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mbiguous French ’No’ to the European Constitution
Mise en ligne :15 juin 2005
par WALLERSTEIN Immanuel

Fernand Braudel Center, Binghamton University. Commentary No. 163, June 15, 2005



On May 29, 2005, the French voted in a referendum not to ratify the proposed European constitution. Three days later, Dutch voters did the same. In both cases, the margin was solid. Since then, the world press has been filled with discussion about the future of Europe as a vision and as an institution. But the consequences of these votes is in fact extremely ambiguous.

Take the French vote. There were three groups which hailed the vote as a victory : the neo-cons in the United States, large segments of the French left (and particularly the alterglobalists), and rightwing Euroskeptics throughout Europe. In the U.S., William Kristol, editor of the leading journal of the neo-cons, the Weekly Standard, ended his editorial on "A New Europe ?" with "Vive la France." The proponents of the "no" on the French left celebrated in the streets of Paris. And rightwing Euroskeptics were delighted at last to win a round in their efforts to derail Europe.

Could they all have been right ? Let us see what they were celebrating. For the U.S. neo-cons, the French "no" (and the Dutch "no") were defeats for arrogant, anti-American European elites, and no doubt particularly for the current prime nemesis of the neo-cons, Jacques Chirac. "This is a moment of hope - for the prospects of a strong pro-American, pro-liberty, more or less free-market and free-trade, socially and morally and reinvigorated Europe," said Kristol.

For French alterglobalists, the "no" vote represented quite the opposite - both a rebuff to Anglosaxon conservative values and a rejection of neoliberalism as a program, as incarnated in the proposed Constitution, and as represented by the members of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bureaucracy in Brussels (and represented for them as well by Chirac’s government in France). And for the rightwing Euroskeptics, the vote represented a blow against this same Commission and this same Brussels bureaucracy, which stood in their eyes for imposing socialism on Europe. There was also a strong xenophobic element in the French "no" (and even more in the Dutch "no") - a rejection of the possible future admission of Turkey into the European Union, and an attack on the policies that had admitted so many Moslem immigrants into Europe.

Obviously, as in all referenda, the "no" vote put together very different groups with very different objectives. What seems to have provided the additional "no" votes to previous referenda in France were an increased percentage of Socialist and Green voters who were angry about the state of the economy and fearful of further "globalization" - a view they expressed by defeating the treaty. And what seems to have provided the additional "no" votes in the Netherlands is an upsurge of fears about Muslim immigrants in their country caused by recent very notable acts of violence.

Whatever the explanation of the votes, what are the consequences ? The "no" votes mean the definitive end of the proposed Constitution, since it required unanimous ratification, and there is zero likelihood that France or the Netherlands will have a second vote to undo the first. This does not, of course, mean the end of institutional Europe. The EU is left with the structure it has. The problem is that the existing structure was considered by most people to be inadequate to the needs of an expanded Europe, and the Constitution was supposed to improve the situation by reducing the need for unanimity in a number of areas, and by creating two central posts (a president and 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to increase political solidity. It may be some time before European governments try again to improve the present institutional structures.

Since one of the main problems that led both to the attempt to write a new Constitution and to the rejection of this very Constitution was the expansion of Europe from 15 to 25 members, further expansion may well be on hold. Bulgaria and Romania were scheduled to join the EU in 2007. The German Christian Democratic Union, presently expected to win the 2006 elections, has already announced that, once in power, they may veto or hold up these adhesions. The chances of Croatia, Macedonia, Ukraine, and of course Turkey to be allowed to join seem even thinner for the moment.

There are those who are quietly happy. One of them is Tony Blair. The French "no" has various positive consequences for him. It saves the United Kingdom from holding its own referendum in 2006 as promised, and therefore a probable public defeat for him. Blair can now contend that he was in favor of the defeated Constitution but that a British referendum is now irrelevant. Furthermore, Blair cannot be unhappy about the rebuff to Chirac (as well as to Schröder in the separate and earlier German regional elections). It is welcome relief from his difficulties at home because of his Iraq policy. Blair may now try to put himself forward now as the leader of Europe.

Kristol’s editorial no doubt reflects the mood of the Bush regime. They have been trying for four years to throw a monkey-wrench into a stronger Europe. The rej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onfusion that it is causing is the first good news they have had in two years on that front. In the long run, Europe will no doubt continue to pull away from U.S. domination but Bush at this point is more concerned with the short run, and in the short run the French "no" is definitely helpful to him.

As for the French alterglobalists, what have they gained ? They have demonstrated an increased strength within the family of all those left of center in France. Indeed, the French Socialist party and the Green party are both in turmoil as a result of the vote. There may be important realignments and it is not at all sure that the French rainbow coalition of the left can reconstitute itself in a way that will enable it to win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s, especially if the center-right coalition manages to get its act together better than the center-left coalition.

