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nfo.ahnlab.com/securityinfo/info_view.jsp?seq=7937&category=15&email_nm=securityletter135&target_page_nm=aa003

PC방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조회수   1148  
많은 사람들이 집이나 회사에 컴퓨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PC방 혹은 게임방을 찾아 게임이나 각종 컴퓨터 관련 일을 한다. 대개의 사람들은 PC방에서 중요하며 보안이 필요한 일을 처리하지 않지만 이메일 서비스에 로그인을 하거나 메신저로 대화를 주고 받거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글을 올리는 일은 흔하게 한다. PC방 컴퓨터에 설치된 악성 프로그램에 의해 이런 과정이 기록되어 해킹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혹은 브라우저나 프로그램의 기본 설정에 의해 원치 않는 개인정보를 남기게 되는 경우도 있다.

불가피하게 PC방을 이용하게 될 때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을 막기 위해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정리해 보았다. 이것은 PC방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를 이용할 때 모두 적용된다.

1. 은행권 사이트로 접속하기

백신 프로그램이나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보다 일단 은행권 사이트로 접속해 보자. 몇몇 은행권 사이트들은 단지 접속하기만 함으로써 해당 컴퓨터에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었는지 자동으로 확인해 준다. 해당 은행 사이트에 접속하면 하위 메뉴 (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 메뉴)를 누르면 보안/백신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회원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은행권 웹 사이트들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몇 가지 백신 프로그램이나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한다. 일단 PC방에서 컴퓨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은행권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런 프로그램을 돌려 보는 것이 좋다.

일부 은행권 사이트는 개인 파이어월이나 키보드 후킹 방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한다.

2. 브라우저 옵션 조정하기

PC방에서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로그인을 하게 될 경우 브라우저의 옵션에 의해 자신도 모르게 아이디와 패스워드 혹은 방문 사이트의 기록을 남기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사용하기 전에 최소한 다음과 같은 옵션을 조정해 주는 것이 좋다. 방문기록을 삭제하지 않은 경우 어드민 주소와 같은 중요한 주소를 컴퓨터에 남기게 될 수 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묻지 않고 자동으로 저장하게 되는 경우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런 사용 기록을 한번에 삭제해주는 유틸리티를 이용해도 좋다. 무료로 제공되는 유틸리티 중 PCFree나 IEToy같은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그림 1] 방문기록 삭제


[그림 2] 아이디, 암호 자동 저장 제거

3. 메신저 자동 로그인, 대화기록 저장 옵션

많은 사람들이 PC방에서 메신저를 사용하며 자신도 모르게 자동 로그인 옵션을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메신저의 자동 로그인 옵션은 보안상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네이트온과 같은 경우 로그인을 하게 되면 이메일과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 저장해 둔 전화 번호 목록(주소록)도 접근할 수 있게 된다. MSN 메신저 또한 닷넷패스포트를 활성화한 경우 핫메일 계정으로 접근할 수 있다.

네이버 메신저의 경우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첫 로그인 화면에 "자동 로그인"이 체크되어 있다. 때문에 별 생각없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처음 메신저를 사용한 경우, 다음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전 사용자의 아이디로 로그인을 할 수 있다. 네이버 메신저는 카페/블로그의 아이디와 동시 사용하기 때문에 메신저에 로그인을 하게되면 카페, 블로그, 이메일을 마음대로 접근할 수 있다. 때문에 PC방에서 메신저의 자동 로그인에 체크를 해 두는 것은 정보 노출을 위한 자살행위와 같다.


[그림 3] 네이버 메신저의 자동 로그인

한편, 대부분의 메신저는 대화 내용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보안에 치밀한 메신저의 경우 로그인하는 아이디에 따라서 대화 내용을 저장 여부를 계속 물어보지만 어떤 메신저는 한 번 대화 내용을 저장하도록 하면 그 이후 사용자도 자동으로 대화 내용이 저장된다. 자신이 대화한 내용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면 메신저의 대화 내용 저장 옵션을 활성화시켜서는 안된다.


[그림 4] 메신저 대화 자동 저장

4. 사용했던 프로그램 삭제하기

PC방에서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했던 프로그램은 그 자리를 떠나기 전에 삭제하는 것이 좋다. 몇몇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삭제하더라도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패스워드를 남겨 두기도 한다. FTP 프로그램의 경우 실행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ini 파일 등에 사용 기록을 남겨 두기도 한다. 특히 회계 관련 프로그램이나 회사 내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혹은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인트라넷웨어 등)에 보안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은 프로그램은 절대 PC방에서 사용해서는 안된다.

