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학기에 연세대 비교문학대학원에서 할 강의계획서 올려둡니다.

원래 이번 학기에는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을 다룰까 했었는데, 제가 몇 가지 바쁜 일 때문에

제대로 준비를 못한 데다가, 올해 제가 민연에서 수행해야 할 연구과제가 <정치적 주체이론>이어서 

막판에 강의 주제를 바꿔봤습니다. 

[신학정치론] 강의를 기대한 분들께는 죄송하게 됐습니다. [신학정치론]은 다음 기회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

 

2014년 1학기 연대 비교문학과 대학원 강의계획서


I. 강의 주제

 

정치적 주체 이론

 

II. 강의 목표

 

이 강의에서는 현대 정치철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인 정치적 주체이론을 다룬다. 민주주의의 구조적 위기와 신자유주의적 세계 질서의 동요라는 이중의 정세에서 오늘날 새로운 정치적 주체를 사유하려는 노력은 현대 정치철학의 화두가 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지외르지 루카치에서 안토니오 네그리ㆍ마이클 하트, 루이 알튀세르, 에티엔 발리바르,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슬라보예 지젝에 이르는 20세기 사상가들의 논의를 통해 새로운 정치적 주체의 가능성(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III. 강의 일정


1주.  강의 소개: 정치적 주체의 개념

2주. 강의 소개: 현대의 정치적 주체이론(들)

3주. 루카치, 「사물화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식」, 󰡔역사와 계급의식󰡕

4주. 네그리ㆍ하트, 󰡔다중󰡕 2부

5주. 네그리ㆍ하트, 󰡔다중󰡕 3부

6주. 네그리ㆍ하트, 󰡔공통체󰡕, 1~2부

7주. 네그리ㆍ하트, 󰡔공통체󰡕, 3~4부

8주. 네그리ㆍ하트, 󰡔공통체󰡕, 5~6부

9주.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들」, 󰡔재생산에 대하여󰡕

10주. 발리바르, 「관념론의 지양」, 「세계관들」, 󰡔대중들의 공포󰡕

11주. 발리바르, 「붙잡을 수 없는 프롤레타리아」, 「정치와 진리」, 같은 책.

12주. 스피박,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13주. 베벌리. 「혼종이냐 이분법이냐」, 󰡔하위주체성과 재현󰡕; 펭 치아, 「생명권력과 새로운 국제 재생산 노동 분업」,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14주. Slavoy Zizek, “Against the Populist Temptation”, Critical Inquiry; Ernesto Laclau, “Why Constructing a People Is the Main Task of Radical Politics”, Critical Inquiry.

15주. 페이퍼 발표

 

IV. 참고문헌


1. 필독 교재

 

지외르지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박정호ㆍ조만영 옮김, 거름, 1999.
에티엔 발리바르. part II, “Antinomies of Marxian Politics”, in Masses, Classes and Ideas, Routledge, 1994; 3부 「맑스주의에서의 이데올로기의 동요」, 󰡔대중들의 공포󰡕, 서관모ㆍ최원 옮김, 도서출판 b, 2007. [국역본은 번역에 문제가 있으므로 반드시 불어본이나 영역본을 참조하기 바람]
존 베벌리. 󰡔하위주체성과 재현󰡕, 박정원 옮김, 그린비, 2013.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태혜숙 옮김, 그린비, 2012.
안토니오 네그리ㆍ마이클 하트. 󰡔다중󰡕, 조정환 외 옮김, 세종서적, 2008.
      . 󰡔공통체󰡕, 정남영 외 옮김, 사월의책, 2013.
Laclau, Ernesto(2006). “Why Constructing a People Is the Main Task of Radical Politics”. Critical Inquiry, vol. 32, summer.
Zizek, Slavoy(2006). “Against the Populist Temptation”, Critical Inquiry, vol. 32, spring.


2. 연구 문헌

 

* 참고문헌은 추후 보충될 예정임.

 

구하, 라나지트(2008). 󰡔서발턴과 봉기󰡕, 김택현 옮김, 박종철출판사.
김택현(2004). 󰡔서발턴과 역사학비판󰡕, 박종철출판사.
      (2012). 󰡔트리컨티넨탈리즘과 역사󰡕, 울력.
라클라우, 에르네스토ㆍ무페, 샹탈(2012).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이승원 옮김, 후마니타스.
랑시에르, 자크(2013).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양창렬 옮김, 도서출판 길(수정재판).
       (2014). 󰡔불화: 정치와 철학󰡕,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길.
발리바르, 에티엔(2011). 󰡔정치체에 대한 권리󰡕,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지젝, 슬라보예(2013).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이수련 옮김, 새물결.
      (2007). 󰡔까다로운 주체󰡕, 이성민 옮김, 도서출판 b.
진태원(2008). 「스피노자와 알튀세르에서 이데올로기의 문제」, 서양근대철학회 편, 󰡔근대철학󰡕 3권 1호.
      (2009). 「대중의 정치란 무엇인가? 다중의 정치학에 대한 스피노자주의적 비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편, 󰡔철학논집󰡕 제19집.
      (2011). 󰡔알튀세르 효과󰡕, 그린비.
      (2012).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편, 󰡔철학논집󰡕 29집.
      (2013a).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아렌트, 랑시에르, 발리바르」,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편, 󰡔서강인문논총󰡕, 39집.
      (2013b). 「포퓰리즘, 민주주의, 민중」, 󰡔역사비평󰡕 통권 105호, 2013년 겨울호.
캘리니코스, 알렉스 외(2007). 󰡔제국이라는 유령: 네그리와 하트의 제국론 비판󰡕, 이매진.