Have the alterglobalists made a major impact on the struggle against neoliberalism in the world-economy ? They were already doing well due to the rise of protectionist sentiment throughout the countries of the North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east Asia). The vote in France is a reflection of this. But will this vote accelerate the movement ? That depends on two things. One is whether the alterglobalists can separate in the popular mind the fight against neoliberalism from the xenophobic, anti-Islamic sentiments that are overtaking much of Europe. And the second is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Bush regime continues to erode in the geopolitical arena, and it is therefore unable to capitalize on the setback to European political integration.

Many people in Europe are saying that now is the moment to "start over" in the whole exercise of European unity. The problem from the beginning has been that a more social Europe is not possible unless it is a more federal Europe. But significant segments of the European left (and not only the left in France) have always been afraid that a more federal Europe meant an undermining of the social achievements in their own country. Until the European left is ready to test its strength and fight its fight within a more federal European structure, it is going to go from confused referendum to confused refendum, find itself weakened internally in the struggle to maintain national social achievements, and find Europe unable to play the world geopolitical role vis-à-vis the United States that the European left wishes it to play.

by Immanuel Wallerstein, june 15th, 2005. Article paru sur le site du Fernand Braudel Center

[Copyright by Immanuel Wallerstein. All rights reserved. Permission is granted to download, forward electronically or e-mail to others and to post this text on non-commercial community Internet sites, provided the essay remains intact and the copyright note is displayed. To translate this text, publish it in printed and/or other forms, including commercial Internet sites and excerpts, contact the author at immanuel.wallerstein@yale.edu ; fax : 1-203-432-6976.

These commentaries, published twice monthly, are intended to be reflections on the contemporary world scene,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not of the immediate headlines but of the long term.]




Association du réseau :
Initiatives pour un Autre Monde
21ter rue Voltaire 75011 Paris - Franc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검둥개 2005-06-26 15: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구 오랜만에 제게는 복잡한 글이네요. 발마스님, 좋은 글 올려주셔서 잘 읽고 갑니다. 결국 유럽좌파의 두려움은 그들이 이룩한 사민주의 시스템에 대한 불안이었나요. 어쩌다가 그런데 블레어가 이 기회에 유럽의 지도자로 등극할 기회를 노릴 수 있게 되는지는 ㅠ.ㅠ 정세에 어두운 저로서는 갸우뚱했답니다 :)

balmas 2005-06-26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 이 글은 월러스틴의 관점에서 쓴 글이라는 걸 염두에 두고 읽으시면 될 것
같아요. 유럽 좌파가 두려워하는 것 중 하나는 개별 국민국가가 이룩한 성과(복지국가라고 해도 좋고 사회국가라고 해도 좋고, 또는 사민주의라고 할 수도 있겠죠)가 오히려 유럽의 구성에서 후퇴할지도 모른다는 데 있다는 월러스틴의 지적에는 동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를 민족주의적, 곧 보수주의적 반발로 해석해서는 곤란하고, 더욱이 유럽 헌법안에 반대하는 좌파의 문제제기를 거기로 모두 환원시킬 수는 없겠죠. 다른 글들을 좀더 읽어보시면 이 점이 분명해지리라 생각합니다.
블레어에 관한 지적은, 블레어 정부는 유럽 구성에 반대하거나 적어도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는데, 이제 유럽 구성을 주도해온 프랑스에서 유럽 헌법안이 부결되었으니, 블레어의 정치적 입장이 더 공고해졌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것을 곧바로 블레어가 유럽의 지도자로 등극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좀 무리라고 봅니다.
 

 

* 반대파들이 대체적으로 전개하는 전형적인 주장을 보여주기 때문에 옮겨보았다. 불어 텍스트가 다소 모호할 경우, 이 글의 영어판을 참조해서 다소 수정했다.

http://econon.free.fr/appel.html


[유럽 헌법안에] 반대하는 경제학자, 연구원, 교원들.

우리 경제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본질적인 이유 때문에, 유럽 헌법안의 기획에 '반대'하여 투표할 것이며, 그럴 것을 호소한다.
그것은 사실상 자유주의적인 정치에 대한 모든 대안을 금지한다. 그것은 사회적 권리들을 경쟁 원리에 종속시킨다.

국민 투표에 부쳐진 텍스트의 3부 (연합의 정책들)은 이전 안들의 재탕에 불과하다. '찬성'에 투표할 경우, 시민들은 20년 동안 유럽을 이끈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정책의 손익 계산서는 끔찍하다. 그 정책은 경제 성장이나 고용을 뒷받침하는데 무기력했으며, 지속적인 사회 보장의 후퇴를 이끌었다 (공공 서비스의 민영화, 사회 보장 시스템의 파괴, 불평등과 빈곤의 증가).

