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시는지?

 

요즘 형의 학위논문을 잘 읽고 있어요.

번역(나아가 해석의 문제가 되겠지만)에서 궁금한 게 하나 있어서...

형 논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에티카 2부 정리 7의 번역을 형은 이렇게 제안했는데(논문 97쪽 이하)

"관념들의 질서와 연관은 실재들의 질서와 연관과 같은 것이다."

Ordo & connexio idearum idem est, ac ordo & connexio rerum.

스피노자 전체 맥락을 모른 채로 질문하는 거여서, 혹시라도 무식한 질문이 될 수도 있겠는데, 암튼 용기를 내자면...

문장에서 ",ac" 부분 말야, 이게 도무지 해독이 안 된단말야.

사전을 찾아보니까, 그 단어는 atque와 동의어로 나와 있고, 그 뜻은 아래와 같더라고.

 conj. a copulative particle, and also, and besides, and even, and (indicating a clos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single words or whole clauses; while et designates an external connection of diff. objects with each other, v. et; syn.: et, -que, autem, praeterea, porro, ad hoc, ad haec).

(참고: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doc=Perseus%3Atext%3A1999.04.0059%3Aentry%3D%234276)

그렇다면 이렇게 번역할 수는 없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관념들의] 질서와 관념들의 연관은 같은 것이다, 그리고 또한 [실재들의] 질서와 실재들의 연관도 [같은 것이다]."

그러니까 질문의 핵심은 '질서ordo와 연관connexio' 또는 '질서와 관념들의 연관connexio idearum 또는 실재들의 연관connexio rerum'의 동일성에 있지 않는가 하는 점이지.

나아가, 논문 100쪽에서 인용하고 있는 E II P7s에서도 unum eundemque ordinem, sive unam eamdemque causarum connexionem은 "하나의  동일한 질서, 즉[=부연 설명으로서의 sive] 원인들의 하나의 동일한 연쇄"라고 볼 수 있고, E III P2s에서도 ordo, sive rerum concatenatio una sit은 "질서 즉 실재들의 연관은 하나다"라고 볼 수 있지 않은가 해서 말이야.

이런 식으로 본다면, 질서ordo에 대한 여러 가지 부연 설명으로서 형이 인용한 세 대목이 이해될 수 있지 않을까?

정리하자면, 이런 번역의 차이가 전체 텍스트 해석에 끼치는 영향이 어떨지는 아직 생각해 보지 못했고, 이런 번역이 그냥 문법적으로 타당한가 여부를 묻는 거야. 혹시 스피노자 철학의 맥락과는 무관하게 내가 제안한 번역이 타당한지 여부만 짤막하게 검토해 줬으면 해.

난, 논문 쓰고 있으니, 무척 바쁜데, 좀 더 여유롭게 형 논문 읽고 싶지만, 바삐 가느라 음미할 시간은 부족하네. 추운데, 건강 조심하고...

재인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08-02-15 16: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8-02-15 2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 아니 몸이 안좋으신가봐요. 쩝 ;;; 몸도 않좋으신데 너무 무리하지 마세요.^^; 천천히 읽다보면 언젠가 조금씩 이해가 되겠죠. :-)

2008-02-16 15: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8-02-20 23:45   좋아요 0 | URL
제가 그 책을 갖고 있지 않아서 황종연 씨가 그렇게 번역한 이유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틀린 거라기보다는 무언가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옮겼겠죠. ㅎㅎㅎ 그 질문은 저보다는 황종연 씨에게 해야 하는 게 옳을 것 같습니다. ^^;

2008-02-26 12: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참세상]

IPTV가 뭐지?

 

[IPTV가온다](1)IPTV로 본 미디어융합 환경



김지희 (민중언론참세상)  / 2008년02월05일 17시04분

‘시간도 프로그램도 마음대로’, ‘영화도 골라주고 뭐든 다 된다’는 꿈의 TV, IPTV.


업체들의 수식어는 화려하기 짝이 없고, 정부의 산업지상주의와 맞물린 언론의 띄우기는 찬란하기 그지없다. 사람들은 생각할 것이다. ‘매번 비슷한 상품 소개, 빌어먹을 팔아먹기 전략’이라고.