5. 새로운 프로세스 확인하기

이 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약간의 컴퓨터 지식이 있는 사람들에겐 용이한 방법이다. 윈도2000 이상, XP 이상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는 Ctrl+Alt+Del 키를 동시에 눌러서 "작업 관리자" 를 열 수 있다. 이것을 통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프로그램)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 시스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프로세스 외에 실행 중인 것을 발견하면 검색엔진에 프로세스 이름을 입력하여 상세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그림 5] 윈도 작업 관리자

윈도에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프로세스는 blog.naver.com/kickthebaby/2000771448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블루문 (ZDNet Korea 대화형 컨텐츠 아스피린 하우스 운영)

* 이 기사는 제휴 컨텐츠 제공업체인 ZDNet Korea의 대화형 컨텐츠 사이트 아스피린 하우스에 게재된 내용을 각색, 정리한 것이다. 문의사항이 있으면 블루문의 이메일 bluemoon@tracezone.com로 보내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uardian Unlimited

 

After the flood

Lebanon is once again torn apart by vicious strife. But when the bloodletting is over, the warring parties will have no alternative but peaceful co-existence

Brian Keenan
Saturday July 22, 2006
The Guardian


Dawn is cruel in Lebanon.
Rocket holes have gutted this place
Like a blunt blade
In the flesh of a fish.
In the suburbs
An unkempt forest of rushes sprout
Amid minefields
Fed on sewage
Watered by years
Of un-staunched pipes
The ghosts of night have no place
In this hallucinatory city
Here they are masters of the light
Made substantial in the sun.

Today,
L'Orient-Le Jour has a headline,
"Découverte Macabre"
A record of bodies discovered the previous day
Spills out,
Like the innards of a disembowelled animal.
One dawn, perhaps,
Such secrets may not be
The burdensome proof
Of this Lebanese earth.



I wrote that some 17 years ago after I had returned from my incarceration in Lebanon. It's a small fragment of a long narrative poem I was working on. In a very short time I had come to love the place and the people I lived and worked with before I disappeared for five years into the bowels of Beirut's hallucinatory nightmare. Until that moment I had kept a small notebook in which I recorded things that struck me about the place. Somewhere in the pages I had written a quote from William Blake: "The tigers of wrath are wiser than the horses of instruction." The ruined city and its people alternately surviving one day then suffocating under another salvo of rocket fire, followed by the defiant ranting of political and religious zealots, seemed to draw it out of me. It seemed an appropriate apocalyptic phrase for an apocalyptic city.

That was nearly 20 years ago, and I recently planned to go back. As you are reading this, I should have been packing my bags for a family holiday in Lebanon. Obviously, I am not now. No one in their right mind takes a holiday in Hades.

Only last year, a friend of mine called to say she was intending to holiday in Lebanon and asked my advice. Without hesitation, I encouraged her to go. "Lebanon is beautiful and the Lebanese are a delight. They are courteous in the extreme, and their hospitality is overwhelming. They love their country and are more than delighted to share this exuberance with strangers.

"You can go skiing in the mountains in the morning and sun yourself on the beach in the afternoon; and the food is to die for. If you can go to the mountains, sit a while under the magnificent cedar and just let the place soak into you. The vistas are sublime. Take a copy of Kahlil Gibran's Thoughts and Meditations, read it slowly under the great tree's shade and you will see beyond the horizon."

I rabbitted on, remembering only the beautiful flower that Lebanon was and completely forgetting the poison hidden in its petals. But then I had every reason to forget the bleak history of this part of the world. A bloody inheritance of betrayal, assassination and religious animosity. I had also forgotten the covert and heinous foreign meddling by America, and Iran, and the invasion and occupation by Syria and Israel. All of whom, it seems to me, cared little about Lebanon and its people. I had believed that these proxy wars fought on the killing fields of Lebanon had been eradicated like the canker in the rose.

I chose to believe in men such as Rafik Hariri who married individual vision with personal wealth and set about rebuilding the biblical cities of Lebanon, disinterring Beirut from the rubble of its past. Even when he was assassinated a year ago, but huge public protests led to the withdrawal of the Syrian army, I was convinced that the resurrection of Lebanon was assured. Beirut would rise from the ashes, garlanded with olive branches and flowers. This would be the reborn Beirut of gourmet restaurants, glitzy boutiques full of handsome young men and incredibly beautiful young women, shops and street-side cafes filled with people watching the world go by. Churches and mosques rebuilt side by side, and plazas and pedestrian walkways that opened up the city. There would be no more green lines that divided the city. No more areas you dared not walk at night.

If I had a dream of the promised land, it was one shared by thousands of ordinary Lebanese who wanted to share it with any who, like me, were willingly beguiled by it. "Call into the Mayflower Hotel and give them my regards," were my parting words to my friend.

