 구조와 생식기 구조의 차이에 기인한다. 정신분열증은 유전된다. 여기에 ‘사회생물학’이 추가됨은 물론이다.


에드워드 윌슨은 1975년 ‘사회생물학: 새로운 종합’을 낸다. 1976년엔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출간한다. 그들은 인간 행동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르원틴이 사회생물학을 비판하는 몇 대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원의 문제이다. 사회생물학은 강력한 환원주의다. 사회생물학은 인간의 사회적 상태가 개인의 행동의 합에 다름 아니라고 보며, 각 인간의 행동을 단지 생물학적인 것으로 완전히 환원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인간의 유전자를 모두 알기도 어렵지만, 알더라도 그러한 앎을 통해 사회적 상태를 알 수는 없다.


둘째, 일란성 쌍둥이 연구에서 유전 결정론을 지지할 만한 결정적 증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어떤 두 사람이 일란성 쌍둥이로 태어나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더라도, 그들의 정신적, 행동적 특징이 유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유전자가 같고 환경이 유사하더라도 그 표현형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물학적 결정론자들은 객관적이고 공평무사한 과학성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이데올로기적 편향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인간의 행동, 특히 그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적 불평등이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라면, 인간의 상태를 개선, 변경하기 위한 모든 노력은 무의미하게 된다. 예를 들면 교육과 같은, 그 어떤 인위적 시도도 효과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는 이처럼 생물학적 결정론을 주로 비판하지만, 동시에 ‘문화 결정론’도 비판한다. 이것은 인간이 문화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입장 역시 정당화된다고 보기 힘들다는 시각이다.


르원틴은 1991년에 ‘이데올로기로서 생물학’을 내는데, 이 책은 1990년에 미국의 한 라디오 방송에서 강연한 내용을 책으로 다듬은 것이다. 국내에서는 ‘DNA 독트린’(궁리, 2001)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다. ‘이데올로기로서 생물학’은 기본적 내용에서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와 큰 차이가 없다.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의 내용을 3분의 1 이하로 줄여 요지만 압축한 형식을 취했고 여기에 인간 지놈 프로젝트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 한 장을 추가시켰다.


2000년에 나온 르원틴의 저술로 ‘삼중 나선’(잉걸, 2001)이 있다. 유전자만 들여다보아서는 생명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르원틴의 핵심적 주장이다. 유전자 차원, 유기체 차원, 환경과 이들의 상호작용이라는 차원을 깊이 이해할 때 비로소 생명체의 본성이 제대로 이해될 것이라는 주장을 여러 개념과 자료를 바탕으로 다루고 있다.


르원틴의 사회적 발언은 그의 유전학적, 진화적 논의를 기반으로 전개되어 오고 있다. 또한 그의 활동은 상당 부분 해당 분야 최고의 학자들과의 교류와 연대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의 스티븐 제이 굴드, 리처드 레빈스 등을 포함하는 과학자는 물론, 여러 과학철학자와 공동 연구하고 글을 썼다. 리처드 뷰리언, 엘리엇 소버, 필립 키처, 로버트 브랜든과 같은 저명한 철학자들이 그의 실험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이나 그와 유사한 자격으로 연구했으며, 그와 논문을 함께 써 왔던 것이다.

이상원 / 서울시립대·철학

필자는 서울대에서 ‘실험의 성격과 구조: 이론망에 기초한 인식적 접근’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노벨 과학상’(공저), ‘실험하기의 철학적 이해’, ‘인간은 유전자로 결정되는가’(공저) 등이 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꾸때리다 2006-09-28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익후 요즘 제 관심 분야 인데... 굴드, 도킨스, 르원틴, 마이어...

가을산 2006-09-28 15: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중나선이 읽고 싶었는데, 품절이더라구요.

balmas 2006-09-30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Todesfuge님/ ㅎㅎㅎ 사서 읽어보세요.
가을산님/ 그러게요. 품절이더군요. 교보 같은 데 한번 알아보시지 그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