Arditi, Benjamin(2007a). “Post-hegemony: politics outside the usual post-Marxist paradigm”,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vol. 13, no. 3. 
      (2007b). Politics on the Edges of Liberalism: Difference, Populism, Revolution, Agita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Bewes, Timothy & Hall, Timothy eds.(2011). Georg Lukacs: The Fundamental Dissonance of Existence, Continuum.
Camfield, David. “The Multitude and the Kangaroo: A Critique of Hardt and Negri's Theory of Immaterial Labour”, Historical Materialism, vol. 15, no. 1, 2007.
Cremin, Colin & Roberts, John Michael(2011). “Postmodern Left-Liberalism: Hardt and Negri and the Disavowal of Critique”, Critical Sociology, vol. 37, no. 2.
Cultural Studies, vol. 26, nos. 2-3, 2012 Ernesto Laclau 특집호.
Frassinelli, Pier Paolo(2011). “Biopolitical Production, the Common, and a Happy Ending: on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s Commonwealth”, Critical Arts: South-North Cultural and Media Studies, vol. 25, no. 2.
Gaonkar, Dilip Parameshwar(2012). "The Primacy of the Political and the Trope of the 'People' in Ernesto Laclau's on populist reason", Cultural Studies, vol. 26, nos. 2-3.
Harvey, David(2011). “The Future of the Commons”, Radical History Review, Issue 109.
Jay, Martin(1985). Marxism and Totality: The Adventures of a Concept from Lukacs to Haberm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Kaplan, Michael(2010). “The Rhetoric of Hegemony: Laclau, Radical Democracy, and the Rule of Tropes”, Philosophy and Rhetoric, vol. 43, no. 3.
Laclau, Ernesto(2004). “Populism: What's in a Name?”, in Francisco Panizza ed., Populism and the Mirror of Democracy, Verso.
      (2005). On Populist Reason, Verso.
Montag, Warren(1998). “Can the Subaltern Speak and Other Transcendental Questions”, Cultural Logic, vol. 1, no. 2. http://clogic.eserver.org/1-2/montag.html
      (2013). Althusser and His Contemporaries: Philosophy's Perpetual War, Duke University Press.
Passavant, Paul A. & Dean, Jodi eds.(2004). Empire's New Clothes: Rereading Hardt & Negri, Routledge.   
Perelló, Gloria & Biglieri, Paula(2012). “On the Debate around Immanence and Transcendence: Multitude or the People”, Cultural Studies, vol. 26, nos. 2-3.

 

V. 수강자 유의사항


1. 2주까지는 강사가 강의를 진행하고, 3주부터는 수강생들의 발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할 것이다.
2. 수강생들은 1번 이상 발제에 참여해야 하며, 3차례에 걸쳐 1쪽짜리 미니페이퍼를 제출해야 한다.
3. 기말페이퍼는 마지막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공동발표회 때 제출한다.
4. 성적 평가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발표 및 토론 30%
미니페이퍼   30%
기말페이퍼   4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02-23 2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14-02-23 23:29   좋아요 0 | URL
예 강의는 목요일 오후 3시에 있습니다. 강의 장소를 비롯한 자세한 것은 연세대 비교문학과 조교실에 문의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청강은 가능한데, 청강을 하려면 수강생과 비슷한 의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며칠 전에 황해문화 봄호에 실릴 [좌파 메시아주의라는 이름의 욕망]을 올렸는데요,

 

아직 출간도 되지 않은 잡지의 글을 올리는 게 경솔한 짓인 것 같아서

 

일단 글을 내렸습니다.

 

나중에 황해문화 봄호가 정식으로 출간되고 나면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02-06 10: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14-02-06 12:21   좋아요 0 | URL
예 알겠습니다.^^
 

한겨레 기획연재 1부 2회 글이 오늘 실렸습니다.

 

2회는 "죄르지 루카치: 베버를 넘어-프롤레타리아 계급의식"입니다.

 

아래 링크로 따라 가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22250.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겨레 연재 2회분 기사를 올립니다.

 

제목을 "베버, 볼셰비키를 근대성에 갇힌 아마추어로 규정"이라고 뽑았네요.

 

아래 링크로 가시면 기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620398.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용산참사 사건이 일어난지 벌써 5년이 됐군요.

 

용산5주기 추모위원을 모집한다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로 가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socialfunch.org/2014ys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