이번 안에 기본 권리 헌장 (2부)을 집어넣었다고 해서, 그것이 하나의 전진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흔히 할인 판매로 정의되는 사회적 권리들은 3부의 구속적인 규정들의 틀에 끼워맞쳐져 있다. 조화를 주장하는 모든 의지주의적인 논리는 명백히 배제되며, 헌법안은 뿌리깊은 자유주의 논리를 따라, 그러한 조화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결국 시장의 자유로운 게임에 그것을 내맡긴다. 사실상, 유럽 헌법안은 사회 시스템의 경쟁을 조심스럽게 조직하고 있다. 사회 시스템의 기준이 각 나라별로 너무 다를 때 - 이것은 현재의 확장된 유럽의 상황인데-, 사회적 조직화를 상위의 수준에서 서로 조화시키려는 의지가 부재하다는 것은 결국, 그 기준을 하향 조정하면서 조화시키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헌법안은] 유럽의 모든 구축에 있어서 오로지 일반화된 경쟁만이 주민들의 안녕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가설에 기초한다 ! 하지만 이러한 가설은 거짓이다. 지나간 역사, 그리고 몇몇 유럽 국가들의 성공은 경쟁을 제한하고 틀지울 수 있는 다양한 경제 배열 양식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유럽 헌법안이 하고 있는 것처럼, 자유주의적 원리에 대한 청원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 정의를 결합하는 길을 새롭게 탐구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유럽 건설 구조는 우리가 주장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을 가로막는다. 사실, 공동체의 수준에서, 모든 제도적 장치들, 그리고 특히 자격 요건을 갖춘 다수에 복종하는 사람들과 국가 구성원들의 만장일치를 요구하는 자들 사이의 경쟁 영역의 배치는 유럽 건설이 계속 게걸음(옆걸음) 치도록, 즉 자유주의적인 정통 교리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것을 위해서, 사회적인 것을 위해서는 간신히 조금 신경써주는 방식으로 구상된다.

요컨대, 이 헌법안의 기획은,
반-경제적이다 : 그것은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적어도 20년 동안이나 그에 대해 끔찍한 경험을 해왔던 정책들을 절대적인 규범의 지위로 승격시킨다.
반-사회적이다 : 그것은 사회적 권리들을 경쟁이라는 더 상위의 원리에 종속시킨다.
반-민주적이다 : 그것은 자유주의와는 다른 정치를 도입할 모든 가능성을 차단한다.
마지막으로, 이 기획은 반-유럽적이다 : 그것은 사회적 조직망을 발기발기 찢어버릴 뿐 아니라, 인민들을 온통 경쟁이라는 힘으로 서로 서로 대치하게 만든다. 그리고 결국에는 그들이 유럽이라는 관념 자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끝날 격분의 상태로 이끈다.

진정한 유럽인이란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자들이 아니다 !

<유럽 헌법 기획에 반대하는 12명의 경제학자들>의 저자들인, Bruno Amable, Jean Gadrey, Liêm Hoang-Ngoc, Michel Husson, Frédéric Lordon, Jacques Mazier, Stefano Palombarini, Christophe Ramaux, Gilles Raveaud, Aurélien Saïdi, Damien Sauze, Bruno Théret의 제안에 따른 호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래 글에서 말씀드렸듯
이 사람은 네그리의 동료라고 하는데
이번 문제와 관련해서는 이견을 제시하고 있군요.

-------

네그리... 스칼쪼네 : 유럽 헌법안에 대한 프랑스의 국민 투표

꼬리에 드 라 세라가 인터뷰함, 2005년 5월 15일
칼과 로자가 이탈리아어에서 불어로 번역함.

원문 : https://lists.resist.ca/pipermail/aut-op-sy/2005-May/001698.html


유럽 헌법안에 대한 프랑스의 국민 투표는 초국가적인(transnational) 첫 번째 주요 논쟁이 되고 있다. 국가의 수반에서부터 당 지도자들을 거쳐 지식인들에 이르는, 외부의 행위자들이 선거 운동에 점점 더 많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리베라시옹>의 지면에서, 노동자의 힘(Potere Operaio)의 설립자인 토니 네그리 교수 - 최근에 프랑스 비평가들에 의해 '새로운 맑스'라고 평가받는 - 는 놀랍게도 [유럽 헌법안에] 찬성하는 입장에 섰다. '현실주의적 혁명가'로 자임하면서, 교수[네그리]는 유럽 헌법이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자본주의에 대한, 그리고 미 제국의 초자유주의에 대한 대륙적인 대안 모델로 향해갈 수 있는 통로라고 주장한다. 만일 우리가 기본적인 인권과 사회적 유럽의 원리들을 긍정하는 연방주의적 모델의 가능성을 믿지 않는다면, 대안세계화론자라거나 반자본주의자라고 스스로 내세울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환상을 품지는 않으면서 말이다.

토니 네그리에게, 그의 옛 제자이자, '엄청난 해' 동안 [네그리와] 길을 함께 걸었던 동지인 오레스트 스칼쪼네가 답한다. 그는 엄청났을 뿐 아니라, 납과도 같았던 이 기간 동안에 투옥되었던 사람들의 사면을 요청하는 단식 투쟁을 막 끝내고 온 참이었다.

