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에 관한 글을 올린 김에 예전에 발표한 글을 한 편 더 올립니다. 2006년 [문학과사회] 가을호 (통권 75호)에 실린 글입니다.

양창렬 선생, 최원 선생, 푸코의 글 한 편과 함께 "생명권력"에 관한 특집으로 묶인 글입니다.

이 글 역시 [문학과사회] 지면에 실린 판본과 다소 다를 수 있으니, 인용이나 토론을 원하는 분들은

[문학과사회]에 실린 판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생명 정치의 탄생: 푸코와 생명 권력의 문제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명 정치적인 것, 곧 생물학적인 것, 신체적인 것, 육체적인 것이다.”[Michel Foucault, Dits et écrits vol. III, Gallimard, 1994, p. 36.]

 

 

1. 머리말

 

[이하 푸코의 저작은 다음과 같은 약어로 표기할 것이다.

Dits et écrits vol. III → DE III

Histoire de la sexualité I, La Volonté de savoir, Gallimard, 1976; 이규현 옮김, 󰡔성의 역사 1권: 앎의 의지󰡕, 나남, 1990 → HS I

Technologies of the Self, ed. Luther H. Martin et al.,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8; 󰡔자기의 테크놀로지󰡕, 이희원 옮김, 동문선, 1997 → TS

Les anormaux: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4-1975), Gallimard/Seuil, 1999; 박정자 옮김, 󰡔비정상인들󰡕, 동문선, 2001 → AN

“Il faut défendre la société”: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7-1978), Gallimard/Seuil, 1997; 박정자 옮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동문선, 1998 → IFDS

󰡔주체의 해석학: 1981-1982년 강의록L'Herméneutique du sujet: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81-1982)󰡕, Gallimard/Seui, 2001 → HdS

󰡔정신의학적 권력Le pouvoir psychiatrique: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73-74)󰡕, ed. Jacques Lagrange, Seuil/Gallimard, 2003. → PP

󰡔안전, 영토, 인구: 1977-1978년 강의록Sécurité, territoire, population: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7-1978)󰡕, Gallimard/Seuil, 2004 → STP

󰡔생명 정치의 탄생: 1978-1979년 강의록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8-1979)󰡕, Gallimard/Seuil, 2004 → NB

그리고 외국어 원문의 인용에서 국역본이 있을 경우 원문 쪽수를 먼저 쓴 다음 해당 국역본의 쪽수를 표시해두겠다. 하지만 번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지적 없이 자유롭게 수정했다.]

 

철학자 또는 이론가로서 푸코의 탁월함은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들이 예견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그 문제들 속에서 우리가 푸코적인 것이라고 알고 있는 바로 그 스타일, 글쓰기의 스타일이자 사고의 스타일이면서 동시에 윤리의 스타일이기도 한 그 독특한 스타일, 따라서 푸코의 고유한 실존의 미학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그를 일정한 틀에 따라, 익숙해진 모형에 따라 비판하거나 찬양하는 순간 푸코는 비웃기라도 하듯이 전혀 다른 문제, 전혀 상이한 분석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그러한 비판이나 찬양에서 빠져나간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그가 “다르게 사고하기”를 철학의 주요 과제로 제시했던 것이 우연이 아니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푸코의 사고의 방식이자 존재의 방식, 곧 푸코가 실행했던 독특한 주체화의 기술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나의 작업들 각자는 나 자신의 전기의 일부입니다.” TS, p. 11.]

 

