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학기에 한국외국어대학 철학과 대학원에서 "푸코와 통치성"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했는데,

 

1학기 강의에 이어서 2학기에는 "푸코와 신자유주의"라는 주제로 강의를 더 하게 됐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강의계획서를 올려둡니다.

 

------------------------------------------------------------

 

2013년 2학기 외대 철학과 대학원 강의계획서

 

 

I. 강의 주제: 푸코와 신자유주의

 

II. 강의 목표

 

이 강의는 1학기 강의와 연속적으로 푸코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을 읽고 토론한다. 지난 1학기 강의에서는 푸코의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1975-76), 󰡔안전, 영토, 인구󰡕(1977-78)를 읽었는데, 이번 학기 강의에서는 󰡔생명정치의 탄생󰡕(1978-79) 및 관련 자료들을 함께 다루고자 한다. 󰡔생명정치의 탄생󰡕은 특히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현대 신자유주의의 구조적 특징을 정확히 파악해내고 있으며, 이 때문에 푸코 연구자들만이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여러 연구자들에게 많은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푸코의 신자유주의 분석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그러한 분석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자유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위해 지닌 의의 및 한계, 대안이 무엇인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III. 강의 일정

 

 

1주. 강의 소개: 푸코와 신자유주의 분석

 

2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1-2강: 자유주의적 통치술

 

3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3-4강: 자유주의적 통치술

 

4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5-6강: 독일의 신자유주의

 

5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7-8강: 독일과 프랑스의 신자유주의

 

6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9-10강: 미국의 신자유주의

 

7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11-12강: 호모 에코노미쿠스

 

8주. 푸코 통치성 이론과 신자유주의

 

9주. 푸코 신자유주의 분석의 의의

 

10주. 푸코 신자유주의 분석의 쟁점

 

11주. 푸코에 대한 비판 I: 신자유주의자 푸코?

 

12주. 푸코에 대한 비판 II: 이론적 난점

 

13주. 푸코에 대한 비판 III: 방법론적 난점

 

14주 푸코 분석의 확장

 

15주. 통치성 이론과 정치

 

16주. 푸코와 베커

 

 

IV. 참고문헌

 

1. 푸코의 저작

 

Foucault, Miche(1978). Entretien avec D. Trombadori”, in Dits et écrits, vol. II, Gallimard, 2001("Quarto"); 󰡔푸코의 맑스󰡕, 이승철 옮김, 갈무리, 2000.

(1983). “Sujet et pouvoir”, in DE I; 부분 번역, 「주체와 권력」, 정일준 옮김,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1984a). Histoire de la sexualité II, Le souci de soi, Gallimard; 옮김, 󰡔성의 역사 2권: 자기에의 배려󰡕, 나남, 2004.

(1984b). “L'éthique du souci de soi comme pratique de la liberté”, in DE II; 「자유의 실천으로서 자기 배려」,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1997). “Il faut défendre la société”: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7-1978), Seuil; 박정자 옮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동문선, 1998.

(2001). Dits et écrits, vol. I-II, Gallimard.(DE I-II로 약칭)

(2004a). Sécurité, territoire, population: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7-1978), Gallimard/Seuil; 󰡔안전, 영토, 인구󰡕, 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1.

(2004b).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8-1979), Gallimard/Seuil;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2.

 

 

2. 기타 문헌

 

 

서동진(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세넷, 리처드(2002).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조용 옮김, 문예출판사.

(2009). 󰡔뉴 캐피탈리즘󰡕, 유병선 옮김, 위즈덤하우스.

이근식(2007). 󰡔서독의 질서자유주의: 오위켄과 뢰프케󰡕, 기파랑.

(2009). 󰡔하이에크, 프리드먼, 뷰캐넌󰡕, 기파랑.

정일준(1994).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 새물결.

(1999).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새물결.

친, 칼 게오르크(1996). 󰡔사회적 시장경제 : 독일 경제질서의 이념과 발전󰡕, 이현수 옮김, 유진.

크라우치, 콜린(2008). 󰡔포스트민주주의󰡕 이한 옮김, 미지북스.

(2012). 󰡔왜 신자유주의는 죽지 않는가󰡕, 유강은 옮김, 책읽는수요일.

하멜, 한넬로레(2001). 󰡔사회적 시장경제: 사회주의 계획경제󰡕, 안병직ㆍ김호균 옮김, 아카넷.