분명 반복되고 지겨운 소비 촉진 과정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IPTV는 이전의 몇몇 제품들과 달리 적당히 팔리면 끝날 이벤트로 취급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존재한다. 자체로도 문화, 미디어 소비 패턴을 변경할 여지가 있을 뿐 아니라 대중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만한 자본화 과정으로 전이, 확산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IPTV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 융합 상황을 조망하는 작업은 향후 변화하는 미디어 및 생활문화 지형을 파악하는 데 유의미하리라 본다.


IPTV가 뭐지?





[출처: 미디액트 http://www.mediact.org]
순전히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IPTV는 획기적인 신기술이라 보기 어렵다. 그도 그럴 것이 IPTV는 기존 인터넷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활용하는 단말기만 - PC가 아닌 - TV인 서비스일 뿐이다. 물론 방송과 통신 등 미디어의 융합과 광대역망 구축, ISO MPEG4를 위시한 영상 포맷의 진화 등 관련한 기술이 진척되고 있다.


하지만 역시 핵심 개념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IP(Internet Protocol)라는 정보전달 방식이다. IP방식은 매우 단순하기에 강력하고,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구현하는 주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IPTV 역시 인터넷과 동일하게 영상, 음성, 텍스트를 통한 방송은 물론 메일, 메신저, 전화, 카페, 온라인 게임, 파일 관리, 검색, UCC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IPTV 도입 단계인 현재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VOD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 TV와 달리 마치 웹사이트처럼 채널을 메뉴에서 선택하고, 편성 시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에 마음대로 볼 수 있다. 1편부터 종편까지 쌓여있는 온갖 드라마와 시리즈물들은 벌써부터 잠 잘 때를 놓치고 빠져드는 ‘IPTV 폐인’ 양산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IPTV의 주요 특징


IPTV의 가장 큰 특징은 TV와 달리 채널 개념이 없다는 점이다. 기존 지상파와 케이블TV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케이블 선의 분배에 따라 채널 개수에 제한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한 조건은 때론 케이블TV의 채널 획득을 위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rogram Provider)들 간 치열한 경쟁과 비리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곤 한다.


그러나 IPTV는 멀티캐스트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무제한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 IPTV의 화면은 흡사 인터넷 포털의 메뉴 화면과 동일한 기능을 하며, 채널 제한으로 인한 자원의 효율적 분배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따라서 향후에는 블로그나 온라인 카페같이 이용자가 운영하는 개인 매체 채널(Personal Media Channel) 서비스가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주요한 특징은 TV와 달리 인터넷에 가까운 쌍방향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월 22일 다음커뮤니케이션이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셀런과 함께 ‘오픈 IPTV’ 서비스 개시를 위한 기자회견을 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시연된 오픈 IPTV 테스트 버전에 의하면, 컨텐츠 레코드 기능은 물론 드라마 시청 시 관련 검색을 통한 인물정보, 쇼핑, 뉴스, 관련 카페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포츠 경기를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하면서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시청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이 드라마에도 적용된다면 드라마에 다양한 결말을 설정하고 이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 상상 가능한 서비스들을 고려해볼 때 대중이 IPTV에 중독되어 갈수록 인터넷으로부터 비롯된 각종 컨텐츠와 서비스가 오히려 IPTV로 수렴될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다.





[출처: 다음goTV(2006버전) - 메뉴화면(http://www.daum.net)]

한편 IPTV가 채택한 데이터전송방식으로 인해 서비스 가능 범위가 파괴된다. 예를 들어 IPTV는 휴대용 무선 IPTV 장비 뿐 아니라 핸드폰이라든가 PMP 등 단말기에 제한이 없다. IP방식만 맞춰준다면 세계 모든 종류의 컨텐츠가 서로 교통하고 융합 가능한 것이다.


IPTV로 본 미디어융합 환경


그간 통신시장의 망 중심 네트워크 사업은 더 이상 물리적 확장 공간도 증가할 가입자도 없는 상황이다. 설상가상 케이블TV는 방송 뿐 아니라 인터넷망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해왔다. 수세에 몰리던 통신업계에게 IPTV는 새로운 시장 구축과 컨텐츠 사업으로의 확장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좋은 아이템이 되었다. 물론 사업 진행과정과 주체의 이해관계로 인해 IPTV가 철저히 산업 기조로 체계화되어가는 건 두말할 필요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12월 28일 통과한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일명 IPTV법)만 보더라도 실시간 방송에 대한 규정만 존재할 뿐 핵심인 VOD 서비스에 대한 규제나 공공성 내용은 모두 빠져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장애인을 위한 수화 내지는 자막방송 등의 비율 적용 규정도 없고 대중의 미디어 참여 권리를 위한 퍼블릭엑세스 규정도 전무하다.