다르게 사고하고 다르게 존재함으로써 바로 그 자신으로서 실존하는 푸코의 실존의 미학, 자기 통치의 기술은 권력에 대한, 정치에 대한 분석에서도 잘 나타난다. 우리가 보기에 생명 권력 또는 생명 정치라는 개념[푸코는 생명 권력과 생명 정치를 명시적으로 구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다. 이러한 혼용에서 어떤 사람들은 푸코의 생명 권력론의 한계를 보기도 하며(예컨대 J. Rancière, “Biopolitique ou politique?”, Multitudes no. 1, 2000 참조), 몇몇 주석가들은 이 두 개념을 좀더 정확히 구별하려고 시도한다. 특히 Maurizio Lazzarato, “Du biopouvoir à la biopolitique”, Multitudes no. 1, 2000; Judith Revel, “La naissance littéraire de la biopolitique”, in Philippe Artières ed., Michel Foucault, la littérature et les arts, Kimé, 2004 참조.]은 푸코의 독창성, 철학의 본질을 다르게 사고하기로 규정하는 그의 관점의 진면목이 가장 잘 드러나는 개념 중 하나다. 생명 정치라는 개념은 사람들이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시기에,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장소에서 출현했으며, 또한 사람들이 좀더 엄밀한 분석과 발전을 기대하던 곳에서 갑작스럽게 중단된다.

 

그리고 놀랍게도 푸코 자신에 의해 더 이상 이론적인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이 개념 또는 문제설정은 오늘날 인문사회과학의 한 분야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호모 사케르󰡕 연작(連作)에서 생명정치 개념을 서양 정치 구조의 핵심으로 제시한 조르지오 아감벤Giorgio Agamben이나 󰡔제국󰡕에서 권력의 새로운 지배구조와 그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생명 권력과 생명 정치 개념을 통해 해명한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는 물론이거니와 사회학이나 정치학의 여러 분야에서, 그리고 생명공학의 발전에 대한 과학기술론적 고찰에서도 이 개념은 주요한 이론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저자 자신도 예견하지 못한 효과와 변용들을 낳을 수 있는지 여부를 개념적 독창성을 평가하는 한 가지 기준으로 볼 수 있다면, 생명 정치는 푸코의 사상에서 가장 독창적인 개념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이 글에서 검토해보려는 것은 생명 권력/생명 정치 개념이 푸코의 작업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출현하게 되었으며, 푸코의 사상, 특히 그의 후기 사상을 이해하는 데 이 개념이 왜 중요한가 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푸코가 제시하는 생명 정치 개념의 의미가 무엇이며(2절), 이 개념이 70년대 후반 푸코 사상의 위기의 맥락에서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3절). 그 다음 생명 권력 개념과 규율 권력 개념의 차이는 무엇이며, 이러한 차이가 푸코 사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다룰 것이다(4절). 요컨대 생명정치의 이론적 중요성은, 이미 완성되어 적용되기만 하면 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점에, 곧 새로운 상황과 문제들을 분석함으로써 정정되고 변용되고 확산되는 그것의 능력에 있다는 것이 우리가 이 글에서 소묘해보려는 주요 논점이다.

 

2. 생명 권력의 의미

 

생명 권력 또는 생명 정치 개념이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그리 오래 된 일이 아니다. 이 개념이 일차적으로 인문사회과학자들의 주목을 끈 것은 푸코라기보다는 오히려 조르지오 아감벤의 작업 때문이다. 아감벤은 1995년 출간된 󰡔호모 사케르Homo Sacer󰡕에서 󰡔성의 역사 1권: 앎의 의지󰡕(1976) 마지막 장에서 언급된 푸코의 개념을 독창적으로 (하지만 어떤 측면에서는 푸코에 맞서) 활용하여 생명 권력은 서구의 정치 구조 속에 항상 이미 함축되어 있다고 주장했으며,[G. Agamben, Homo Sacer: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Einaudi, 1995;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trans. Daniel Heller-Roaze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참조. 󰡔호모 사케르󰡕에 대한 소개로는 김태환, 「예외성의 철학: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통치 권력과 벌거숭이 삶󰡕」, 󰡔문학과 사회󰡕 2004년 가을호를 참조하고, 아감벤과 푸코의 생명 권력론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이번 호에 수록된 양창렬의 글을 참조하라.] 󰡔호모 사케르󰡕가 세계적인 화제작이 되면서 아감벤의 테제만이 아니라 생명 권력에 대한 푸코의 언급이 새삼 주목을 끌게 되었다. 그 뒤 1997년 프랑스에서 푸코의 1976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인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가 출간되고 이 강의에서 생명 정치에 관한 푸코의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생명 권력 개념은 후기 푸코 사상의 주요 원천 중 하나로 각광받게 되었다.

