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를 하나 할게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난 6월 3일에 [트랜스토리아] 2005년 상반기호(통권 5호)가 출간되었습니다.
[트랜스토리아]는 역사학을 공부하는 분들이 박종철 출판사에서 펴내고 있는 역사학 이론 학술지인데요,
좌파적인 관점에서 역사학의 문제설정을 쇄신해보자는 취지로 창간되었고, 또 계속 그런 관점에서 책을
펴내고 있습니다. 편집 위원들은 [트랜스토리아]의 목적은 단지 역사학을 새롭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역사학이라는 분과화된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고 변화시키는 데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뜻에서
본다면, "전환"을 의미하는 접두어 "트랜스trans"와 "역사"를 뜻하는 "이스토리아istoria"를 합쳐서
[트랜스토리아]라는 제목을 정한 것은 이 학술지의 취지와 매우 잘 들어맞는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취지에 걸맞게 [트랜스토리아]는 매호마다 특집 주제를 정해서 다뤄왔는데요,
창간호에서는 [포스트식민주의와 서발턴 연구],
2호에서는 [식민/포스트식민: 역사와 민족주의의 구성적 모순],
3호에서는 [바바와 그 외부],
4호에서는 [서발턴/여성과 포스트식민적 재현의 문제] 및 [근대(성)와 폭력] 이
각각 특집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5호는 바로 [스피노자의 현재성]이라는 특집을 주제로 삼고 있답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저하고 제 후배가 쓴 글하고, 또 제 후배들이 번역한 프랑스 스피노자 연구자의 글이 두 편 실려
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현대 (유럽) 스피노자 연구의 동향을 살펴 보기에는 매우 좋은 특집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구입과 독서를 바랍니다.
결국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거죠. ^^;;;
그런데 보니까 알라딘에서는 1-4호는 판매하고 있는데, 5호는 아직 입고가 되지 않았는지 책소개가
없네요. 교보문고나 리브로, 반디북 같은 데서는 팔고 있네요. ^-^
아래 그림은 리브로에서 가져온 그림입니다. (교보문고에는 엉뚱하게도 2호 목차가 나와
있더군요.) 아래에 이 책의 목차를 적어 놓았으니까 참고하세요. ^-^

[차례]
편집인의 말 4
특집: 스피노자의 현재성
대중들의 역량이란 무엇인가?: 스피노자 정치학에서 사회계약론의 해체 II --- balmas 13
알튀세르와 들뢰즈를 통해 본 스피노자 철학의 문제 --- 김은주 51
스피노자라는 거울에 비친 맑스주의 --- 앙드레 토젤 93
운과 역사 이론 --- 피에르 프랑수아 모로 129
일반 논문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을 민족주의적으로 재구성하기: 하나의 해석 --- 장문석 143
아시아라는 사유 공간 속의 미스터 몬스터와
식민적 판타지를 횡단하는 <하녀> --- 주창규 175
서평
소극의 시대와 벤야민 읽기 --- 신승환 215
수잔 벅-모스, 김정아 옮김,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문학동네, 2004)
필자 및 역자 소개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