Last summer, she made the trip to Lebanon. Her postcard to me confirmed that I had been right to insist that she went. She had also called at the Mayflower Hotel with my message. The owner was almost overcome, and told her he remembered "Mr Brian" with great affection and respect. She underlined these words. Some weeks after her card arrived, I received another written by the hotel owner himself. It was polite and graceful, the way the Lebanese are. Mounir respectfully invited me and my family to come and stay at his hotel. It would, he assured me, give him great pleasure and much delight. I knew the pleasure and delight would be all mine - I immediately scanned my diary to fix a date for this summer.

How could I have been so naive? I am old and experienced enough to know that dreams are fanciful things that disappear with the dawn, and in Lebanon, as I recall, dawn is a cruel time.

Among the many things my dreaming could not erase was the curse of cyclical violence, war and destruction that waits in the shadows to engulf this place with evermore bloody and disastrous consequences. In the past week, I have viewed the television coverage with sickening despair. I have listened to the empty rhetoric of politicians coming at me like an old echo. I have heard and seen it all before. It makes me cynical and angry, and I despise these feelings in myself. Sometimes, I feel myself choke up with tears. Above all, I feel robbed and betrayed.

And if I feel this from the comfort of my home in Dublin, how do my friends in Hamra and Raouché or in those tiny hill villages feel?

In Lebanon, curses are not like dreams. They do not emanate from some psychic other world. The demons in Lebanon are not mythical, they are real and they wear the guise of men. What did the students I taught do to deserve their future subjected to this manmade curse? What did the shoemaker at the end of the street I lived in do? What did my friend Mounir do? What did the old man who sat and peeled garlic all day in my favourite restaurant do? What did the 11 children who were blown to bits while swimming in a canal near Tyre do?

Noticeably, we no longer hear those hideous phrases "collateral damage" or "casualties of war". Everyone knows them for what they are: euphemisms for arbitrary but calculated murder. A leaflet dropped from a passing aircraft informing people to leave their homes or face the consequences redeems no one.

A week ago, I saw a photo of a man holding up a dead child he had just pulled from the blasted ruins of its home. It looked like a rag doll that had been pulled from a rubbish tip. In another context, the image could have been of a man holding up his daughter to receive a blessing. He could even have been handing the child to the care of a friend. But the face of the man holding up the infant confirms the worst. His features bear the emotional numbness of someone who has lived through this horror too many times; somewhere in his soul, he is as dead as the child he holds. His gesture simply asks us to bear witness, and perhaps, with what ever emotional life is left in him, he is also asking us to take this pain from him.

If a cataclysmic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in Lebanon and that dire generational curse of death and destruction is passing over the land, why did we not see it coming? Maybe we did see it coming, but because we are used to it and expect such things from the Middle East, we are immune to it. Assuredly, the seeds were sown long before the poison erupted in the flower in the past few weeks.

A few months ago, the Irish Times carried a photo of a group of Palestinian youths fleeing through a crowd with the dead body of one of their friends, who had been shot for throwing stones at Israeli soldiers. The faces of the two boys carrying their friend are imprinted with shock, confusion, desperation and the urgent need to get away. Two other boys at the edge of the crowd stretch out their arms to touch the boy's corpse. They are drawn to partake in his death. Their faces are like a mask, contorted in a pernicious grimace. It is as if some psychotic pow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boy's martyrdom, and passes into them. It is a dreadful, revelatory moment. Tomorrow, they will throw more stones; in a few years, they will be firing guns. In a few more years, as the contagion of hate develops, they may put on the martyr's vest and walk into oblivion trailing the remains of more innocent dead behind them. The question I asked myself was where will this cauldron of hate and violence take these children?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is question, but I was still seeing another Lebanon. One where I wanted to take my family and say: "See, this country is not the evil place that imprisoned me and these people don't want to hurt anyone." I wanted to stand in this land and not be afraid because of what had happened. I wanted my children to know that evil does not endure. I wanted them to love this country as I do, and as the Lebanese do. Above all, I wanted them to grow up secure in themselves and passionate about the big issues in life: justice, freedom, happiness, equality and the human right to independent judgment. I wanted them to know, and remember when they are old enough to reason, that their dad took them to Lebanon for this purpose. More importantly, I wanted them to have a great time and meet great people there.

In this star-crossed corner of the world, we should have known, we were certainly warned. Whether you believe in the curse of recurrent violence or not, you have to accept that such events are not things of chance. Even as I write, the Israeli military has declared a timescale for their incursion in Lebanon. Whatever they might say about "de-fanging" the snake of Hizbullah, they are intent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struction of their neighbours. Every day, I read reports or listen to the apologists of this crisis accuse each other; Meanwhile, innocents die on either side of their debate. No wonder the curse returns - such mindsets are stuck in a time warp, and nothing less than a purging of the intellect and imagination will ultimately dispel it. But how can that be done?