 

생전에 발표된 저작에서 이 개념은 매우 드물게 쓰였으며,[이 개념은 1974년 브라질에서 강연했던 「사회 의료의 탄생」이라는 글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글은 1977년 포르투갈어로 번역, 발표되었지만, 1994년 󰡔말과 글Dits et écris󰡕에 수록되어 출간되기 전까지는 푸코 연구자들에게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성의 역사 1권: 앎의 의지󰡕(1976) 마지막 장에서 비교적 상세하게 논의되었다. 여기서 푸코는 생명 권력을 “주권자le souverain” [국역본에서는 한 군데를 제외하고는 “le souverain”을 모두 “군주”라고 번역하고 있는데, 이는 푸코 권력 이론의 중요한 개념적 구별을 충실히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푸코는 근대 권력의 유형을 주권적 권력과 규율 권력, 생명 권력으로 구별하고 있다. 󰡔감시와 처벌󰡕에서는 주권적-법적 권력에서 규율 권력으로의 이행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주제였다면, 󰡔성의 역사󰡕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들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다른 두 가지 권력 유형과의 차이점을 해명하면서 생명 권력 또는 통치성의 메커니즘과 기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물론 이 세 가지 권력 유형은 연대기적인 순서를 뜻하지는 않는다. “La gouvernementalité”, in DE III; 「통치성」, 정일준 편역,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참조.]의 생살여탈권과 대비하면서 규정하고 있다.

 

삶과 죽음에 대한 주권자의 권한은 좀더 정확히 말하면 “죽게 만들거나faire mourir 살게 내버려두는laisser vivre”(HS I, p. 178/146쪽―강조는 푸코)[이하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는 한 모든 강조는 원문의 것이다.] 권한으로 규정될 수 있다. 곧 주권의 관점에서 생명은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되며, 문제는 이러한 자연적인 생명을 가진 신민들을 죽음에 대한 위협을 통해 복종시키는 것이다. 또는 고전적인 사회계약론에 의거한다면(푸코는 홉스를 원용한다), 자연상태에서 사회상태로 이행하게 만드는 근본 동기는 자연상태에 만연한 죽음의 위협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려는 사람들의 욕망에 있기 때문에, 주권자는 사회계약을 통해 모든 사람이 자연 속에서 지니고 있던 삶과 죽음의 권리를 모두 넘겨받게 된다. 푸코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생살여탈권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성이다. 곧 주권자, 군주가 신민들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권리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생명의 권리, 살게 해주는 권리가 아니라 죽음의 권리, 죽게 만들 수 있는 권리이며, 이는 칼로 상징된다. 이 때문에 주권적 권력은 “징수의 수단, 갈취의 메커니즘, 부의 일부를 전유할 권리, 피지배자들로부터 생산물, 재산, 용역, 노동, 피를 강제로 빼앗을” 수 있는 권한으로 표현된다.

 

반면 푸코가 제시하는 생명 권력은 “살게 만들거나faire vivre 죽음 속으로 쫒아내는rejeter dans la mort”(HS I, p. 181/148쪽) 또는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두는”(IFDS, p. 214/279쪽) 권한으로 표현된다. 이는 주권자의 권한을 나타내는 표현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심오한 변화를 시사한다. 우선 주권자의 권한에서는 “살기vivre”가 “내버려두기”의 대상인 데 반해 생명 권력에서는 “만들기”의 대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삶이 내버려두기의 대상이라는 것은 주권 권력에서 삶, 생명은 자연적인 것으로, 권력이 어떻게 할 수 없는 주어진 것으로, 권력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미리 전제되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권력의 위세, 권력의 크기는 자연적으로 실존하는 생명체, 인간이라는 생명체의 목숨을 제거하는 것, 죽이는 것으로 표현되며, 이 때문에 주권 권력은 죽임의 권력이다. 반면 생명 권력에서 삶, 생명이 만들기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이 권력에게 삶, 생명은 더 이상 주어진 것, 자연적인 것, 따라서 내버려두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삶, 생명이야말로 권력이 관여하고 조절하고 증대시키고 확산시켜야 할 일차적인 대상이 된다.

