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1일 수요일부터 대안연구공동체(http://www.paideia21.org/)에서
"자크 랑시에르와 에티엔 발리바르-현대 민주주의의 위기와 재발명"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나 하게 됐습니다.
대학 바깥에서 연속 강의를 하는 것은 오랜만인데, 혹시 관심 있는 분들이 있을까 해서
강의 계획서를 올려둡니다.
------------------------------------------
I. 강의 주제
자크 랑시에르와 에티엔 발리바르-현대 민주주의의 위기와 재발명
II. 강의 목표
이 강의에서는 현대 프랑스의 철학자들인 에티엔 발리바르와 자크 랑시에르의 논의를 중심으로 하여 민주주의의 정치철학을 다뤄보려고 한다. 민주주의는 오늘날 보편적인 정치의 이상이 되었다. 극소수를 제외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정치체들이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실현과 강화를 자신들의 근본 목표 중 하나로 제시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오늘날 민주주의는 심각한 의혹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것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공공 영역이 축소되고 저항 세력의 존립 기반이 잠식되는 가운데, 퇴행적이고 보수적인 정치 세력이 권력을 장악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권력을 정당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민주주의에 대한 재고찰은 정치철학이 떠맡아야 할 핵심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발리바르와 랑시에르는 1960년대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와 함께 “자본”을 읽자에 공동 저자로 참여한 이래 각자 고유한 방식으로 독창적인 사상을 발전시켜온 현대 프랑스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이다. 이 두 사람의 철학적 지향이나 이론적 방법론, 주요 개념들 및 테제들 사이에는 중대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두 사람은 모두 민주주의에 관한 독창적인 이론을 통해 현존하는 민주주의를 새롭게 고찰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을 사고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오늘날 민주주의에 대한 철학적 논의에서 우회할 수 없는 준거가 되고 있다.
이번 강의에서는 두 사람의 주요 저작을 살펴보면서 현존하는 민주주의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것의 역사적ㆍ이론적 뿌리는 어떤 것인지 검토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발리바르와 랑시에르가 각각 제시하는 해법은 어떤 것인지 이해하고 평가해보는 것도 이번 강의의 주요 목표 중 하나다.
III. 강의 일정
제 1주 강의 소개: 현대 민주주의의 위기와 재발명
제 2주 정치적인 것에 대한 열 개의 테제
참고 자료 자크 랑시에르, 「정치적인 것에 대한 열 개의 테제」,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양창렬 옮김, 도서출판 길, 2008 [“Dix thèses sur la politique”, in Aux bords du politique, Gallimard, 1998; “Ten Theses on Politics”, Theory & Event, vol. 5, no. 3, 2001]
제 3주 민주주의의 기원
참고 자료 자크 랑시에르, 불화 「서론」 및 1장 「정치의 시작」,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길, 근간; La mésentente, Galilée, 1995; Disagreemen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제 4주 치안 대 민주주의
참고 자료 불화 2장 「잘못: 정치와 치안」.
제 5주 민주주의의 합리성은 어떤 것인가?
참고 자료 불화 3장 「불화의 이유」.
제 6주 민주주의에 대한 철학의 포섭: 아르케 정치, 유사 정치, 메타 정치
참고 자료 불화 4장 「아르케정치에서 메타정치로」.
제 7주 합의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인가?
참고 자료 불화 5장 「민주주의냐 합의냐」.
제 8주 정치적 허무주의를 넘어서
참고 자료 불화 6장 「허무주의 시대의 정치」
제 9주 과두제로서 현대 민주주의
참고 자료 민주주의에 대한 증오, 허경 옮김, 인간사랑, 2011 [La haine de la démocratie, Fabrique, 2005; Hatred of Democracy, Verso, 2007]
제 10주 정치의 세 가지 개념: 해방, 변혁, 시민다움
참고자료
발리바르, 「정치의 세 개념: 해방, 변혁, 시민인륜」, 대중들의 공포, 서관모ㆍ최원 옮김, 도서출판 b, 2007.
제 11주 현대 민주주의의 기초: 인권선언
참고 자료
발리바르, 「‘인권’과 ‘시민권’: 평등과 자유의 현대적 변증법」, 인권의 정치와 성적 차이, 윤소영 옮김, 공감, 2003. [ É. Balibar, “‘Droits de l'homme’ et ‘droits de citoyen’: la dialectique moderne de l'égalité et la liberté”, in Les frontières de la démocratie, La Découverte, 1992; “‘Rights of Man’ and ‘Rights of the Citizen’: The Modern Dialectic of Equality and Freedom”, in Masses, Classes and Ideas, Routledge, 1994.
제 12주 현실적 보편, 허구적 보편, 이상적 보편
참고 자료
발리바르, 「보편성들」, 대중들의 공포, 서관모ㆍ최원 옮김, 도서출판 b.
제 13주 국민사회국가의 의의와 한계
참고 자료
발리바르, 「정치체에 대한 권리인가 아파르트헤이트인가?」, 「공동체 없는 시민권?」, 우리, 유럽의 시민들?,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0.
발리바르, 「국민 우선에서 정치의 발명으로」, 정치체에 대한 권리,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1.
제 14주 인민주권의 새로운 모색
참고 자료
발리바르, 「민주주의적 시민권인가 인민주권인가?」, 정치체에 대한 권리.
제 15주 극단적 폭력과 시민다움
참고 자료
발리바르, 「폭력과 세계화: 시빌리테의 정치는 가능한가?」, 우리, 유럽의 시민들?.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폭력과 시민다움, 진태원 옮김, 난장, 2012.
제 16주 세계화, 시민권, 민주주의
참고 자료
발리바르, 8장, 「미완의 시민권을 향하여」, 9장, 「“유럽에는 아무런 국가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유럽의 시민들?.
발리바르, 「유럽적 시민권이란 가능한가?」, 정치체에 대한 권리.
E. Balibar, “Antinomies of Citizenship”, Journal of Romance Studies, vol. 10, no. 2, 2010; “L'antinomie de la citoyenneté”, in La Proposition de l'égaliberté, PUF, 2010.
IV. 수강자 참고 사항
* 수강자에게 특별한 요구 사항은 없으며, 강의 참고 자료 중 랑시에르의 {불화}는 강사가 번역한 초역 원고가 제공될 것입니다. 그리고 발리바르의 경우에는 16주 참고 자료인 「시민권의 이율배반」[“L'antinomie de la citoyenneté”, in La Proposition de l'égaliberté, PUF, 2010] 초역 원고가 제공될 것입니다.
두 원고 모두 아직 교열이 끝나지 않은 초역 원고이기 때문에, 공적 매체에서 인용하는 것은 불허합니다. 그리고 두 원고 모두 나중에 각각 도서출판 길과 그린비 출판사에서 번역, 출판될 예정이기 때문에, 상업적인 용도로 활용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밝혀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