Drawing on his clinical experience, Dr Nathaniel Laor, a psychiatrist from Israel, illustrates how hate damages psychic structures. Two factors play a crucial role: first, hate gives, or can give, a form of pleasure; second, and more importantly, hate is addictive. And it is contagious; a potential epidemic. Perhaps that is the poison at the heart of the flower. Maybe the protagonists who are butchering the country need to go for a long session of counselling with Dr Laor.

About a dozen years ago, I was an invited speaker at an international conflict resolution conference held in Derry in Northern Ireland. Ehud Olmert was also a guest speaker. In his address, he said: "Political leaders can help change the psychological climate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he concluded: "How are fears born? They are born because of differences in tradition and history; they are born because of differences in emotional, political and national circumstances. Because of such differences, people fear they cannot live together. If we are to overcome such fear, a credible and healthy political process must be carefully and painfully developed. A political process that does not aim to change the other or to overcome differences, but that allows each side to live peacefully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 can only ask my fellow contributor, now prime minister of Israel: "What happened, Ehud? How does the havoc and slaughter of your neighbours tally with your inspiring sentiments?"

During my life, I have come to accept that there are very good reasons why Jews hate Muslims and vice versa. Often, they are eloquent in their arguments and can convincingly document reasons for their antipathy and suspicion. Yet wholesale genocide is no solution - and both sides know it. They have no alternative but to coexist.

Coexistence is the minimal, least demanding way for people to relate to one another without violence. It is not the same thing as love, or even as friendship. On the contrary, it is an expression of distance, an acknowledgment that boundaries will remain. It is informed by an attitude of live and let live; that is precisely the message that neither side in the war in Lebanon wants to hear or declare.

It is an ideal without illusions. Its object is not the seamless union of opposites but a practical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It does not deny difference; it disarms it, robbing it of its power to wound or kill. In a pluralist society,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not abolished. They are legitimated, while society strives to guarantee that the law will be blind to them. It is not easy to achieve but when there is no alternative, it is worth trying.

For now, I've put off my visit to Lebanon. But I might return to that poem and rework it. But then, I think cynically, what's the point? Nothing changes in this corner of the earth.

 

http://www.guardian.co.uk/syria/story/0,,1826371,00.html#article_continu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평가는 학계에서 … 비등재지도 지원해야
교수논평

2006년 07월 23일   조만형 한남대 이메일 보내기

▲조만형 한남대 ©
학문이나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학자들에게 논문은 자신의 지식을 창출해서 유통시키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는 동료 학자들의 심사(동료평가, peer review)를 거쳐서 자신의 논문을 발표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통로이다. 물론 지식은 전문학술지 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유통될 수 있지만 학술지는 논문이 게재되기 전에 동료들로부터 비판과 검증을 받아 출판된다는 점에서 일반 잡지와 차별화되고, 학술지의 권위는 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우수성에 따라 결정된다. 학자들은 학문연구활동의 결과를 권위 있는 학술지에 발표하여 자신들의 연구업적을 평가받을 뿐만 아니라 학문의 발전과 국가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과 같이 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는 학술지들은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까다롭게 심사한 후 논문을 게재하기 때문에 거기에 실린 논문들은 누구나 학술적 가치를 인정한다. 그러한 논문들은 자연히 다른 학자들이 많이 인용하게 되어 소위 말하는 인용지수가 매우 높다.


모든 학회들은 회원들의 학술교류의 장으로서 학회지를 발간하고 권위 있는 학회지로 발전시키려고 노력한다. 한국학술진흥재단(학진)에서 주관하는 국내학술지 평가사업도 궁극적으로 학회들이 우수한 학술지를 만들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지원한다는 취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항간에 학술지 평가에 대해서 이런저런 비판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좋은 학술지를 만들기 위해서 학회와 국가가 공동으로 노력하자는 취지에 반대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1998년부터 시작된 학진의 학술지 평가사업은 최소한 국내학술지의 형식적 완성도를 상당한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


물론 형식적 완성도가 내용적 우수성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학술지의 체계가 매우
열악한 우리나라에서 형식적 측면에서라도 어느 정도 학술지의 모습을 갖추도록 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학술지를 등재(후보)지와 비등재지로 구분하고 대학과 연구지원기관에서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하면서 학술지 평가의 파장이 커지고 비판의 수위도 높아졌다. 논란의 초점은 ‘학술지 평가를 국가가 해야 하는가’의 원론적인 문제와 ‘등재지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해야 하는가’의 활용적인 문제로 귀착된다. 먼저 학술지는 어떤 식으로든 평가될 수밖에 없는데 다만 평가의 주체가 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학자 커뮤니티가 되어야 하는가의 문제가 논란이 핵심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학술지는 학자들의 내적 원리와 학문적 양심에 따라 학자 커뮤니티가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게 바람직하다.