 

다른 한편 주권 권력에게 “죽기”는 “만들기”의 대상인 반면, 생명 권력에서는 “내버려두기” 또는 “쫒아내기”의 대상이 된다. 여기서 “내버려두기”란 더 이상 권력이 죽음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 주권 권력과 같이 죽음을 통해 자신의 권력의 위세를 드러내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대신 죽음은 한 개인의 사적인 영역으로 떨어지고, 권력은 죽음이 아니라 사망률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죽음은 권력의 경계 바깥에 놓여 있는 것, 방치되는 것, 또는 쫒겨나는 것이 된다.

 

따라서 18세기 말-19세기 초에 발생한 “죽게 만들거나 살게 내버려두는” 주권자의 권한에서 생명 권력으로의 이행, 곧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두는” 권력으로의 이행에서 푸코는 근대 사회의 성립의 문턱을, 그리고 자본주의의 발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를 발견한다. 생명 권력이 근대성의 문턱을 이루는 이유는 생명 권력에 이르러 역사상 처음으로 인간은 “살아 있는 존재자로서 그의 생명 자체를 문제 삼는”(HS I, p. 188/154쪽) 정치 속에서 실존하는 동물이 되었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서양 정치사상의 기본 전제는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것, 곧 인간은 자연적으로 주어진 생명체라는 점에서는 다른 동물들과 동일하지만 다른 동물들과 달리 정치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며, 바로 이것이 인간을 특징짓는 종차(種差)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푸코는 18세기 말 등장한 생명 권력에 의해 인간의 생명은 더 이상 정치 바깥에 있는 자연적 영역이 아니라 정치 권력의 조절 대상이 되었으며, 바로 이 점이 근대적 인간의 고유성을 이룬다고 본다.[반면 [호모 사케르] 연작의 기본 테제 중 하나는 단지 근대 사회만이 아니라 서양 고대 사회부터 생명은 항상 정치와 결부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정치는 항상 생명 정치였다는 점이다.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 정치론에 대한 비교는 양창렬의 글을 참조.]

 