게다가 모든 컨텐츠의 배치와 메뉴 구성 권한이 올곧이 사업자에게 주어지므로 엄청난 미디어 권력이 집중된 셈이다. 현재로서는 공공 컨텐츠 의무 전송이나 배치 규정도 없으므로 그 권력은 더욱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거대해질 것이다.


자본화 과정은 비단 IPTV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소통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은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넘어 인간과 사물의 소통으로 확장되어 간다. 통신업계는 향후 냉장고나 가스렌지와 대화하게 될 홈네트워크 시대를 대비하여, 가정 내 유무선 소통망과 이용 컨텐츠를 선점한 셈이다. 선점한 서비스 이용이 생활 습관화되면 미래의 예측 가능한 수익마저 독점하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출처: myLGTV - 메뉴화면(http://www.mylgtv.com)]

미디어 융합 상황이 가져오는 놀라운 현상 중 하나는 매체가 언론, 방송의 개념과 분리되는 것이다. 보통 ‘한겨레’라는 언론에는 ‘신문’이라는 매체가, ‘KBS'라는 방송에는 ’지상파 TV'라는 매체가 짝을 이루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이제 매체라는 그릇은 언론과 방송이라는 내용물과 관계없이 성장하고 있다. 이미 케이블TV에서부터 진척된 이 개념은 IPTV에 이르러 방송 뿐 아니라 기존 인터넷 상의 각종 개인 또는 협업 컨텐츠로 확대 적용된다.


과정 속에서 소규모 미디어나 대안미디어 운동집단은 대중과의 접점이 현격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동안 종이나 인터넷이 비교적 저렴한 매체의 역할을 해주었다면 IPTV를 위시한 융합미디어들은 진입조차 넘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안미디어들이 매체에 대한 표현의 자유와 다양성 및 공공성 보장을 외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볼 수 있다.


한편 IPTV는 개방성의 상징인 인터넷 정보전달방식을 이용하여 가입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폐쇄형 네트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지불한 자만이 진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지불’로 형성되는 네트워크는 지불능력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 격차를 가중시킬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상업적이었던 인터넷을 자본화시킨다. 그리고 신뢰도 높은 가입자의 개인 정보는 각종 세트상품과 컨텐츠 제작자와의 계약 등을 통해 어느 범위까지 유통될 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진보넷 아이디가 있으면 누구나 참세상 편집국이 생산한 모든 콘텐츠에 태그를 달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을 잘 드러내줄 수 있는 단어, 또는 내용중 중요한 단어들을 골라서 붙여주세요.태그: 방통융합 / IPTV / 미디어환경융합 / 초고속인터넷망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트랙백 주소 http://www.newscham.net/news/trackback.php?board=news&id=42420 [클립보드복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최원 형, 오랜만에 오셨네요. 그동안 잘 지내셨는지요? 양 선생님도 잘 계시고 따님도 무럭무럭 자라는지 궁금합니다. 타향에서 설을 맞아서 좀 쓸쓸할지도 모르겠는데, 새해에 가족 모두 건강하시고 공부에도 많은 진전이 있기를 바랍니다.

최원 형이 좋은 문제제기를 해주셨네요. 질문은 크게 두 가지인 듯합니다. 첫 번째 질문은 라틴어 “intelligendum”, 동사원형으로 하면 “intelligere”의 번역에 관한 문제지요. 제가 이 동사를 “파악하다”라고 번역한 것은, 이 동사가 지닌 인지적 의미를 조금 더 부각시켜 보자는 이유 때문입니다. 이 동사는 간혹 “이해하다”(영어로는 understand, 불어로는 “entendre”나 “comprendre”)로 번역되곤 하는데, 알다시피 지난 19세기 말 이후 사회과학 방법론 논쟁에서 “이해”와 “설명”은 늘 대립되는 개념쌍으로 제시되어왔죠. 그리고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이해”라는 개념 내지 용어는 다분히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인 앎의 양식을 뜻하겠지요. 그런데 스피노자는 이런 방법론 논쟁의 맥락과는 무관한 사람이고, 어떤 의미에서는 그 논쟁과 상반된 입장에 서 있는 철학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겠죠. 따라서 저로서는 intelligere라는 용어를 “이해하다”라고 번역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오해를 막아보자는 뜻에서 “파악하다”라고 번역한 것입니다(이 점에 관해서는 마슈레의 생각을 많이 따른 셈이죠).