O.S. : 전제는 이렇습니다. 찬성은 미국에 반대하는 투표이고, 반대는 르 펜을 위한 투표라고 말하는 식의 단순화 - 사람들은 그것을 통해 어떤 대가를 치뤄서라도 불화와 대조를 보고자 원한다 - 는 내게 부조리한 것 같습니다. 반대에 투표를 하는 사람들은 모자란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것도 마찬가지구요. 이것은 이성적으로 추론하는 것을 가로막는 추론 방식입니다. 이것은 또한 찬성과 반대 사이에 [또 다른] 진정한 대안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럽은 어쨌든 지속될 것이고, 그 체계는 자본주의적인 채로 남아있을 것이며, 때에 따라서는 우리가 이미 들었듯이, 두 번 투표를 하는 것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이 만일 투표를 해야한다면, 당신은 프랑스의 극좌파 혹은 전 총리인 로랑 파비우스를 인정하는 사회주의자들의 분파처럼 [반대에] 투표를 할 것인가요?

O.S.: 나는 파비우스에 대해 어떤 동감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감정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인 이력상, 나는 반대에 투표하는 사람들이나 운동과 더 가깝습니다. 저는 그들이 주장하는 근거를 공유하기도 하구요. 마찬가지로 저는 선(善)의 근거들이 찬성의 편에 있다고 설명하는 기관의 거만한 간섭주의(paternalisme)도 거부합니다. 네그리같은 맑스주의자이자 스피노자 전문가가 헌법안을 혼동된 규칙과 개념의 잡탕으로 간주하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헤겔은 법(권리)이 어떤 한계를 넘어 경주의 리스트가 된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유럽 헌법안이 사회적, 시민적 권리들의 수준에서 커다란 전진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비단 네그리 뿐만이 아닌데요.

O.S.: 많은 이들이 그 텍스트를 읽지 않았죠. 헌법안은 국민국가적 법률에 대한 오싹할 정도의 위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 우리는 전체주의적인 민주주의로 향해가고 있습니다. 국경 통제, 이민자들, 공권력의 사용, 일탈자들에 대한 처벌에 대해 행해지고 있는 각종 제안들을 보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법의 이름으로, 사宕湧?또한 안보와 처벌이라는 고민거리에 대한 답변을 찾고 있는 중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혁명가인 네그리와 마찬가지로, 심지어 시라크조차도 유럽 모델이 미 '제국'(imperium)에 맞서, 전행성적인 통치성에 재평형을 가져오는 요인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런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람들은 보다 강하고, 보다 연합된 유럽은 미국의 공격 속에 있지 않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O.S.: 사람들은 이 헌법을 통해서 유럽이 보다 강력해지리라는 것을 증명해야만 합니다. 저처럼 맑스를 참조하는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미국적이지도,중국적이지도, 유럽적이지도 않음을 이해해야만 합니다. 자본주의는 도처에 있습니다. 그것은 세계적인 모델이죠. 자본주의를 변혁하고, 그것에 맞서 싸운다는 것은 도처에 있는 메카니즘들을 토론에 부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적어도 유럽이나 미국 사람들의 삶이 소위 진보, 내일 항상 보다 나아진 세계가 되라는 약속에 다양하게 의존한 채로 남아있는한, 다소 자유주의적인 유럽이 미국의 신보수주의자들의 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이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반대로 현재는 사회적 획득물들에 대한 축소와 해고로 이뤄집니다.

토니 네그리는 연방주의에 의해 국민-국가들이 종말을 고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데요.

O.S.: 그것이 바램인 한에서, 저는 그 점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국민-국가들은 연방 유럽이나 초 국가의 창설을 통해 끝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보다 강하고, 보다 연합된 유럽이, 석유를 위한 이라크에서의 십자군이라고 네그리가 정의한 것에 대립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도 당신에게는 매혹적이지 않은가요?

O.S.: 그것이 현실적이었더라면, 매혹적이었겠죠. 유럽은 NATO에 남아있습니다. 유럽의 일부는 전쟁에 들어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기파괴로 향하는 휴머니티 경주를 멈추지 않는한, 맑스주의자들이 그래야하는 것처럼, 우리가 현실에 대해 진정으로 성찰하기를 멈추지 않는한, 저는 평화적인 지평의 메시아주의를 믿지 않습니다. 늘 그렇듯, 사람들은 제가 몽상가라고 말합니다만, 유럽 헌법안에 대한 찬성이냐 반대냐의 질문은 저에게 부시냐 사담 후세인이냐같은 선택지를 떠오르게 만듭니다. 그것은 불일치를 죄악시하고, 혐의를 들이밀고, 비판을 공박하는 것에로 이르는 변형적인 마니교입니다. 그것이 과연 민주주의와 관련된 것일까요?