다른 한편 푸코는 생명 권력을 자본주의 발전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간주한다. 우선 생명 권력은 개인 및 개인의 신체를 유순하면서도 생산력이 뛰어난 존재자로 만들어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에 봉사하게 만든다. 󰡔감시와 처벌󰡕이 탁월하게 보여주었듯이 이는 특히 규율 기술의 작업인데, 규율 기술은 공장만이 아니라 군대, 학교, 병원 같은 사회의 다양한 제도들 내부에서 다수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감시와 훈련, 이용과 처벌이 가능한 대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푸코의 분석은 [자본] 1권에 나오는 마르크스의 노동일 분석을 수용하면서 그것을 좀더 확장하고 있다. 바로 이 점에서 규율 권력에 대한 푸코의 분석은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국가장치에 대한 분석과 상당 부분 중첩된다. 이 점에 관해서는 특히 Warren Montag, “The Soul is the Prison of the Body: Althusser and Foucault 1970-1975”, Yale French Studies, Fall 1995 참조.] 더 나아가 생명 권력은 단지 개인 및 개인의 신체만이 아니라 종(種)으로서의 인구의 조절을 추구한다. 이것이 좀더 엄밀한 의미에서 생명 권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이 점과 관련하여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와 [성의 역사 1권]은 미묘한 차이를 보여준다. 곧 전자의 경우 주권 권력과 규율 권력, 생명 권력 사이에는 연대기 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도 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규율 권력은 주권 권력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제시된 권력의 메커니즘이며, 역으로 생명 권력은 개인 및 개인의 신체의 규율에 국한된 규율 권력의 한계를 넘어서 종으로서의 인구 전체를 다루기 위한 권력으로 제시된다. 반면 󰡔성의 역사 1권󰡕에서는 한편으로 주권 권력과 다른 한편으로 규율 권력/생명 권력 사이의 대립 관계가 두드러지며, 규율 권력은 생명 권력의 부분으로 포섭된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지적하자면 󰡔안전, 영토, 인구󰡕에 가면 세 가지 권력 사이의 관계를 연대기적인 관계로 보는 관점이 명시적으로 거부되며, 그 대신 이것들 사이의 관계는 “인구를 일차적인 표적으로 하고 안전장치를 본질적인 메커니즘으로 삼는, 군주권-규율-통치적인 관리의 삼각관계”(STP, p. 111; 정일준 편역, 앞의 책, 44쪽도 참조)로 제시된다. 단 여기서는 생명 권력 대신 통치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출생과 사망의 비율, 재생산의 비율, 그리고 한 인구의 생식력 등의 과정의 총체”(IFDS, p. 216/281쪽)로, 생명 권력은 이러한 인구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대상으로 조절하려고 시도한다. 왜 자본주의의 발전을 위해 이러한 조절이 필요한가? 푸코는 “전염병”과 구별되는 “풍토병endémie”이라는 명칭으로 그 이유를 설명한다. 생명 정치를 통해 안정된 인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지 생식 능력을 보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망률 및 질병에 걸릴 확률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질병은 중세와 근대 초에 유럽을 뒤흔든 흑사병 같은 전염병이 아니라 풍토병, 곧 “한 인구 안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이며, 안정된 인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질병들의 “형태와 성격, 확장, 지속, 강도”(IFDS, p. 217/281-82쪽) 등을 고찰하고 그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질병으로 인해 치료비 부담이나 노동일의 결손이 일어나 생산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다시 경제 전체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사회의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생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율 권력을 통해 개인들 및 그들의 신체의 생산력과 순응성을 길러내는 일 못지않게 인구 전체를 조절하는 것 역시 필수적인 과제가 된다. 푸코는 18세기 말 이후 공중보건을 주로 담당하는 보건의학이 생겨나고, 보험 및 사회보장제도가 등장한 것, 그리고 도시환경이 정비되기 시작한 것에서 생명 정치의 구체적인 모습을 발견한다.[18세기 말 이후 서양 사회의 의료화 문제에 관해서는 이번 호에 수록된 「의료의 위기인가 반의료의 위기인가」 참조. 또한 이 글과 더불어 브라질에서 강연한 다른 두 편의 글도 역시 참조하라. “La naissance de la médecine sociale”, “L'incorporation de l'hôpital dans la technologie moderne”, in DE III. 다른 한편 19세기 이후 보험 및 사회보장제도의 전개 과정에 대해서는 François Ewald, L'État providence, Grasset, 1986 및 Jacques Donzelot, L'invention du social, Seuil, 1994; 󰡔사회보장의 발명󰡕 주형일 옮김, 동문선, 2005를 각각 참조.] 이런 의미에서 푸코의 생명 권력 개념은 복지국가, 또는 (발리바르의 표현을 빌리자면) “국민 사회 국가état national social”의 전개 과정을 해명하기 위한 개념 장치라고 볼 수 있다.

 

푸코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와 [성의 역사 1권]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점은 18세기 말 등장한 생명 권력이 보여주는 역설이다. 다시 말해 “생명을 과대평가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생명의 기회를 늘리고, 생명에 가해질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거나 또는 그 손실을 보상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생명 권력이 현대의 주요한 권력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에도 (또는 오히려 바로 그 사실로 인해), 원자폭탄과 같이 “단순히 사람을 죽이는 권한만이 아니라 생명 그 자체를 죽이는 주권이 작동”(IFDS, p. 226/ 291쪽)하는 권력이 어떻게 등장할 수 있었는지, “어떤 인구를 일반적인 죽음에 직면하게 만드는 권력은 또 다른 주민에게 생존의 유지를 보증하는 권력의 이면”(HS I, p. 180/ 147쪽)이 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한지 해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강의록에서는 이러한 역설을 국가 인종주의 개념을 통해 해명하는 반면,[󰡔“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에서 제시된 국가 인종주의에 관해서는 이번 호에 수록된 최원의 글을 참조. 󰡔비정상인들󰡕에서 푸코는 인종주의,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전개된 네오 인종주의의 뿌리를 정신의학에서 찾고 있다. 사실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강의 제목은 비정상인들의 위험으로부터 사회를 보호하려 했던 19세기 말 정신의학자들의 주장에서 유래한다.] [성의 역사 1권]에서는 역설의 원인을 명시적으로 지적하지 않고 다만 생명 권력에 내재한 역설을 부각시키고 있을 뿐이다. “문제는 더 이상 주권이라는 법적 존재가 아니라 주민이라는 생물학적 존재다. 민족 말살이 정말로 근대 권력의 꿈이라면, 그것은 낡은 죽일 권리가 오늘날 재래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권력이 삶, 인류, 민족, 그리고 대규모적인 인구 현상의 위상에 자리를 잡고 행사되기 때문이다.”(HS I, p. 180/148쪽)