‘사이언스’지의 권위는 영국이나 미국 정부가 인정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학자들이 거기에 실린 논문들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얻어진 것이다. 학진에서 수행하는 학술지 평가는 학술 커뮤니티가 양심과 자율의 원리에 따라 권위 있는 학술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꾸어 주는 보조적인 역할로서 사업의 의의를 가져야 할 것이다.


국내 학술지가 ‘사이언스’지처럼 정말 엄정하고 심도 있는 심사과정을 거쳐서 논문을 생산한다면 당연히 국가가 학술지 평가를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현실에서 솔직히 많은 학술지들이 각종 인연과 동정 때문에 논문 아닌 논문을 양산하고 있지 않는가.

등재학술지의 활용에 대해서는 활용하는 주체의 처지에 따라서 결정하면 될 것이다. 먼저 대학의 경우에 등재지만을 교수들의 연구업적에 포함시키는 것은 학진에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어쩌면 대학들이 행정적으로 편리하기 때문에 또는 그래도 등재지가 어느 정도 검증을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등재지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해주는 것 같다. 그렇지만 모든 대학들이 그렇지는 않다. 내가 아는 K대는 연구업적을 평가할 때 논문의 숫자에 관계없이 대표적인 논문 2편을 제출받아서 외국의 저명한 학자에게 심사를 의뢰해서 평가한다. 대학에서 등재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대학이 결정할 사항이지 학진이 지시할 사항은 아니다. 문제는 학진처럼 연구지원기관에서 연구과제의 지원자격 조건으로 등재지 논문을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데 있다.

학진에서는 연구를 수행하려면 학자들이 지원하는 연구주제에 대해서 최소한 몇 편의 논문이 있어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논문의 요구조건에 관한 논란은 논외로 하고 논문게재를 꼭 등재지에 한정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학문영역에 따라서 학술지  형식은 다를 수밖에 없고 따라서 학술적 능력이 표출되는 논문은 다양한 형식으로 발표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등재지는 획일적인 형식기준을 통과한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학문의 소통을 막을 수 있고 정보의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지원기관들은 등재지를 포함해서 비등재지의 논문도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를 연구에 반영할 수 있고 새로운 학문영역이 등장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지 평가는 결국 학술 커뮤니티의 건전성과 신뢰의 수준에 비례하는 것 같다. 의학 분야의 학술지는 이미 학문적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 자체적으로 학술지를 평가하고 있다. 등재지의 문제를 비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등재지를 만들려고 각종 서류를 조작하는 학회와 유령 논문을 투고하는 학자들의 행태도 바뀌어야 한다. 학진의 학술지 평가는 학자들이 생산한 논문을 대상으로 학자들이 직접 평가하기 때문에 학자들의 평가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학술지 평가와 같은 사업에 예산과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도 학술 커뮤니티가 자체적으로 학술지의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시대가 가능한 한 빨리 왔으면 좋겠다.      


©2006 Kyosu.net
Updated: 2006-07-23 22:15
▲맨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보르의 본의 왜곡 아닌가…체계 넘어서려는 노력 실종
해외동향: 기 드보르의 영화전집 DVD 세트와 저작집 발간의 의미

2006년 07월 23일   양창렬 프랑스통신원 이메일 보내기

"하나의 유령이 문화를 배회하고 있다.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이라는 유령이." 이것은 68년 1월의 ‘마가진 리테레르’, "상황주의자" 특집호에서 장-피에르 조르쥬가 했던 말이다.

기 드보르의 ‘영화 전집’ DVD 세트와 ‘저작집Œuvres’이 잇따라 발간됨에 따라, 대중들 사이에 40년 전의 아방가르드 유령들이 또 다시 출몰하고 있다. ‘영화 전집’은 올리비에 아싸야스 감독이 기 드보르가 연출한 여섯 편의 영화와 다큐멘터리 한 편을 복원하고, 서한집에서 영화 관련 구절들을 발췌한 책자를 끼워 넣음으로써 전집으로서의 구색을 갖추었다.

‘저작집’은 기 드보르에 대한 연구서를 출판한 바 있는 뱅상 카우프만의 책임 하에 간행되었으며, 1천9백 쪽에 이르는 이 책에는 연대기 순으로 정렬된 기 드보르의 저작, 발표문, 기사, 편지, 사진 등이 담겨 있다.