그 다음 두 번째 질문은 “percipere/perceive”와 “intelligere/understand” 사이의 관계와 차이에 관한 것이죠. 우선 이런 점을 지적할 수 있을 듯합니다. 스피노자에서 “percipere/perceive”라는 용어는 상당히 의미가 넓은 편입니다. “의미가 넓은 편”이라는 말은, 이 용어가 반드시 “감각 지각”을 뜻하는 것도 아니고, 또 부적합한 인식이나 혼동되고 단편적인 인식을 뜻하지도 않는다는 뜻이죠. 다시 말해 스피노자에서 “percipere/perceive”와 “concipere/cenceive”는 거의 등가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몇 군데에서는 “percipere, sive concipere”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죠.

그렇다고 해서 양자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느냐 하면 그것도 아닌데, 스피노자 자신이 {윤리학} 2부 정의 3의 해명에서 “perceptio”와 “conceptio” 사이의 차이점에 관해 전자는 “정신이 대상으로부터 수동적인 영향을 받는 반면”, 후자는 “정신의 작용/능동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하고 있지요. 실제로 스피노자의 용법을 살펴보면 “percipere”의 경우는 늘 표상적인 측면, 곧 어떤 대상에 대한 표상이나 인식이 명석판명한지 아닌지, 또는 적합한지 아닌지와 관련되어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2부 정리 29의 주석에 보면 “외적으로 규정되는” 경우는 “percipere”로, “내적으로 규정되는” 경우는 “intelligere”로 쓰고 있는데, 이러한 용법은 다음과 같이 부연해볼 수 있다고 봅니다. 스피노자에게 인식은 항상 신체의 “affectio”를 대상으로 하는데, 이 “affectio”가 외부 물체의 작용에 대한 영향을 함축하는 한에서 인식은 늘 수동적인 표상/지각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죠. 이것은 2부 정리 29의 주석에 나오는 “외적으로 규정되는” 경우가 잘 보여주는 경우겠지요. 그런데 두 번째, “내적으로 규정되는” 경우에 정신은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지각의 상태에서 벗어나 다수의 표상들을 비교, 고찰한다는 의미에서 첫 번째 경우와 같은 단편적이고 고립적인 인식의 상태에서는 벗어나 있지만, 여전히 대상들, 표상들에 대한 지각에 기초를 둔 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자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겠죠. 물론 이러한 다면적인 비교, 고찰을 통해 “실재들 사이의 합치, 차이 및 대립을 파악”하는 데까지 나아감으로써 적합한 인식, 능동적인 인식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제가 제 글에서 다음과 같이 쓴 것은 이 점을 감안한 것이었습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실재들을 동시에 고려하게 되면, 자연의 공통 질서에 따라 인식할 때와는 달리 이러저러한 실재들과의 우발적인 마주침에 따라 실재들의 이런저런 측면들을 단편적으로 지각하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면적인 인식 내지 지각은 이를 기초로 하여 실재들 사이의 합치와 차이, 대립을 고려하기 때문에, 단편적 지각에 수반되는 혼동된 인식에 빠질 위험성도 적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은 훨씬 더 명석하고 판명한 인식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내적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인식은 여전히 지각의 차원에서, 곧 변용들의 질서와 연관에 대한 지각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상적 인식이다. 따라서 이것과 자연의 공통 질서에 따라 이루어지는 지각과의 차이는 동일한 상상적 인식 내부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다면적 지각의 노력을 통해 우리가 소수의 물체들 사이의 공통적 특성을 지각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좀더 많은 물체들 사이의 특성들에 대한 지각으로 인식의 범위를 확장하게 된다면, 우리는 좀더 많은 공통 통념들에 기초를 둔 인식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공통 통념들에 기초를 둔 2종의 인식은 상상적 인식 안에서 자신의 성립 조건을 발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최원 2008-02-09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외적으로 규정된 인식으로부터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으로의 전환이 수동에서 능동으로의 전환의 의미를 갖는다는 생각에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나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이 상상적 인식이라는 점에는 여전히 선뜻 동의가 안되는군요. 저에게는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이 common notions를 말한다는 것도 아주 명료하진 않습니다. common notions 자체에 대해서 말하자면, 그것들은 언제나 1종과 2종 사이의 미분으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데리다적인 의미에서 '결정불가능한 것'으로 남아있거나, 또는 오히려 1종과 2종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여기게 됩니다. ommon notions를 어느 한 쪽에만 귀속시키려고 하는 것 자체가 항상 어떤 곤란을 갖게되지 않나 싶은 것이지요. 그래서 그런지 저의 눈에는 더욱 더 스피노자가 perceive와 conceive를 혼용하면서 common notions를 묘사하는 것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군요. 그리고 예전에 토론을 하고나서 나름대로 저도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곤 하는데, 아직 가설적이기는 하지만 common notions를 아예 가지고 있지 않은 개인은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2부 정리 38의 corollary에 보면 "there are certain ideas or notions common to all men"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구절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예전부터 느껴온 것이지만 이 문제는 참 힘든 문제인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인사부터 드려야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늘 건강하시고 올해도 많은 좋은 일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다름이 아니라 선배님이 쓰신 글 관련해서 한 가지 질문을 드릴까 해서 글을 남깁니다. 역시 common notion에 관한 것인데요, 선배님 논문 "공통통념 개념 I" 마지막 부분 쯤에 보면 선배님께서는 {윤리학} 2부 정리 29의 주석을 해석하시면서, 외적으로 규정된 인식과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의 구분을 universal notion과 common notion의 구분에 연결시키신 것 같습니다. 이러한 해석에는 저도 어느정도 동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외적으로 규정된 인식을 이를테면 일면적 지각으로, 그리고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을 "다면적 지각"으로 말씀하신 부분에서 조금 망설여집니다. 문제의 주석을 보면,