 

생명 권력/생명 정치 개념이 비교적 상세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 두 개의 텍스트 사이의 차이점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역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푸코의 생명 권력/생명 정치 개념의 역설은 이 개념이 어디에서도 그 자체로 주제화된 적이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성의 역사 1권]에서 이 개념은 생명과 정치의 관계를 독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아니라 “성적 장치”의 특수성을 해명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서 등장하고 있다.[“정치적 쟁점으로서 성의 중요성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생명에 근거를 둔 모든 정치적 기술이 전개되는 내내 성은 두 중심축[신체의 규율과 인구의 조절]의 접합점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HS I, p. 191/156쪽.] 그리고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에서는 “니체의 가설” 아래 국가 인종주의의 전개 과정을 해명하기 위한 개념 장치로 도입되고 있다. 더 나아가 푸코는 1977-78년 강의록인 󰡔안전, 영토, 인구󰡕 첫머리에서 그 해의 연구 주제는 “생명 권력”에 대한 탐구라고 말하지만(STP, p. 3), 2월 1일 강의부터는 새로운 주제, 곧 “통치gouvernement”라는 주제가 전면에 등장해서 마지막 강의까지 중심적인 논의 대상이 된다.[특히 2월 1일 강의(좀더 정확히 말하면 이 강의록의 이본(異本))는 1978년 이탈리아어로 번역되고 다시 1979년 영어로 번역된 뒤, 1990년대에 영국의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그룹을 중심으로 영미 사회과학계에서 통치의 문제설정이 확산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Governmentality”, in Graham Burchell et al. eds.,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참조.] 또한 1978-79년 강의록인 󰡔생명 정치의 탄생󰡕에는 강의의 제목에도 불구하고 생명 정치가 직접적인 주제로 등장하지 않고, 대신 독일과 미국의 신자유주의의 통치 기술에 대한 분석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결국 생명 권력, 생명 정치라는 개념이 푸코의 작업 과정에서 한때 등장했다가 사라진, 또는 다른 주제로 대체된 부차적이고 일시적인 주제라는 것을 뜻할까? 우리가 보기에 생명 정치 개념이 어디에서도 직접적인 논의 주제로 등장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이 개념의 중요성을 감소시키기는커녕 오히려 그 의의를 더 두드러지게 하는 것 같다. 왜냐하면 생명 정치는 일종의 부재하는 중심으로서 다른 개념들, 다른 분석 영역들에 현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3. 푸코의 위기

 