하비, 데이비드(2007). 󰡔신자유주의󰡕, 최병두 옮김, 한울.

(2010).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임동근 외 옮김, 문화과학사.

Amstrong, Aurelia(2008), “Beyond Resistance: a Response to ŽiŽek's critique of foucault's subject of freedom”, Parrhesia, no. 5.

http://www.parrhesiajournal.org/parrhesia05/parrhesia05_armstrong.pdf

Balibar, Etienne(1997). "Trois concepts de la politique", in La crainte des masses, Galilée; 「정치의 세 가지 개념」, 󰡔대중들의 공포󰡕, 서관모ㆍ최원 옮김, 도서출판 b, 2007.

(2008). “Historical Dilemmas of Democracy and Their Contemporary Relevance for Citizenship”, Rethinking Marxism, vol. 20, no. 4.

Becker, Gary et al.(2012). “Becker on Ewald on Foucault on Becker” American Neoliberalism and Michel Foucault’s 1979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 Conversation with Gary Becker, Françcois Ewald, and Bernard Harcourt, University of Chicago.

http://www.law.uchicago.edu/Lawecon/index.html

Behrent, Michael(2009). “Liberalism without humanism: Michel Foucault and the free market creed 1976–1979”, Modern Intellectual History, vol. 6, no. 3.

(2010). “Accidents Happen: François Ewald, the “"Antirevolutionary”" Foucault, and the Intellectual Politics of the French Welfare State”,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no. 82.

Bevir, Mark(2010). “Rethinking governmentality: Towards genealogies of governance”, Europ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13, no. 4.

(2011). “Governance and governmentality after neoliberalism”, Policy & Politics, vol. 39, no. 4.

Biggs, M. (1999). “Putting the State on the Map: Cartography, Territory, and European State Formation“,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vol. 41, no. 2.

Binoche, Bertrand(2007). “The Two Principles of Liberalism

http://chspm.univ-paris1.fr/spip.php?article105

Bröckling, Ulrich, Krasmann, Susanne & Lemke, Thomas(2011) eds.. Governmentality: Current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Routledge.

Brown, Wendy(2003). “Neo-liberalism and the End of Liberal Democracy”, Theory & Event, vol. 7, no. 1.

Cadman, Louisa(2010). “How (not) to be governed: Foucault, critique, and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olume 28.

Cerny, Philip G.(2008). “Embedding neoliberalism: the evolution of a hegemonic paradigm”,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diplomacy, vol. 2, no. 1.

(2010). “The competition state today: from raison d’État to raison du Monde”, Policy Studies, vol. 31, no. 1.

Chaterjee, Partha(2004). The Politics of the Governed: Considerations on Political Society in Most of the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Cooper, Melinda(2012). “The Law of the Household - Foucault, Neoliberalism and the Iranian Revolution”. in ed. Vanessa Lemm and Miguel Vatter, The Government of Life: Michel Foucault and Neoliberalism, Fordham University Press, forthcoming.

Dardot, Pierre & Laval, Christian(2009). La Nouvelle raison du monde: Essai sur la société néolibérale, La Découverte, 2009; 피에르 다르도ㆍ크리스티앙 라발, 󰡔새로운 세계 이성: 신자유주의 사회에 관한 시론󰡕, 오트르망 옮김, 그린비, (근간).

(2011). “Néolibéralisme et subjectivation capitaliste”, Revue Cité, no. 41.

Davidson, Arnold I.(2011). “In Praise of Counter-Conduct”,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vol. 24, no. 4.

Dean, Mitchell(2002). “Powers of Life and Death Beyond Governmentality”, Cultural Values, vol. 6, nos. 1 & 2.

Dilts, Andrew(2011). “From ‘Entrepreneur of the Self’ to ‘Care of the Self’: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Foucault’s Ethics”, Foucault Studies, no. 12.

Donzelot, Jacques & Gordon, Colin(2008). “Governing Liberal Societies: the Foucault Effect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Foucault Studies, no. 5.

Fillion, Réal(2004). “Freedom, responsibility, and the ‘American Foucault”, Philosophy Social Criticism, vol. 30, no. 1.

Flew, Terry(2012a). “Michel Foucault's The Birth of Biopolitics and Contemporary Neo-Liberalism Debate”, Thesis Eleven, vol. 108, no. 1.