I say expressly that the mind does not have an adequate knowledge, but only a confused and fragmentary knowedge, of itslf, its own body, and external bodies whenever it perceives things from the common order of natre, that is, whenever it is determined externally--namely, by the fortuitous run of circumstance--to regard this or that, and not when it is determined intrnally, through its regarding several things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ir agreeement, their ifferences, and their opposition. For whenever it is conditioned internally in this or in another way, then it sees things clearly and distinctly, as I shall later show.

여기서 스피노자가 외적으로 규정된 인식을 지각(perception)과 연결시킨 것은 맞지만, 내적으로 규정된 인식은 오히려 이해(understanding)에 연결시킨 것 같습니다. 선배님께서는 understand에 해당하는 저 말을 논문에서 계속 '이해하다' 대신 '파악하다'로 옮기셨는데, 어떤 특별한 사유가 있는지요? 전 라틴어를 아직 모르지만, 해당 부분 라틴어본을 봐도 외적 인식은 percipit으로, 내적 인식은 intelligerum으로 적혀있어서 영어본 번역이 크게 잘못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더불어서, 선배님께서는 다면적 지각으로서 공통된 성질을 인식한 결과로서의 common notion은 다면적이라고 해도 여전히 그것이 '지각'인 한에서 상상적 인식에 속한다고 보시는 듯이 여겨졌습니다. 제가 맞게 읽은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렇다면 더욱 더 intelligerum을 어떻게 번역할까가 중요해지지 않나 싶습니다.

반면 common notion에 관한 {윤리학} 2부의 두 정리(38과 39)를 보니, 38에서는 '인식하다(conceive)'라는 말이 사용되었고, 38의 증명에서는 'perceive"와 'conceive'가 각각 한 차례 사용되었고, corollary에서는 다시 'perceive'가 사용되었군요. 39와 그것의 증명에서는 두 단어 모두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corollary에서는 'perceive'가 한번 사용되었습니다. 어쨌든 이렇게만 놓고 보면, 정확히 common notion이 perception(지각)에 속하는지, 아니면 conception(즉 concept와 관련된 인식/관념) 또는 understanding(이해)에 속하는지가 불분명한 것 같습니다.

선배님 생각을 좀 들어보고 싶어 이렇게 염치불구하고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최 원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46267

 

[참세상]



불안하지?! 그럼 영어사교육 해


[특별기획 : 이명박정부와 진보](8) - 영어 교육



송경원(진보교육연구소)  / 2008년02월05일 11시15분

‘헬로우, 하우두유두’


네 살이 채 되지 않은 딸아이 입에서 어느 날 갑자기 튀어나온 말이다. 깜짝 놀라며 아내와 눈을 마주친다. 아내 또한 한 방 먹은 표정이다. 그러면서도 “우와, 발음 죽이네”라고 말한다. 하긴 경상도 사람이니 영어발음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던 아내다. 물론 남편이라는 사람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영어 단어 외우는 시간에 수학 문제 푸는 걸 더 좋아하고 영어시험은 기본만 하자는 아이였으니, 영어실력이 오죽 하겠는가.