(양창렬 옮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ultitudes]라는 좌파 잡지에 실린 글입니다.
기본적으로는 하버마스 비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텍스트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하버마스/데리다의 텍스트는
아마 [테러 시대의 철학]에 부록으로 실린 그 글인 것 같습니다)
네그리적인 입장과는 어느 정도로 친화적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Multitudes] 안에는 네그리로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입장이 있는데다가
다음에 올릴 글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네그리 입장과 관련해서는
자율주의자 안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니까요.
아래 라자뤼스 얘기에서도 나왔듯
이번 국민투표 문제를 거치면서 세력들/입장들의 분열과 (정세적) 수렴이
그 어느 때보다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는만큼
이전까지 우리가 갖고 있던 세력들/입장들에 대한 표상 가지고는
지금 사태의 추이를 가늠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입장을 읽어보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완역이 아니라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

이브 씨똥, "포스트-정체성의 유럽을 향하여" 정리
<뮐티튀드> 14호, 2003년 가을호.

원문 : http://multitudes.samizdat.net/article.php3?id_article=1173


최근 한 텍스트는 '도래할 유럽의 매력적인 비전'의 토대들을 절합할 것을 제안했다. 위르겐 하버마스가 작성하고, 자끄 데리다는 이것을 보증[지지]해주었다. 서명자의 명성 때문에, 유럽과 세계의 인텔리겐챠에게 영향을 미친 이 텍스트는, 그 훌륭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도덕주의적인 자세, 그리고 도래할 세계보다는 과거의 유럽에 더 속해있는 정체성의 문제틀에 빠져있다.


도덕화된 유럽의 여섯 가지 맹점

1) 도덕적 의무. 텍스트의 첫 두 문장이 의무를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유럽은 저울에 자신의 무게를 재보아야 한다', '우리는 두 날짜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의무의 표현은 현대 정치 담론에 오히려 구성적인 것이며, 의지주의자의 자세를 보여줌. 즉, 사태가 어떻게 왜 그런지에 대해서 말하는 것에는 무능력함. 결국 텍스트 마지막에, '정치의 도덕적 원리들'에 명시적으로 호소하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유럽에 대한 이러한 회고주의적 비전은 도덕이 세계를 지도할 것이라고 믿는다. 즉, (영구 평화의 세계에 도달)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유럽을) 원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듯이.
2) 법. 자유로운 선택 및 도덕적 의무의 형이상학은 자연스레 법을 강조하는 것으로 번역됨. 2003년 2월 15일 유럽의 거리로 뛰쳐나온 군중들이 부시와 그의 도당들을 비판한 것은, '국제법에 반대되는' 행동이 된다. 개인과 국민국가는 의무의 주체이기 때문에.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그 주체들은 계약을 한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슈퍼파워'는 그것이 법을 신성시하지 않아서 비난받은 것이지, 그 텍스트에서, 법은 역량이나 힘의 용어로 번역가능한 것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3) 국민-국가. [그네들의 시각에서] 국제법의 주체 그리고 국민국가의 법의 조작자는 자명하게도 국민-국가들이다. 세상의 어떤 다른 이가 국가간의 계약에 들어가고, 법을 공포하고 할 수 있겠는가?
4) 정체성의 문제틀. Nation이 국가에 대한 사유를 지배하는 한에서, 이런 류의 접근에서 중심적인 문제는 '유럽의 정체성'이라는 것이며, 그 역사의 '뿌리' - 프랑스 혁명, 세계 전쟁, 전체주의, 쇼아 등등 - 를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회고주의는 가장 명백히 나타난다. 즉, 미래의 유럽을 떠올리기 위해서는 과거로 되돌아가야 할 뿐 아니라, 정체성의 문제는 '유산'이라는 용어를 통해 제기된다. 여기에서 우리는 n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 nati, 즉 출생을 재발견한다.
5) 유럽중심주의. 유럽의 정체성이 동일성주의와는 달리, 차이를 인정하고, 이타성 속에서의 타자를 승인하는 것이며, 이것이 공통의 정체성을 표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구 유럽은 이미 제국주의의 쇠퇴에 직면해야 했으며, 그러한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는 데, 이 와중에서, 미국이라는 적의 편재하는 유령 이외에, 유럽만이 세상에서 유일하다는 식으로 보인다. 오로지 '런던, 로마,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베를린, 파리의 거리'에서만 이라크 침공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다고 말하면서 말이다. 정교분리원칙이나, 이타성에 대한 승인, 사회 정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 텍스트만 읽으면, 마치 유럽이 행성의 나머지로부터 고립된 채 그런 관념들을 발명해낸 듯이 보인다.
6) 칸트. 그 텍스트의 마지막 단어들은 칸트를 위한 것이다. '유럽의 정치적 프로필의 역사적 뿌리들'은 '세계적인 내적 정치의 형태로 칸트의 희망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다' 텍스트 초반부터 칸트의 틀은 적용되었다 (도덕적 의무, 국제법의 토대에 대한 범세계주의적인 질서, 공적 공간의 계몽 등). '세계적인 내적 정치'에 대해 말하는 것은 사실상 텍스트의 나머지 부분이 짜놓은 틀을 이중으로 넘어서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한 편으로, 우리는 세계에 놓여있다라는 것. 다른 한편으로, '내부 정치'라는 관념은 이 세계를 전지구적 거버넌스의 조절적 심급하에 두도록 만든다.