(2012b). Six Theories of Neoliberalism”, Paper presented to Emerging and Enduring Inequalities,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ustralian Sociological Association (TASA) 2012, held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St Lucia, Brisbane, Australia, 26-29 November, 2012

http://dl.dropboxusercontent.com/u/4171762/Six%20Theories%20of%20Neoliberalism.pdf

Gane, N(2012). The governmentalities of neoliberalism: Panopticism, post-panopticism and beyond, Sociological Review, vol. 60, iss. 4.

Golder, Ben(2010). “What is an anti-humanist human right?”, Social Identities, vol. 16, no. 5.

(2011). “Foucault's Critical (Yet Ambivalent) Affirmation: Three Figures of Rights”, Social & Legal Studies, vol. 20, no. 3.

Gordon, Colin (1991) “Governmental rationality: an introduction”, in G. Burchell et al., eds., The Foucault Effect, Harvester Wheatsheaf.

Grenier, Jean-Yves et Orléan, André(2007). “Michel Foucault, l'économie politique et le libéralisme”, Annales. Histoire, Sciences Sociales, vol. 62, no. 5.

Gudman-Hǿyer, Marius & Hjorth, Thomas Lopdrup(2009). “Liberal Biopolitics Reborn”, Foucault Studies, no. 7.

Hamann, Trent(2009).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and Ethics”, Foucault Studies, no. 9.

Hannah, Matthew G.(2012). “Foucault’s “German Moment”: Genealogy of a Disjuncture”, Foucault Studies, no. 13.

Jessop, Bob(2011). “Constituting Another Foucault Effect. Foucault on States and Statecraft”, in Bröckling et al. 2011.

Karsenti, Bruno(2005). “La politique du dehors. Une lecture des cours de Foucault au Collège de France (1977-1979)”, Multitudes, 22, Autumn.

Kiersey, Nicholas J. (2009). “Neoliberal Political Economy and the Subjectivity of Crisis: Why Governmentality is Not Hollow”, Global Society, nol. 23, no. 4.

Köhler, Ekkehard & Kolev, Stefan(2011). “The conjoint quest for a liberal positive program: “Old Chicago”, Freiburg and Hayek”, HWWI Research Paper, No. 109, http://hdl.handle.net/10419/48271

Kolev, Stefan(2010). “F. A. Hayek as an ordo-liberal”, HWWI Research Paper, No. 5-11. http://hdl.handle.net/10419/48214

Lazzarato, M.(2009). “Neoliberalism in action: Inequality, insecurity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social”,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6, no. 6.

Lemke, Thomas(2002). “Foucault, Governmentality, and Critique”, Rethinking Marxism, vol. 14, no. 3.

(2010). “Foucault’s Hypothesis: From the Critique of the Juridico-Discursive Concept of Power to an Analytics of Government”, Parrhesia, no. 9.

McNay, Lois(2008). “Self as Enterprise: Dilemmas of Control and Resistance in Foucault's The Birth of Biopolitics”,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6, no. 6.

Ojakangas, M. (2012) “Michel Foucault and the Enigmatic Origins of Bio-Politics and Governmentality”,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vol. 25, no. 1.

Patton, Paul(2010). “Foucault and Normative Political Philosophy: Liberal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Public Reason”, in Timothy O’'Leary & Christopher Falzon eds., Foucault and Philosophy, Wiley-Blackwell.

Peck, Jamie(2008). “Remaking laissez-fair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32, no. 10.

Potte-Bonneville, Mathieu(2003). “Foucault et le droit”, La philosophie au sens large.

http://stl.recherche.univ-lille3.fr/seminaires/philosophie/macherey/Macherey20022003/PotteBonneville.html

Protevi, John(2009). “WHAT DOES FOUCAULT THINK IS NEW ABOUT NEO-LIBERALISM?”, Pli: Warwick Journal of Philosophy, vol. 21.

http://www.protevi.com/john/Foucault_28June2009.pdf

Rose, Nikolas and Miller, Peter (1992) “Political power beyond the state: problematics

of government”,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43, no. 2.

(2008) Governing the Present: Administering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Life, Polity.

Rose, N., O'Malley, P. and Valverde, M. (2006) “Governmentality”, Annual Review of Law and Social Science vol. 2.

Saar, Martin(2011). “Relocating the modern state: governmentality and the history of political ideas”, in Bröckling et al. 2011.