이 두 도구 덕분에 기 드보르 및 상황주의자들에 대한 연구는 전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싸야스와 카우프만의 노고에 박수를 보내야한다는 사실과 무관하게, 이 작업들은 기 드보르의 전략의 아포리아를 제기한다.


오늘날 DVD는 지극히 개인적인 소비 매체다. 상품이자 소유물이며, '사적 사용'에 제한된 자본주의 교환 법칙 및 소유권 이데올로기까지 고스란히 체화하고 있는 DVD(혹은 비디오)라는 매체는 스펙터클의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집 안으로 들어온 극장(홈씨어터)으로 대변되는, 스펙터클의 일상생활 장악에 대한 고민 없는 복원은 반쪽에 불과하다.

기 드보르가 ‘사드를 위한 울부짖음’(1952)에서 시도했던 실험들―백색 화면 위를 표류하는 화면 바깥의 목소리(voix off)와 검은 화면의 침묵의 교체, 그리고 영화 시작 3분 뒤에 들려오는 "영화는 없고, 시네마는 죽었다. 더 이상 영화는 있을 수 없다. 원한다면 토론으로 넘어가자"라는 도발적 선언―의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 한다.

여기에서 '목소리'와 '이미지'의 분리는 미학적 차원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영화 바깥의 삶과 스펙터클의 대립을 표현하는 지극히 정치적인 것이다. 바깥의 목소리, 꺼진 목소리―이 둘은 모두 voix off이다―는 스펙터클과 외양에 의해 박탈된 '언어 소통 가능성'을 되찾기 위한 봉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아방가르드 영화 클럽'에서 그 영화가 처음 상영되었을 때 쏟아졌던 관객들의 반발과 상영 중단 해프닝은 오히려 기 드보르의 反-영화, 영화를 위한 영화가 아니라 도구로서의 영화가 성공을 거둔 사례다. 화면 밖으로 나와 목소리를 키우고(voix on)―극장, 그리고 스펙터클 안에서는 떠들면 안 된다― 삶을 논하는 것이야말로 "상황을 구축"하기 위한 첫 걸음이기 때문이다.

씨릴 네이라가 지적하듯이, 드보르에게 영화는 "다른 어떤 예술보다 스펙터클의 작동에 참여하므로, 영화는 스펙터클의 전복의 도구"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DVD에 담긴 매끈한 영상들은 이제 하나의 영화 '텍스트'이자, 이미지-표상으로서 분석 대상이 될 것이다.

1984년에 친구, 편집자, 영화 제작자였던 제라르 레보비시가 암살된 이후, 기 드보르는 자기 영화의 배급과 상영을 금지했었다. 그로부터 20여 년 만에 다시 개봉된, 소문만 무성했던 ‘In girum imus nocte et consumimur igni’에 씨네필들은 열광했고, 그들은 그 서정주의적 이야기 속에서 '모던 영화(cin?ma moderne)'의 기운을 찾아내고자 했다.

이 현상은 드보르의 영화를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간주하고 그것의 미학을 발견하려는 시도이긴 하지만, 예술로서의 삶이나 삶으로서의 예술이 아니라, 오히려 예술의 종말과 폐지 이후의 삶에 대해 고민했던 드보르의 전망을 흐리게 만든다.


동일한 현상이 ‘저작집’에서도 나타난다. 필립 솔레르스는 드보르에 대해 "읽기는 쉽지만 이해하기는 어려운 저자"라고 말했다. 드보르의 구문은 혼란스럽지도 않고, 특별히 새로운 단어들을 담고 있지도 않지만, 그의 논조 자체가 글 속에서 파괴 과정에 있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그의 글 속에서 논리적인 '추론'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학계에서 드보르를 연구 대상으로 '전유'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저작집’은 드보르의 아포리즘들 사이의 공백을 메움으로써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독자들의 전용(d?tournement) 가능성을 줄인다.

‘르 피가로’의 서평은 "‘저작집’이 드보르의 저작들을 하나의 '고전'으로 만든다"라면서, 이 상황을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한 편으로, 이제 드보르가 학계의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말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 드보르는 이제 아카데미에 포획될 준비가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문제는 이미 드보르가 죽기 전에 가장 '스펙터클한' 케이블 채널인 카날 플뤼스(Canal+)에 자신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도록 허락하고, 가장 '부르주아적인' 출판사인 갈리마르에 자신의 저작의 재간행을 맡긴 것에서 시작된다.