아이러니한 대칭

자끄 시라크는 이라크 위기를 착취함에 있어서 부시와 가장 가까웠다. 둘 모두 지정학적 문제를 데마고지의 대상으로 만들 줄 알았다. 서로가 대립함에 있어서도, 두 인물은 거의 완벽한 대칭 거울이었다. 그러나, 칸트적인 가치, 자유, 법치 국가, 민주주의를 말하는 위르겐 하버마스의 호소는 위 둘과 마찬가지의 아이러니한 대칭에 참여하게 된다. 부시와 블레어가 '도덕적 의무의 이름으로' 비도덕적이고, 정당하지 않은 압제자의 세계를 해방시키기 위해 개입해야 한다고 말한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지식인들은, 유럽이 미국의 슈퍼파워의 헤게모니가 지닌 비도덕성과 비정당함에 저항해야 한다고 응수하면서 마찬가지로 도덕적 의무에 호소했던 것이다. 이라크에 개입하면서 말한 것도 바로 이 '도덕적 의무의 이름으로'였다. 우리 저자들이 유럽의 사유에서 찾고 있는 '뿌리'의 '정치적 운명'이란 것은 미국 공화주의 이데올로그들이 말하는 '신성한 미션'과 너무 가까운 것이 아닌가?

전승된 정체성에 반대하는 발명

그러한 정치적 운명에 대한 주장은 그 텍스트가 제기하고 있는 정체성의 수사학의 핵심이다. "전 유럽 시민에게서 정치적 운명에 대한 의식을 기초하는 경험들, 전통들, 공통의 경험(형질)은 도래할 유럽의 매력적인 비전의 토대에 복무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통된 과거, 유산 등을 끌어들여야 하는 필요성이 나온다. 유럽이 물론 무로부터 구성되어서는 안 되는 것은 옳은 말이지만, 장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재를 바라보는 것이 과거를 다시 기억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다. 유럽적 사회의 생성을 이끌기 위해서는 '인정해야할 전통'과 '거부해야할 전통' 사이의 선택이란 (힘을 가지고 표면을 만들기 시작하고 있는) 스피노자적인 전통과 (지난 30년간 정치적 사유를 먹여살려온) 칸트적 전통 사이의 선택을 거쳐야만 한다. (과거의 '승인' 뿐 아니라) 현재에 대한 인식을 통해 절합되는, 그리고 스피노자적인 존재론에 의해 그 내용이 채워지는, '도래할 유럽의 매력적인 비전'이란 무엇일까? 유럽 자체와 마찬가지로, 그런 비전은 당연히 아직 발명해야할 것으로 남아있다. 유럽 통합은 pro-jet, 즉 그것의 논리와 정당성을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에서 찾으러 가야한다. 즉, 이미-알려진 것은 본성상 불충분한 그런 발명.