Singer, Brian C. G. & Weir, Lorna(2006). “Politics and Sovereign Power: Considerations on Foucault”, Europ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9, no. 4.

(2008). “Sovereignty, Governance and the Political: The Problematic of Foucault”, Thesis Eleven, no. 94.

Swyngedouw, Erik(2005). "Governance Innovation and the Citizen: The Janus Face of Governance-beyond-the-State", Urban Studies, vol. 42, no. 11.

Tellmann, Ute(2009). “Foucault and the Invisible Economy”, Foucault Studies, no. 6.

(2011). “The Economic beyond Governmentality: the Limits of Conduct”, in Bröckling et al. 2011.

Terrel, Jean(2010). Politiques de Foucault, PUF.

Tobias, Saul(2005). “Foucault on Freedom and Capabilities”,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2, no. 4.

Turner, Rachel S.(2007). “The 'rebirth of liberalism': The origins of neo-liberal ideology”, Journal of Political Ideologies, vol. 12, no. 1.

Vanberg, Viktor J.(2004). “The Freiburg School: Walter Eucken and Ordoliberalism”, Freiburg Discussion Papers on Constitutional Economics, 04/11.

Venn, Couze(2009). “Neoliberal Political Economy, Biopolitics and Colonialism : A Transcolonial Genealogy of Inequality”,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6, no. 6.

Watt, Michael(2003). “Development and Governmentality”, Singapore Journal of Tropical Geography, vol. 24, no. 1.

Weidner, Jason R. (2009). “Governmentality, Capitalism, and Subjectivity”, Global Society, vol. 23, no. 4.

 

 

V. 수강자 참고 사항

 

1. 처음 2주는 강사가 수업 전체의 내용을 소개한 뒤 3주차부터는 수강생들의 발제와 토론을 통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강생들은 각자 수업 일정에 따라 발제를 맡고 발표 및 토론 준비를 한다.

수강생들은 3 차례 1쪽짜리 미니 페이퍼를 제출해야 하며, 기말 페이퍼를 제출해야 한다.

 

2. 참고문헌에 대한 자세한 활용 방법은 첫 수업시간에 따로 제시될 것이다.

 

3. 평가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발표와 토론 (30%)

미니 페이퍼 (30%)

기말 페이퍼 (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컷 뉴스에 실린 기사입니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54318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9만원 2013-07-24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참에 시공사 책을 추천하거나 선전한 이른바 진보적인 지식인도 압수 수색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발마스 님 아직도 전두환의 시공사에서 나오는 책을 추천하시나요?
 

오는 7월 1일부터 고려대학교 생활도서관에서 "시민행성 여름 강좌"를 하나 하게 됐습니다.

 

"시민행성"은 저하고 민연에서 같이 근무하시는 함돈균 선생님(국문학)이 주도해서 만든 모임입니다.

 

시민행성 소개 및 강좌 안내는 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시민행성 사이트에는 강좌에 대한 간략한 소개만 나와 있는데,

 

조금 자세한  강의 일정을 올립니다.

 

 

시민행성 사이트

http://citizenplanet.tistory.com/

 

강좌 안내

http://citizenplanet.tistory.com/15

 

 

------------------------------------------

 

시민행성 2013년 여름 강의

 

 

I. 강의 주제

민주주의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민주주의, 시민성, 봉기

 

 

II. 강의 취지

 

이 강의에서는 오늘날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확산된 민주주의의 위기를 배경으로 삼아, 민주주의와 시민성, 봉기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려고 한다. 현재 민주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정치 제도로 널리 수용되고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음에도 오늘날 민주주의가 그 이름에 걸맞은 정치 체제로 제대로 운용되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드물다. 민주주의의 보편화는 동시에 민주주의의 위기의 보편화인 셈이다.

 

민주주의의 근저에는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시민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위기는 시민성의 위기에서 징후적으로 표현되는 게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다. 사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본격화된 이래,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시민권의 축소 및 약화라는 일반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왜 이러한 시민성의 보편적 약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을까? 그리고 그것은 민주주의의 보편적 위기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우리가 이 강의에서 함께 살펴보려는 것이 이 문제다.