‘헬로우, 하우두유두’


아이가 또 말한다. 아내와 말하지는 않았지만, 불안이 엄습해온다. 영어나 외국어는 부모의 실력이 중요한데, 아빠는 영어체질이 아니라고 합리화한지 오래이고 엄마는 경상도 사투리로 발음하니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영어공부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다음 날, 아이를 유치원에 데려다 주면서 선생님께 묻는다.


“영어 가르치나요?”


속으로는 ‘그렇게 안 봤는데, 왜 가르치니’ 라고 항의한다.


“아니요. 그냥 가끔 쉬는 시간에 영어 비디오 틀어주는 정도예요. 그런데 요즘 한 아이가 학원을 다니는지 영어를 하는데, 다른 아이들도 따라하더라구요”


궁금한 부분이 풀렸다.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 딸아이가 이미 사교육 천국의 영향권 안에 포위되어있는 것을 확인했으니, 씁쓸하고 불안할 따름이다.


사교육은 보험


사교육이 투자였던 때가 있었다. ‘나보다 나은 삶을 살아야 한다’는 부모의 희망이 사교육으로 표현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97년의 IMF 충격 이후 사교육의 심리는 조금 변한다. 투자의 마음이 여전히 있기는 하나, 점차 보험 드는 마음이 커진다. 계층 상승만 주로 보아오다가 계층 하락을 직간접적으로 접한 게 그 이유다. “아, 이 나라는 중산층에서 떨어질 수도 있구나. 그리고 떨어지면 비참하구나”라는 점을 뼈저리게 깨닫는다. 당연히 부모의 마음에서 ‘나보다 못살면 안돼, 최소한 나처럼 살아야 해’라는 메아리가 커져간다.


2000년대 들어 사교육의 양극화가 심해지는데, 중상층 이상이 양극화를 주도하는 게 특징이다. 중상층 아래가 사교육비를 예전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지출하는 사이에 중상층 이상이 사교육비를 대폭 늘리면서 격차가 점차 커져간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떨어질 곳이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추락은 두려움이다. 그리고 추락 지점을 비참한 곳으로 생각하면 할수록 두려움과 불안은 크다. 당연히 추락을 막거나 대비하기 위한 장치를 미리미리 마련해야 한다. 보험을 들어야 한다. 그것도 많이 들수록 좋다. 최후의 마지노선으로는 평소 씹어대기 바쁜 교사를 염두에 둔다. 이 보험의 심리는 유독 중상층만 그런 게 아니다. 중상층 아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추락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가 다르며, 가용할 수 있는 경제력과 정보력 또한 다르다.


이처럼 교육에서 IMF 충격은 사교육을 투자에서 보험으로 바꾸었다. 약육강식과 승자독식의 사회를 경험하면서 대비책으로 사교육에 더욱더 몰두하도록 만들었다. 그 안에는 불안이 깔려있다.


불안을 먹고 사는 영어광풍


사교육기관이 많고 다양하긴 하나, 부모 입장에서는 유형이 웬만큼 정해져 있다. 아줌마통신의 정통 코스는 이렇다. 일단 어릴 때부터 영어를 시킨다. 그리고 초등학교 고학년부터는 특목고나 자사고를 대비시킨다. 중학교 고학년이나 고교부터는 일류대를 준비한다. 물론 시작하는 시기와 비용이 가계 수입이나 부모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겨냥하는 것은 같다. ‘아이 맡기기’나 ‘특기 살리기’의 마음을 제외하고는 죄다 입시다. 일류대라는 최종 목적지를 위해 그 중간다리인 특목고를 보내야 한다. 그런데 특목고는 영어가 중요하다. 아니, 영어는 특목고, 일류대, 취업이나 승진에서 모두 필요하다. 그러니 일단 영어다. 영어를 몰라도 생활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이 땅에서 영어 광풍이 몰아치는 이유는 이거다. 영어가 모든 직업에서 ‘꼭’ 필요한 게 아닌 이 나라에서 ‘미친 영어’가 자리잡은 까닭이 여기에 있다. “국제통상이나 교류가 많은 분야 등 영어를 꼭 필요로 하는 사람들만 영어하면 되지, 왜 모든 한국인이 영어해야 하나? 글구 통역이나 번역은 두어서 뭐하나?”라는 항변은 무의미하다.