도래할 유럽의 매력적인 비전을 위한 여섯 가지 사항

1. 의무에서 역량으로. 모든 도덕적 담론은 이제는 유지할 수 없는 자유 의지의 형이상학에 기초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만일 내가 개인이 자유롭고 그의 선택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사람들은 나로 하여금, 그 개인의 지나간 '잘못들'을 '처벌'하도록 이끌 것이다. 또 나는 선, 악, 그것들 각각의 축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사회 과학에 의해 지난 한 세기 동안 발전된 원인에 대한 인식들이 제공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축소시키게 될 것이다. (...) 우리의 현실을 짜고 있는 (유럽에 대한 정체성 담론이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지식 경제, 인지 자본주의라는 틀 속에서, 대륙의 진정한 역량은 공동 방어의 정치(이것은 범세계주의적 법에 대한 칸트적인 도덕성에 고개를 숙이는 것이다)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구성하고 있는 다중들의 교육과 발명의 수준을 높이는 우리의 능력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2. 신성화된 법에서 법(권리)의 역량으로. 과거의 환영들을 보기보다 현재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마찬가지로, 유럽을 '정치의 도덕적 원리'나 국제법에 대한 존중과 잇는 주장이 프랑스-독일 지식인들의 꿈과는 다른 곳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지 자문할 수 있다. 유럽의 협상자들은 국가 이익을 방어하는 것에 불과하고, 외무부 장관들은 날마다 적법성에 대해 그다지 고민하지 않는 체제들과 계약을 맺는다. 이 모든 유럽의 행위자들은 두 번째 판에 있어서 정치의 도덕적 원리를 거쳐가기를 주저하지 않는 듯이 보인다. 물론, 우리는 법으로부터 제기되는 문제틀이 무가치한 것이라고 선언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사유 역량은 구체적으로 법의 상태에 근거한다. 그리고 그것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인류의 생존을 조건짓는다. 중요한 것은, 스피노자와 더불어, 우리 모두가 그것에 의존하고 있는 법이 위에서 문제가 되었던 역량의 또 다른 측면에 다름아니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칸트와 스피노자의 근본적인 차이는, 칸트가 순수한 힘의 논리를 상쇄할 수 있는 초월적 원리로서의 법을 신성화할 것을 주장했다면, 스피노자주의는 힘 없이는 법도 없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인간들 사이의 권력 관계 내에는 법에 고유한 역량이 있다. 바로 그것이 포스트-국가적 질서를 둘러싼 현재논쟁의 쟁점이다. (유럽의 혹은 지구적인) '국제법의 토대'를 방어하는 '범세계적 질서'는 법에 대한 승인 위에서만 기초할 뿐, 스스로 구성되거나 발명될 수는 없다. 그리고 그것은 행위자들 사이의 역량 관계에 적합한 인식에 대한 관계를 가져올 수도 없다. 행위자들은 모두 그네들의 역량을 실현하고 영속시키기 위해서는 법을 필요로 하므로, 현대 세계에서의 법의 역량을 분석함으로써만, 우리는 범세계적 질서에 실제적인 실존을 부여할 수 있다.
3. 슈퍼 국민-국가에서 지구화된 조절로. 유럽 헌법을 기안하는 것이 제기하는 문제는 결국 국가를 재정의하는 문제다. 모두가 EU에 의해 집중화된 결정과, 지역적 행위자들의 탈집중화된 결정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모두가 유럽이라는 것을 단일한 조정 심급으로서가 아니라, 수 천 겹의 중첩 형태로 사유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유럽을 사유하는 것은 지금 이대로 존재하는 유럽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 구성은 '주권의 지붕'이 아니라, 한 층을 더 짓는 것, 즉 그것의 실제 지붕은 지구적 차원에서 지정되는 그러한 것을 말한다. 유럽 구성(헌법)을 발명해야하는 현재의 과제는 그것이 전지구적 구성의 물꼬를 트는 것으로 구상될 때에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4. 전승된 정체성으로부터 모방적 발명으로. '유럽 정체성'이라는 정의는 하버마스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성찰(계몽과 근대성의 기획)의 노선에 위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획은 그것의 논리상 이미-구성된 집단성을 통해 정체성을 정의하는 모든 접근으로부터 거리를 취하는 것을 함의한다. 가브리엘 타르드가 잘 밝혔듯이, 독창성이란 기원이나 타자의 고립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의 스스로를 풍요롭게 만드는, 스스로를 다양화하는 동학의 결과 속에 위치해 있다. 만일 우리가 계몽주의의 기획에 충실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정체성을 모방하면서 발명하는(발명하면서 모방하는) 것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모방적 발명은 타자의 배제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타자를 포함시키는 것에 기초한다.
5. 유럽 중심주의에서 다중들의 상호작용으로. 유럽이란 것이 우리가 세계적으로 되어가는 과정 중에서 이미 와해되고 있는 중인 것과 마찬가지로, 유럽적인 근대성의 기획은 논리적으로 유럽 중심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이를 것이다. 오늘날 유럽 구성(헌법)을 사유하는 것은 유럽을 전지구성 속에 기입하는 것을 사유하는 것이 된다. 이 사유가 우리 세계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귀를 더 잘 기울일수록, 이 구성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행성의 다중들이 다소 직접적인 방식으로 내일의 제도를 주조할 것이다. 범세계적 질서를 구축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우리 유럽인들이 유럽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다중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으면 있을 수록, 우리는 인류의 해방과 번영을 보장하는 유럽의 기획의 한 가운데에 있을 것이다. '유럽의 공공 영역'이라는 문제, 특히 그것의 경제적 하부구조의 문제는 그것이 유럽 바깥의 다중들이 통합되는 지평에서만 제기될 수 있다.
6. 칸트에서 스피노자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니엘 벤사이드, "좌파는 전 리스트에서 패배할 위험이 있다"
<리베라시옹>, 2005년 5월 18일

다니엘 벤사이드(철학자, LCR(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의 지도자)가 5월 13일자 <리베라시옹>에서, ‘현실주의적 혁명가’의 신념이라는 이름으로 유럽 헌법에 대해 찬성을 주장한 토니 네그리에 답한다. 이것은 다니엘 콘-방디와 쥘리앙 드레와의 미팅에서 같은 날 전개된 의견이다.

원문 : http://www.liberation.fr/page.php?Article=297302


토니 네그리는 국민-국가를 끝장내고 미제국에 맞서 싸우려는 의지로 [유럽 헌법안에 대한] 그의 찬성을 정당화했습니다. 당신은 이러한 전략을 이해하십니까 ?