 

그렇다면 이러한 민주주의 및 시민성의 보편적인 위기에 대한 해법은 없는 것일까? 우리는 그것을 봉기의 문제를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에는 혁명적 봉기가 존재하며, 현대사의 변곡점마다 출현하는 것 역시 봉기들이다. 아울러 독재에 대항하여, 법적 권위주의에 맞서, 차별과 배제에 저항하여 수행된 수많은 운동 역시 넓은 의미의 봉기로 이해할 수 있다면, 민주주의는 봉기 없이는 실현될 수 없으며 사고되기 어려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강의에서는 민주주의, 시민권, 봉기라는 주제를 통해 현재 우리가 직면한 민주주의의 위기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 현재의 제한적이고 불완전한 민주주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보려고 한다.

 

 

III. 강의 일정

 

 

1강. 민주주의의 위기: 자유민주주의, 국민국가, 신자유주의

 

전 세계적인 민주주의 위기의 양상 및 원인을 살펴본다. 흔히 이러한 위기의 요인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서 찾곤 하는데, 현재 직면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위기는 국민국가의 한계 및 근대 민주주의의 내적 요인에서도 찾아야 한다는 것이 1강의 요점이다.

 

참고문헌

에티엔 발리바르, 「공동체 없는 시민권?」, 󰡔우리, 유럽의 시민들?󰡕,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0.

볼프강 슈트렉, 「민주주의적 자본주의의 여러 위기」, 󰡔뉴레프트리뷰 4󰡕, 도서출판 길, 2013.

콜린 크라우치, 󰡔포스트민주주의󰡕, 이한 옮김, 미지북스, 2008.

 

 

2강. 근대 민주주의의 봉기적 기원: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 중 하나를 이루는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의 의의를 살펴본다. 󰡔권리선언󰡕은 매우 짧고 간단한 텍스트처럼 보이지만, 이 텍스트는 수많은 해석과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여러 가지 함의와 쟁점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 강의에서는 󰡔권리선언󰡕이 어떤 의미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을 이루는지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에티엔 발리바르, 「인권과 시민권: 평등과 자유의 현대적 변증법」, 윤소영 옮김, 󰡔인권의 정치와 성적 차이󰡕, 공감, 2003.

최갑수, 「근대시민혁명과 민주주의」, 󰡔민주주의와 인권󰡕, 제3권 2호, 2003.

린 헌트, 󰡔인권의 발명󰡕, 전진성 옮김, 책세상, 2011.

 

 

3강. 사회적 시민성: 국민사회국가와 근대 시민권의 제도화

 

T. H. 마샬이 이론화된 자유적 시민권, 정치적 시민권, 사회적 시민권 중에서 오늘날 가장 첨예한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사회적 시민권이다. 3강에서는 근대 국민국가의 전개과정을 배경으로 사회적 시민권이 시민성 개념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또한 그것이 어떤 위기에 봉착했는지 살펴본다.

 

참고문헌

자크 동즐로, 󰡔사회보장의 발명󰡕, 주형일 옮김, 동문선, 2005.

에티엔 발리바르, 「국민우선에서 정치의 발명으로」, 󰡔정치체에 대한 권리󰡕,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1.

알베르토 알레시나, 󰡔복지국가의 정치학󰡕, 전용범 옮김, 생각의 힘, 2012.

브라이언 S. 터너, 󰡔자본주의와 시민권󰡕, 일신사, 1996.

 

 

4강. 권리들을 가질 권리: 한나 아렌트와 인권의 역설

 

한나 아렌트는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 사이에 출현한 수많은 국적 없는 사람들, 집 없는 사람들, 권리 없는 사람들을 목격하고 국민국가의 쇠퇴와 인권의 위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4강에서는 아렌트의 통찰에 기초하여 현대 세계에서 나타나는 인권 및 시민권의 위기와 그 함의를 검토해보겠다.

 

참고문헌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1󰡕, 이진우ㆍ박미애 옮김, 한길사, 2006.

에티엔 발리바르, 「유럽에는 아무런 국가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유럽의 시민들?󰡕,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0.

랑쿠 센, 페칵 맘두, 󰡔국경의 로큰롤: 세계화 시대 이주와 시민권󰡕, 배미영 옮김, 이후, 2012.