영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그래서 불안하다. 영어를 잘해도 불안하고, 못해도 불안하다. 영어 잘하는 사람으로 인정받아도 모국어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불안하고, 못 하는 사람은 능력없는 사람으로 낙인찍힐까 두렵다. 그래서 너도나도 보험을 든다. 일하는 사람은 시간을 쪼개서 각종 온·오프라인 영어 사교육기관을 찾고, 부모는 아이를 영어학원 봉고차에 밀어넣는다. 빠른 엄마는 태교부터 시작한다.


1997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수업이 시작되고 특목고와 자사고가 확대되면서 등장한 풍경이다. 교육분야에서는 입시에서의 영어 비중이 영어 광풍의 원인이고, 초등학교 영어 수업이 촉매제다. 물론 해도해도 끝이 없다. 100점을 맞는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다. 남보다 한 발 앞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영어 사교육의 순례는 보다 강한 약효를 찾아 쭉 이어질 뿐이다.


불안을 부채질하는 이명박 정부의 영어교육 정책


여기에 이명박 정부는 기름을 붓는다. 지난 1월 30일 <영어공교육 완성 실천방안>에서 △5년 안에 영어전용교사 2만3천 명 충원, △영어수업시간 확대, △영어능력평가시험 도입, △영어친화적 환경 구축 등을 발표한다. 영어 광풍의 촉매제였던 초등 영어수업을 보다 확대하겠다고 한다. 미친 영어의 원인이었던 입시에서의 영어 비중은 일언반구도 없다.


물론 수능 영어를 상시적인 국가영어능력평가 시험으로 대체하고, 현재의 수능 영역인 읽기.듣기는 등급제로 하며, 말하기.쓰기는 합격/불합격만 판정하겠다고 말하기는 했다. 하지만 시험 부담만 커진다. 한 번만 보던 수능에서 여러 번 치는 시험으로 바뀌므로 ‘남보다 한 발’ 앞서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점수를 받을 때까지 시험봐야 한다. 여기에 읽기.듣기만 보던 시험에서 말하기.쓰기가 추가된다. 더구나 인수위는 2012년부터 대입을 완전 자율화한다고 했다. 그 때 등급이나 합격/불합격으로만 나오는 영어능력평가 결과를 대학들이 그냥 받을까. 지금까지 변별력을 외쳐왔던 대학들이 그 때 가서는 가만 있을까. 영어 본고사가 없으리라고 장담하기 어렵다.


그래서 인수위의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사교육을 유발하지 않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한다는 이야기는 웃긴 소리다. 대학서열화와 특목고.자사고는 보다 확대되고, 입시에서의 영어 부담은 커지고, 학교 영어수업은 늘어나니, 영어 광풍의 앞날에는 거칠 것이 없다. 불안을 치유해도 시원치 않을 판에 불안을 부추긴다. 영어 못 하면 정말 큰일 날 것 같다. 보험 더 들어야 한다. 이젠 영어 사교육기관 알아보기와 영어 사교육기관의 떼돈 벌기만 남았다.


불안을 만드는 이명박 정부


더 나아가 이명박 당선인은 “영어 잘 해야 잘 산다”라는 말까지 한다. 최소 10년 동안 영어를 배웠어도 여간해서는 영어가 필요없는 사람들에게 영어 잘 해야 잘 산단다. 영어를 공용어로 하는 필리핀이 우리보다 잘 사는지에 대한 말도 없다. 그냥 영어 잘하면 잘 산단다. 걔네들 발음 웃긴다 하면서 놀리는 일본이 우리보다 못 사는지에 대한 말도 없다.


전 국민이 영어를 잘 못해서 국가적인 위기가 닥쳤다는 말도 없다. 위기의 징후도 없다. 그러면서 영어 잘 하란다. ‘왜?’라는 질문에 대한 답도 없다. 국제화 시대라고는 하는데, 온통 영어 이야기 뿐이다. 그래서 더 답답하고 불안하다. 정책을 입안하는 사람 입장에서야 위기를 들먹이면서 불안을 조성하는 게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되기는 하나, 도대체가 위기 국면에 대한 뚜렷한 말 한마디도 없고, 오로지 두려움만 조장할 뿐이다.