벤사이드 : 그의 주장은 놀랍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유럽은 진보적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에 따르면 유럽은 « 자본주의적 엘리트들의 조직화 형태로서의 국민-국가를 넘어설 것 »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된다면, 유럽은 어떤 새로운 국가, 오히려 정치 권력은 더 적게 가진 원형-국가(proto-Etat)가 될 것입니다. 사실상, 그것은 시장 전제주의일 것입니다. 특히, 오늘날의 자본주의적 엘리트들은 유럽 헌법에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그래왔고, 계속 그렇게 될 것으로서의 유럽에 찬성하는 것이죠. 그리고 네그리는 « 국민-국가는 시장이 조직화되는 장소이다 »라고 덧붙이고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제 팔이 축 늘어지는군요 [지치는군요] ! 시장은 오늘날 유럽의 메카니즘을 통해서, 중앙 은행을 통해 시작되도록 조직되고 있습니다. 사실, 국민국가적, 유럽적, 세계적 공간들은 서로 얽혀 있습니다.

토니 네그리는 낡은 형태의 제국주의를 쓸어버리기 위해서는 부르주아지와 연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

벤사이드 : 부르주아지의 가장 진보적인 부분과 연합해야한다는 주장은 모든 개량주의적 포기들[에 전형적인] 주장입니다. 그런 방식으로 미국을 견제하여 평형을 이루게 만든다는 것은 환상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국 미국의 조절 모델을 답습하는 것이며, 게다가 [미국에 버금가는] 군사력도 없이 말이죠 ! 미국식 모델에 대한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바로 이것이 진정한 도전(어려움)입니다. 유럽 헌법을 적용한다고 해서 그것이 사회적 유럽을 재개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미지의 땅으로 가는 여권이죠.

그렇다면 ‘자유주의에 공물’을 바치는 것[자유주의를 인정하는 것, 즉 네그리가 말하는 자유주의 선진 부르주아지들과의 연합을 우회적으로 빗대는 말로 보임]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인가요 ?

벤사이드 : 누가 그것을 지불할 것인가요 ? 토니 네그리가 지불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것은 축소된 마키아벨리즘에서 나온 주장입니다. 약속과는 달리, 유럽의 구성은 항상 더 많은 실업, 더 많은 불안정 고용, 그리고 항상 더 적은 사회 보장입니다. 만일 악마[자유주의]와의 협약으로 네그리가 구상해낸 이 대가를 인민들이 지불한다면, 유럽은 반감에 휩싸일 것입니다. 제가 지적하고 있는 [현재의] 유럽의 기획은 어떤 공격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것은 비단 프랑스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네그리의 행보는 제가 보기에 아주 이데올로기적입니다. 그것은 사실 그 자신의 논리를 따르는 것입니다. 그 논리가 상황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서 말이죠.
이러한 [유럽] 구성은 20년간의 자유주의적 반-개혁을 비준하고 영속시킵니다. 그것은 확실히 유럽 내의 실질적인 세력 관게를 번역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한 발자국] 더 퇴각하면서, 우리에게 유리하게 그것을 재정립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반대로, [유럽 헌법안에 대한] 반대가 이러한 전복을 가능케 하리라는 것입니까 ?

벤사이드 : 왜 파비우스[프랑스 사회당의 제 2인자. 유럽 헌법안 찬성이라는 사회당의 당론에 맞서 반대를 주도했으며, 결국 국민 투표 결과에 따라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가 이 전투에 뛰어들었을까요 ? 단순히 정치가로서의 동기때문은 아닐 것입니다. 그는 또한 전적으로 합리적인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좌파가 권력으로 회귀한다[권력을 다시 장악한다]는 가정 속에서, 좌파는 결국 유럽의 전체적인 강제들에 의해 속박될 것입니다. [유럽 헌법안에 대한] 찬성이 승리한다면 유럽 내에서의 대안적 정치를 추진하는 것을 방해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압박을 푼다는 것은 단순히 임금을 인상하고, 고용 안정 협약을 완화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러한 정치를 가능케 하는 수단을 가져야만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화폐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손에 쥐거나, 공공 서비스를 발전시키면서 말입니다. 이것은 보잘 것 없는 수정안이 아닙니다. 그렇지 않으면, 좌파는 전 리스트에서 패배할 위험이 있습니다. 좌파는 프랑수와 베루[UDF(프랑스 민주 동맹) 대표]와 별 차이 없는 정치를 가지고서는 유권자를 장악할 수 없을 것입니다.

네그리, 대니, 이들 동일한 길을 걷고 있는 ‘쥐쥐(Juju)’( ?) 는 우리가 급진적이면서도 [유럽 헌법안에] 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건가요 ?

벤사이드 : 토니 네그리, 쥘리앙 드레 그리고 다니엘 콘-방디는 도처에서, 스스로 돌아온, 일군의 68세대를 이루죠. 연출을 넘어, 그네들은 신념을 표현합니다. 콘-방디는 정말로 자유주의적이고, 자유주의자죠. 네그리는 재난을 초래하는 추상화로 보이는 논리적 추론을 따르고 있구요. 쥘리앙 드레는 확실히 진지하긴 한데, 보잘것 없는 장치 속에 더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거기에는 슬픈(불길한) 면을 지닌, 하나의 수렴되는 다발이 있습니다. (양창렬 옮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