 

 

5강. 몫 없는 이들의 몫: 자크 랑시에르와 무정부주의적 민주주의

 

자크 랑시에르의 󰡔불화󰡕(1995)는 랑시에르 정치학을 집약하는 대표작이자, 현대 정치철학의 걸작 중 한 권이다. 이 책에서 랑시에르는 ‘몫 없는 이들의 몫’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민주주의를 ‘아르케 없는’(an-arkhe) 것으로, 곧 무정부주의적 민주주의로 개념화하려고 시도한다. 5강에서는 랑시에르가 말하는 아르케 없는 민주주의의 의미는 어떤 것이고, 이 개념이 현재의 민주주의의 위기를 성찰하는 데 어떤 빛을 던져주는지 함께 논의해보겠다.

 

참고문헌

자크 랑시에르, 「정치에 관한 열 개의 테제」,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양창렬 옮김, 도서출판 길, 2013(수정 재판).

자크 랑시에르, 󰡔불화󰡕, 진태원 옮김, 도서출판 길, 근간.

 

 

6강. 민주주의와 시민권의 이율배반: 에티엔 발리바르와 인권의 정치

 

에티엔 발리바르는 지난 20여 년 동안 근대 민주주의의 성격 및 한계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과정에서 그는 민주주의와 시민권에 고유한 이율배반이라는 테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테제는 민주주의를 하나의 체제로 이해하기보다는 인권의 정치에 기초한 갈등적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6강에서는 발리바르 테제의 함의를 따져보겠다.

 

참고문헌

에티엔 발리바르, 「국민우선에서 정치의 발명으로」, 󰡔정치체에 대한 권리󰡕,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1.

에티엔 발리바르, 「저항, 불복종, 봉기」, 󰡔평등자유명제󰡕, 진태원 옮김, 그린비, 근간.

 

 

7강. 포퓰리즘: 민주주의의 적인가, 민주주의의 조건인가?

 

포퓰리즘이라는 용어는 최근 한국정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용어 중 하나다. 노무현 정권 당시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통치를 비난하기 위한 술어로 널리 쓰였으며, 이명박 정권에서는 보편적 복지를 공격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외국에서는 프랑스의 국민전선이나 이탈리아의 베를루스코니 같은 극우파 정치를 지칭하기 위해서, 반대로 남미의 우고 차베스의 통치를 폄하하기 위해 널리 쓰이기도 했다. 7강에서는 포퓰리즘이라는 용어가 어떤 의미에서 민주주의를 사고하는 데 핵심적인지 다루어보겠다.

 

참고문헌

서병훈, 󰡔포퓰리즘󰡕, 책세상, 2008.

아마미야 가린, 󰡔프레카리아트, 21세기 불안정한 청춘의 노동󰡕, 김미정 옮김, 미지북스, 2011.

안태환, 󰡔차베스와 베네수엘라 혁명󰡕, 이담북스, 2012.

조돈문, 󰡔베네수엘라의 실험: 차베스 정권과 변혁의 정치󰡕, 후마니타스, 2013.

 

 

8강. 프랑스 여성도 프랑스인인가? 성적 차이와 민주주의

 

이 강좌의 마지막 8강에서는 성적 차이와 민주주의라는 문제를 살펴보겠다. 성적 차이의 문제는 근대 민주주의가 직면한 난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랫동안 여성이 근대 민주주의의 제도 및 관행 속에서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왔으며, 더 나아가 민주주의가 전제하는 보편적 인간의 정의 자체와 성적 차이의 문제가 해소하기 어려운 갈등을 빚기 때문이다. 8강에서는 성적 차이의 문제가 어떤 의미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한계를 이루는지, 또한 그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길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조앤 W. 스콧, 󰡔페미니즘 위대한 역설󰡕, 공임순 외 옮김, 앨피, 2006.

조앤 W. 스콧, 󰡔Parite! 성적 차이, 민주주의에 도전하다󰡕, 국미애 외 옮김, 인간사랑, 2009.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락시스 2013-06-11 0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태원 선생님, 잘 지내셨는지요. 장애인운동하는 김도현입니다.
이 글을 보고 시민행성 사이트를 방문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멋진 곳이 생겼군요!
강좌신청도 바로 했습니다(진 선생님 강의는 제가 제일 먼저 신청을 한듯 합니다^^ㅎ).
오랜만에 강의도 듣고, 세미나도 할 생각을 하니 살짝 맘이 설레네요.
그럼 7월에 얼굴 뵙고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almas 2013-06-11 12:35   좋아요 0 | URL
김도현 선생님 반갑습니다.^^ 안녕하신지 궁금하네요.
이렇게 일찍 신청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오랜만에 뵙게 돼서 더 반갑고 기쁩니다. :)

김병준 2013-06-11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재미있는 강좌일 것 같습니다^^

balmas 2013-06-12 03:01   좋아요 0 | URL
병준씨 오랜만입니다.^^
지난 번에 모임에 나가지 못해서 섭섭하고 미안했습니다.
언제 만날 기회가 또 있겠죠?