이 점을 좀더 정확히 해명하기 위해서는 푸코의 작업에서 생명 정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맥락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1970년대 후반, 좀더 정확히 말하면 󰡔성의 역사 1권: 앎의 의지󰡕가 출간된 1976년 이후의 시기는 푸코 사상의 중요한 전환기, 또는 들뢰즈의 표현을 빌리면 푸코의 위기의 시기였다. 푸코는 그 자신이 “나의 첫 번째 책”이라고 불렀던 󰡔감시와 처벌󰡕(1975)을 출간한 뒤, 총 6권으로 된 󰡔성의 역사󰡕의 출간 계획을 세우면서 먼저 1권인 󰡔앎의 의지󰡕를 그 다음해에 출간하지만, 그 이후 󰡔성의 역사󰡕 2권과 3권은 1984년에야 출간된다. 8년이라는 간격은 푸코가 작업한 기간 동안 시간상으로 가장 길 뿐만 아니라 󰡔성의 역사󰡕 1권과 2ㆍ3권은 다루는 시기에서(1권은 17세기-18세기, 2, 3권은 고대 희랍과 로마로) 그리고 그 주제상으로도(1권은 프로이트 마르크스주의의 억압 가설에 대한 비판을 다루는 반면, 2, 3권은 성적 쾌락을 둘러싼 윤리적 실천에 대해 고찰)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시기는 푸코 사상의 위기의 시기이자 전환의 시기로 불릴 만하다.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들은 푸코가 이 시기에 수행했던 작업들, 그의 사상적 고투와 갈등, 변모 과정을 좀더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푸코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첫머리에서 담담하게, 하지만 명료하게 자신이 직면한 이 위기에 관해 진술하고 있다. 그 위기는 무엇보다도 70년대 초, 즉 󰡔담론의 질서󰡕(및 「니체, 계보학, 역사」) 이래 푸코가 수행해왔던, 이른바 권력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가 직면한 위기였다. 푸코가 몇 차례에 걸쳐 지적하듯이 70년대 전반기의 계보학 연구는 근대 자유주의 이론과 마르크스주의라는 이중의 비판 대상을 겨냥하여 수행되었다. 이 두 가지 사조는 대립적인 경향을 띠고 있지만, 또한 “권력 이론에서 “경제주의””(IFDS, p. 14/31쪽)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을 공통점으로 지니고 있었다. 곧 자유주의의 경우 권력을 모든 개인이 지닌 소유물로 간주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양도를 통해 주권이 형성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권력을 소유와 교환, 유통의 대상으로 본다는 점에서 경제주의적이라면, 마르크스주의는 정치권력의 존재 이유와 형식, 기능의 원칙을 경제 안에서 발견한다는 점에서 역시 경제주의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이 점에 관한 좋은 논의로는 Thomas Lemke, “Foucault, Government, and Critique”, Rethinking Marxism, vol. 14, no. 3, Fall 2002 참조.]

 

이러한 경제주의에 맞서 푸코는 󰡔감시와 처벌󰡕과 󰡔앎의 의지󰡕에서 관계론적 권력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관점에 따라 형벌 제도의 변화 과정이나 성적 장치들의 구성과 변모에 대해 분석했다. 관계론은 크게 세 가지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권력 분석의 방법론에 대한 푸코의 논의로는 특히 󰡔감시와 처벌󰡕 1부 1장, 󰡔성의 역사󰡕 4장 2절,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1월 7일 및 1월 14일 강의 참조.] 첫째, 관계 이전에 존재하는 관계의 원초적인 대립항(예컨대 신민 대 군주, 개인 대 국가, 노동자 대 자본가 등)에서 출발하지 말고 그 항들을 규정하는 관계로부터 출발할 것. 둘째, 권력 이전에 존재하는 자유로운 또는 자율적인 주체나 자기 자신의 소유자로서 개인을 상정한 가운데 권력을 분석하지 말고, 주체 또는 개인의 구성을 근대 권력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간주할 것.[푸코에게서는 명확히 나타나지 않지만 여기서 “주체”와 “개인”은 동일한 내포를 갖는 것은 아니다. 에티엔 발리바르를 따라서 말하자면, 주체가 루소-칸트로 이어지는 대륙 철학 전통에서 공동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제시된 개념이라면, 개인은 소유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미 정치철학, 특히 (홉스 및) 로크에서 발원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Balibar, “Is a Philosophy of Human Civic Rights Possible?”, The South Atlantic Quarterly vol. 103, no. 2/3, 2004 참조.] 따라서 주체 또는 개인을 원초적인 존재자로 파악하지 말고 예속화 메커니즘의 효과로서 이해할 것. 셋째, 권력을 어떤 중심에서 파생되고 조직되는 것으로 이해하지 말고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서로 교차하고 준거하고 접근하거나 대립하는, 다양하고 차별적인 힘들의 관계로 파악할 것.