이런 이유로 이경숙 인수위원장에게 자꾸 눈이 간다. 인수위원장인지 영어교육부 장관인지 모를 정도로 틈만 나면 영어를 언급하고, 자신의 숙명여대가 대한민국 최초로 테솔(TESOL)을 운영하고 작년부터는 교육청의 지원 속에서 현직 영어교사의 심화연수를 하고 있으니, 의심의 눈초리는 당연하다. 또한 인수위가 앞으로 테솔을 통해 영어교사를 양성한다고 했으니, “기존의 교대와 사대는 죽이고 숙명여대나 성균관대를 키우려는 속셈 아니냐”라는 말도 나올 만 하다. “인수위원장이 수학 전공자였으면, 온 국민에게 미적분 강요했겠네”라는 비아냥도 있다. 이쯤 되면, 지위를 활용하여 개인적 이득을 취하는 ‘업무상 배임’의 혐의를 지우기 어렵다.


뭐, 좋은 말로 한 개인의 학문적 소신이라고 하던 새 정부의 교육철학이라고 하던 간에 인수위의 모습은 밑도 끝도 없다. 그냥 영어 잘 하란다. 그래야 잘 산단다. 그래서 학교에서 영어 공부 많이 시키고 시험 보겠단다. 그러면 사교육비 줄어든단다. 인수위 그 자체가 불안이다. 어디로 튈지 모른다. 보험 꼭 필요하다.


사교육 심리의 이중성이 불안 해소의 출발점


투자든 보험이든 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교육을 시킨다. 그리고 이중적이다. 자기 아이 문제일 때는 보신주의와 가족이기주의가 작동하나, 한편으로는 공교육과 좋은 교육을 말한다. 이거 나쁘게들 평가한다.


하지만 다르게 볼 수도 있다. 보신주의와 가족이기주의는 현실이 강요한 거다. 양육강식과 승자독식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삶의 지혜이다. 교육 분야에서의 형태는 사교육으로 나타난다.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으니 쉽지 않다. 오늘도 자기보다 20~30살 어린 아이와 다툰다. 아이에게 부모의 존재가 스트레스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사는 건 사는 게 아니다. 불안이 치유되지도 않고, 행복하지도 않다. 그래서 꿈꾼다. 불안이 치유된 사회, 행복한 학교, 즐거운 아이를 희망한다. 변화를 바란다. 현실과 바램의 괴리가 이중성을 낳는 것이다.


지금은 이명박 정부의 변화를 학부모가 불안한 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물론 이건 꿈꾸던 변화가 아니다. 그래서 더 불안할 뿐이다. 당연히 다른 변화, 보다 나은 변화에 대해 여전히 목마르다. “모든 한국인이 영어를 해야 합니까? 영어 꼭 해야 하는 사람만 하면 안 됩니까?”라는 질문에 답을 기다리고 있다. 필요한 분야만 영어 하고 입시에서 영어 부담이 없어서 영어가 즐겁기를 바란다. 대학서열화, 고교서열화, 입시의 틈바구니를 부수는 행복여행을 원한다. 여기엔 빠른 답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한국 교육의 제2법칙 “처음에만 시끄러울 뿐, 금방 적응한다”가 작동한다.


누가 다른 변화를 말하고 학부모와 대화할 수 있을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정파주의의 화신은, 정파보신주의와 정파이기주의로 똘똘 뭉친 집단은 ‘보다 나은 변화’로 다가가기 어렵다. 학부모가 대화 자체를 거절한다.


요즈음 딸아이는


‘헬로우, 하우두유두’ 하지 않는다. 잊어먹었다. 한국말만 쓰는 환경이 낳은 결과다. 대신 TV에서 <우리말 겨루기>나 비슷한 프로그램만 방영되면, “정답입니다”를 외치면서 신나게 달려가서 뚫어지게 쳐다본다. 엄마 아빠는 그동안 아이에게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신기해 하는데, 한창 말을 배울 때라 그런가 보다 한다. 물론 한편으로는 여전히 불안하다.


특히, 지난 십수 년간 영어와 담을 쌓고도 잘 살아왔다고 여기는 아빠라는 작자는 영 못마땅하다. 그래서 지난 십수 년간 꾸준히 애용해왔던 ‘알파벳 C와 아라비아 숫자 8의 합성어’에다가 ‘2MB’라는 새로운 단어를 연신 갖다 붙인다. 물론 딸아이 몰래 하느라 애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