김병준 2013-06-12 14:21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지난번 만났을 때 1년에 1~2번 정도는 보기로 했습니다.
종희형이 비공식적 총무인데, 다음에는 꼭 형께도 연락드리겠다고 했습니다^^

프락시스 2013-06-11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참, 한 가지 여쭤본다는 것이 깜박했네요.
선생님께서 번역하신 『평등자유명제』는 언제쯤 출간될 예정인지요?
일정 변경 없이 순서대로 간다면 6강 강의가 8월 5일이 될텐데,
혹시 그 전에 나온다면 좋겠다는 생각은 드네요^^

balmas 2013-06-12 03:02   좋아요 0 | URL
하하. 아직 멀었습니다.
[불화]도 여태 안나오고 있으니까요.
빨리 냈으면 저도 좋겠는데,
저도 써야 할 글도 여럿 있고 해서 시간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쾅! 2013-06-14 2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기존의 썼던 내 불만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국가?

국가라는 것에 대한 생각도 달라져야 한다.
오늘날에 국가가 아닌 다른 정치체를 얼마든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데
마치 국가라고 하는 오늘날 이 체제가 무너지면 무정부 상태가 오는 것처럼 생각을 하냔 말이다.
그렇게 생각을 하도록 세뇌를 당한 거지.

왜 어떤 정치공동체는 오늘날의 국가와 같은 형태만 가능하고 있어야만 하는가?

이거 다시 생각해 볼 문제가 되는 거 아닌가?

에릭 홉스봄!

게이를 혐오하고 흑인운동을 무시하고 이른바 뉴레프트를 비난한 인물이 어째서 뉴레프트 리뷰에 실리는지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백인 우월주의적 식민주의와 엘리트주의 및 권위적이고 전통적인 역사학자의 태도에서 벗어난 적이 없는 그가 왜 이른바 진보인가?

자본주의의 비약적 성장이 인류에게 풍요를 가져다 주었다는 얘기도 하는 인간인데 그러면 오늘날 아프리카에서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 저 사람들은 뭔가?

한마디로 헛소리를 한 거 아닌가?

마르크스의 논리도 그렇게 읽혀질 가능성이 없지 않지만 마르크스가 하려는 얘기는 공리에 지나지 않는데 그것을 명제로
만들어 해석하는 인물이 에릭 홉스봄이다.

목적론적인 자본의 논리에 따라 마르크스주의자의 언사를 사용하는 백인 엘리트주의 남성 역사학자가 홉스봄인 것이다.

한국의 좌우파가 홉스봄을 그렇게 좋아라 한다는 것은 한국의 지적 풍토와 이론적 수준이 얄팍하다는 증거다.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시오노 나나미가 사랑받는 한국에서 에릭 홉스봄이 사랑받는다는 게 놀라운 일은 아닐지 모른다.

그런데 정말로 에릭 홉스봄의 글들을 읽은 게 맞나?

면밀히 읽어 보면 다 알 수 있는 것을

한마디로 믿을 사람이 없다.

쾅! 2013-06-14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그리고 죠앤 스콧에 대해 한마디 하자면 그녀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는 이른바 자칭 타칭 페미니스트들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그녀에 대해 엉뚱한 소개를 하는 글들이 많다.

언어학적 전환까지는 몰라도 제대로 소개를 해야 하는 거 아닌가?

그리고 아직 번역이 안 된 그녀의 책들이 더 중요한 저작들이다.

이른바 한국 페미니즘의 지적 풍토가 놀라운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 따지고 보면 여성중심주의자들이었지.

그런데 그게 페미니즘인가?

아기를 낳는 여성과 아기를 낳지 못하는 남성의 성적 차이를 무시하는 것이 페미니즘인가?

<8강. 프랑스 여성도 프랑스인인가? 성적 차이와 민주주의>도 나는 불만이다.

프랑스로 한정하는 이유가 뭔데?