장 보드리야르는 상황주의자들이 체계 바깥에 위치한 삶과 상황을 구축하려는 "관념적인 (그러나 이미 통속적인 것이 되어버린) 유토피아"를 추종한다고 비판하며 스펙터클 개념을 지양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말년의 기 드보르의 납득하기 어려운 행동은, 보드리야르의 평가와는 정반대로 드보르가 스펙터클 체계 내에서 그 체계 자체를 이용, 보다 정확히는 "전용"함으로써 그 체계를 해체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기 드보르의 마지막 내기에도 불구하고, 스펙터클이라는 "이미지가 되어버린 자본"은 (정치적) 급진성마저 스펙터클한 방식으로 "전유"하고 소비해버렸다. ‘영화 전집’과 ‘저작집’을 보면서, 우리가 한번쯤 아니 여러 번 고민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전략적' 질문들이다. 체계 안에서 체계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양창렬 / 프랑스 통신원·파리 1대학


©2006 Kyosu.net
Updated: 2006-07-23 22:25
▲맨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e Monde diplomatique

 

Proche-Orient, la déchirure

 

Chronologie du Liban
(avec AFP)

1943 : Le Liban, sous mandat français depuis 1920, accède à l’indépendance le 22 novembre.

1946 : Evacuation des troupes françaises.

Mai/septembre 1958 : Guerre civile. Le président Camille Chamoun, accusé de mener une politique pro-occidentale par les nationalistes arabes, fait appel aux Américains qui débarquent en juillet. Les troupes se retirent après l’élection à la présidence du général Fouad Chehab.

1969 : Les « accords du Caire » légalisent la présence palestinienne dans les camps du Liban-sud.

1970 : Après les sanglants affrontements de « Septembre noir » en Jordanie, l’Organisation de libération de la Palestine de Yasser Arafat se replie au Liban.

Israël, confronté aux attaques et infiltrations de commandos palestiniens, multiplie les raids de représailles.

1973 : combats entre Palestiniens et armée libanaise.

13 avril 1975 : Début de la guerre civile. Les milices chrétiennes s’affrontent aux forces de gauche et musulmanes, appuyées à partir de janvier 1976 par les Palestiniens.

6 juin 1976 : Intervention de l’armée syrienne, à l’appel des formations chrétiennes en mauvaise posture face aux forces palestino-progressistes. En octobre, les sommets de Riyad et du Caire décident l’envoi d’une Force arabe de dissuasion, composée en majorité de Syriens.

16 mars 1977 : Le leader druze Kamal Joumblatt, chef du Parti socialiste progressiste, est assassiné à proximité d’un barrage syrien.

Mars 1978 : Israël occupe militairement le sud du Liban jusqu’au fleuve Litani. Résolution 425 de l’Onu exigeant un retrait israélien. Déploiement de la Force intérimaire des Nations unies (Finul). Israël se retire partiellement en juin, laissant en place les milices chrétiennes de Saad Haddad.

Juillet : Pilonnage des quartiers chrétiens de Beyrouth par l’armée syrienne après un changement d’alliance, Damas s’étant rapproché des forces palestino-progressistes.

6 juin 1982 : Israël envahit le Liban et assiège Beyrouth (opération « Paix en Galilée »).

Fin août-début septembre : Arafat et 11 000 combattants palestiniens évacuent Beyrouth. Quelque 400 000 Palestiniens restent dans les camps.

14 septembre : Assassinat du président élu Béchir Gemayel. Entrée des Israéliens dans Beyrouth-Ouest le 15.

16-18 septembre : Massacre dans les camps palestiniens de Sabra et Chatila : au moins un millier de morts. Un rapport officiel israélien établira la responsabilité directe des miliciens chrétiens des Forces libanaises (FL) et indirecte des troupes israéliennes.

22 septembre : Election de M.Amine Gemayel à la présidence.

17 mai 1983 : Accord de paix libano-israélien, qui sera abrogé par les autorités libanaises.

Août-septembre  : Relance de la guerre civile. Les milices chrétiennes abandonnent la montagne du Chouf aux druzes de M. Walid Joumblatt.

23 octobre : Attentats contre les QG américain et français de la Force multinationale (FM) à Beyrouth : 241 Américains et 58 Français tués. La FM se retirera début 1984.

Novembre-décembre : Combats dans le nord entre loyalistes et dissidents palestiniens, soutenus par Damas. Arafat et quelques milliers de ses partisans, encerclés dans Tripoli, quittent le pays.

Mars 1984 : Premier d’une série d’enlèvements d’otages occidentaux.

Mai-juin 1985 : Première « guerre des camps » entre combattants palestiniens et miliciens chiites d’Amal (pro-syriens).

Juin : Israël achève son retrait, mais maintient une force dans le sud pour soutenir l’Armée du Liban sud (ALS) d’Antoine Lahad.

28 décembre : Accord à Damas entre milices druzes, chiites et chrétiennes. Affrontements interchrétiens après le refus de M. Gemayel de le ratifier.