프랑스로 한정하지 않는다면 흑인 페미니스트인 벨 훅스의 <행복한 페미니즘>을 참고문헌으로 추천하고 싶다.

흑인 여성도 프랑스인인가? 식민지인도 프랑스인인가? 무슬림도 프랑스인인가? 노동계급의 여성도 아시아 여성도 집시 여성도 프랑스인인가?

무슬림 흑인 레즈비언도 프랑스인인가?

언제쯤 이런 질문들을 던지게 될까?
 

 

 

 

 

 

 

 

 

 

 

 

 

 

[최장집의 한국민주주의론]이 출간되었습니다. 사실 출간된지는 보름 정도 됐는데, 서점에 배포된 것은

 

조금 늦었네요. 지난 2011년 11월에 했던 "최장집의 한국민주주의론"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6편의 글과

 

새로 4분의 필자를 추가해서 책을 엮었습니다. 귀한 글을 써주신 필자분들과 책을 엮느라 애쓰신

 

김정한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책에 대해서 벌써 언론에서 많이 다루었네요. 아래는 관련 기사 링크입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6092104515&code=960201

 

 

한겨레신문

http://media.daum.net/culture/book/newsview?newsid=20130609213007848

 

http://media.daum.net/culture/book/newsview?newsid=201306092100094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는 6월 25일 화요일부터 철학아카데미에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강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겨울방학에는 [법의 힘]과 [마르크스의 유령들], [환대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데리다 정치철학을

 

강의했는데, 이번에는 데리다 초기 대표작 중 한 권인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를

 

읽어볼 생각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의와 관련된 좀더 자세한 안내는 철학 아카데미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http://www.acaphilo.or.kr/xe/lecture_2_2

 

 

-----------------------------------------------

 

 

I. 강의 주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읽기

 

II. 강의 취지

 

이 강의에서는 자크 데리다의 대표작 중 하나인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를 읽는다.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는 1967년 출판된 이래 데리다 사상을 대표하는 저작이자 현대 프랑스철학의 걸작 중 한 권으로 널리 인정받아왔다. 또한 이 책은 소쉬르 연구와 루소 연구, 레비스트로스 연구의 필수적인 참고문헌이 되었고, 철학만이 아니라 문학이론과 법이론, 기술매체이론 분야에서도 큰 영향을 미쳐왔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서 이 저작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거나 응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 강의에서는 12회의 강의를 통해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및 그와 관련된 문헌들을 꼼꼼히 읽기로 하겠다.

 

 

III. 강의 일정

 

1강. 강의 소개: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는 어떤 책인가?

2강. 1부 1장. 책의 종말과 에크리튀르의 시대

3강. 1부 2장. 언어학과 문자학

4강. 1부 3강. 실증과학으로서의 문자학에 대하여

5강. 2부 1장. 문자의 폭력: 레비스트로스에서 루소로

6강. 2부 2장. ‘이 위험한 대체보충 ...’

7강. 2부 3장 1절. 󰡔언어기원에 대한 시론󰡕의 위치

8강. 2부 3장 2절. 모방

9강. 2부 3장 3절. 분절

10강. 2부 4장. 대체보충에서 근원으로: 문자 언어의 이론

11강. 「프로이트와 에크리튀르의 무대」, 󰡔글쓰기와 차이󰡕 읽기

12강. 「프로이트와 에크리튀르의 무대」, 󰡔글쓰기와 차이󰡕 읽기

 

 

IV. 참고문헌

 

1. 강의 교재

 

Jacques Derrida. De la grammatologie, Minuit, 1967.

      . Of Grammat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8.

      . 김웅권 옮김,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 “Freud et la scène de l'écriture”, in L'écriture et la différence, Seuil, 1967.

     . 「프로이트와 글쓰기의 무대」, 󰡔글쓰기와 차이󰡕, 동문선, 2002.

 

2. 참고문헌

 

장-자크 루소. 󰡔언어 기원에 대한 시론󰡕, 주경복ㆍ고봉만 옮김, 책세상, 2002.

Ferdiand de Saussure. Cours de linguistique génerale, ed., Tullo de Mauro, Payot, 1967.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김현권 옮김, 지만지, 2012.

장 스타로뱅스키. 󰡔장-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물󰡕, 이충훈 옮김, 아카넷, 2012.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슬픈 열대󰡕, 박옥줄 옮김, 한길사, 19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