Février 1987 : 8 000 soldats syriens sont déployés pour pacifier Beyrouth-Ouest. En juin, le premier ministre Rachid Karamé est tué dans un attentat et remplacé par M. Selim Hoss.

Mars 1989 : Le général Michel Aoun, à la tête d’un gouvernement de militaires chrétiens, non reconnu par les musulmans, lance une « guerre de libération » contre Damas.

22 octobre : Accords interlibanais de Taëf (Arabie saoudite), qui établit un nouvel équilibre entre les communautés et définissent le cadre de la présence syrienne.

22 novembre : Assassinat du nouveau président René Moawad, remplacé par M. Elias Hraoui.

Janvier-mars 1990 : Guerre interchrétienne entre FL et les troupes du général Aoun, opposé à Taëf. En octobre, à la suite d’une offensive syro-libanaise, celui-ci est évincé du pouvoir et se réfugie en France. Fin de la guerre qui a fait en 15 ans plus de 150 000 morts.

22 mai 1991 : Traité syro-libanais « de fraternité et de coopération », qui officialise le rôle prépondérant de la Syrie.

Octobre 1992 : M. Rafic Hariri forme un gouvernement et lance la reconstruction de Beyrouth.

Juillet 1993 : Bombardements israéliens sans précédent depuis 1982 : 132 morts.

Avril 1996 : Opération israélienne « Raisins de la colère » destinée à briser le potentiel militaire du mouvement chiite Hezbollah : 175 morts, pour l’essentiel des civils.

24 mai 2000 : Israël se retire du Liban sud, mettant fin à 22 ans d’occupation. Le Hezbollah prend possession de la zone.

Octobre : Nouveau gouvernement de M. Hariri, vainqueur des législatives.

Juin 2001 : Premier retrait partiel des troupes syriennes, suivi par plusieurs autres.

2 septembre 2004 : A l’initiative de Paris et Washington, adoption de la résolution 1559 réclamant le départ des troupes syriennes et appelant au désarmement des milices.

3 septembre : Amendement constitutionnel prolongeant de trois ans le mandat du président Emile Lahoud (élu en 1998), en dépit des mises en garde internationales. Crise politique.

20 octobre : Démission de M. Hariri auquel succède M. Omar Karamé.

14 février 2005 : Rafic Hariri est assassiné. L’opposition accuse les régimes libanais et syrien.

28 février : Démission sous la pression de la rue de M. Karamé. Grave crise politique.

3 avril : Accord Syrie-Onu sur le retrait des troupes syriennes « au plus tard le 30 avril ».

19 avril : M. Nagib Miqati forme un cabinet restreint.

26 avril : Fin officielle de la présence syrienne au Liban.

7 mai : Retour du général Aoun après 15 ans d’exil.

2 juin : Assassinat du journaliste Samir Kassir, un des dirigeants de la révolte anti-syrienne, par ailleurs collaborateur du Monde diplomatique.

20 juin : M. Fouad Siniora est élu premier ministre du Liban. Il a été appuyé par le groupe présidé par Saad Hariri, Mouvement pour le futur, majoritaire à la nouvelle Assemblée.

21 juin : L’ex-chef du Parti communiste libanais Georges Haouwi, un proche de l’opposition antisyrienne, est assassiné dans un attentat à la voiture piégée à Beyrouth.

27 juin : Le ministre du travail a levé l’interdit frappant depuis 22 ans les Palestiniens du Liban (entre 200 et 350 000 selon les Nations Unies), concernant l’exercice d’une cinquantaine de métiers dans le secteur privé. Cette décision intervient au moment où une forte proportion de travaileurs syriens (centaines de milliers) ont quitté le pays, peu avant le retrait des troupes syriennes.

12 décembre : Assassinat de Gebran Tunéi, député et directeur du quotidien An-Nahar.

11 janvier 2006 : M. Kofi Annan nomme le procureur belge Serge Brammertz à la tête de la commission d’enquête sur l’assassinat de Rafic Hariri, en remplacement de Detlev Mehlis.

26 mai : Assassinat par Israël au Liban d’un dirigeant du Djihad islamique palestinien, Mahmoud al-Majzoub, tué avec son frère dans un attentat à la voiture piégée.

28 juin : Opération « pluies d’été » à Gaza. L’armée israélienne envahit le territoire.

12 juillet : Israël lance une opération de grande envergure contre le Liban, par air et par mer, à la suite d’une embuscade du Hezbollah, qui a tué 6 soldats israéliens et en a capturé deux autres.

21 juillet 2006

 

중동에 관한 특집 ...  

 

- Actualité (2002-2005)
- Historique
- Les dossiers de la négociation
- Internationalisation du conflit
- Les deux protagonistes
- Compléments documentaire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적오리 2006-07-24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