 

푸코에 따르면 기존의 권력론에 대한 이러한 비판 또는 해체는 두 가지 효과를 낳았다. 그 하나는 포괄적이며 전체적인 이론, 따라서 실제의 투쟁에서 별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론(마르크스주의나 정신분석)을 억제하고 비판의 국지성을 살려낸 것이다. 둘째는 이러한 비판을 통해 “앎의 회귀” 또는 좀더 정확히 말하면 ““예속된 앎”의 반항”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푸코가 말하는 예속된 앎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우선 기능적이고 체계적인 전체 안에 들어 있으나 은폐되어 있던 앎을 뜻하며, 박학을 통한 비판 작업만이 이러한 앎들을 드러낼 수 있다. 그 다음 이 앎은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은 앎 또는 비개념적 앎들로 폄하된 일련의 앎들”(IFDS, p. 9/ 24쪽)을 가리킨다. 곧 의학이나 범죄학 등에 비해 주변적인 앎, 정신의학 대상자의 앎이나 환자의 앎, 간호사의 앎 등을 가리킨다.

 

이러한 이중적 성과는 정확히 푸코가 1968년 이후 이른바 고고학에서 계보학으로 방법론적 전회를 하며 추구했던 이론적ㆍ실천적 목표와 부합하는 것이다. 그는 에밀 졸라나 사르트르 등이 대변하는 보편적 지식인, 곧 어떤 보편적 이상이나 가치의 이름 아래 권력의 억압과 폭력에 신음하는 사람들을 위해 구체적인 투쟁들에 관여하는 지식인은 현대 사회에서 유효한 진리 효과, 정치적 효과를 산출할 수 없다고 본다. 오히려 지식인은 “특수한 지식인intellectuel spécfique”(DE III, p. 111), 곧 특수한 영역에 대한 특수한 전문적인 앎을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인 투쟁들에 관여하는 지식인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식인은 더는 억압되고 지배받는 사람들을 위해 투쟁하는, 그들을 대신하여 권력에 맞서는 지식인일 수 없으며, 오히려 권력의 그물망에 따라 규격화되고 갇혀 있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앎을 깨닫고 그들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식인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면 왜 이러한 작업이 문제가 되는가? 무엇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더 이상 지속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불연속성의 그토록 멋진 이론 [...] 을 왜 우리는 더 계속하지 않는 것일까? 왜 나는 정신의학이나 성이론 등에 관한 어떤 소소한 주제를 택하여 그것을 더 발전시키지 않는 걸까?”(IFDS, p. 12/ 28-29쪽) 그것은 그가 처음에 계보학(및 그 이전에 고고학)을 통해 목표로 삼았던 것과는 다른 정세, 다른 상황이 도래했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 어떤 “세력 관계”가 문제인가? 그것은 바로 계보학을 통해 밝혀내고 풀어내고 유통시킨 요소들, 예속에서 “회귀한 앎들”이 “통합적 담론들에 의해 다시 코드화되고, 다시 식민상태로 떨어질 위험”, 또는 이처럼 되살려낸 단편들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 자신의 손으로 우리식의 통합적 담론을 하나 구축할 위험”이다.

 

따라서 푸코가 직면한 위기는 얼마간 성공을 거두었던, 일종의 해체 작업이 직면한 위기였다. 규율 권력, 항상 특수한 영역에서 특수한 지식을 통해 특수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규율 권력에 저항하기 위해 “박식한 앎과 국부적인 기억”을 결합한 계보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한가? 이는 이중적으로 불충분하다는 점이 드러난다. 첫째, 특수한 지식인으로서 푸코가 70년대 전반까지 수행한 작업은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는 권력이 규율 권력, 규율의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전제한다. 하지만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는 규율 권력 이외의 또다른 권력의 메커니즘, 곧 생명 권력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규율 권력과 생명 권력은 서로 동질적인 것도 서로 대립하는 것도 아니며, 오히려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목표를 위해 상이한 기술을 통해 작동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두 가지 권력의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계보학 작업이 좀더 충실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이 두 번째 권력의 유형, 곧 생명 권력의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불충분함은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또 다른 문제점은 권력 안에서 권력에 저항하는 방식과 관련되어 있다. 규율 권력이 규격화되고 정상화된 개인들을 제작하여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면, 규율 권력에 대한 저항은 무엇보다 규격화에 대한, 정상화에 대한 저항을 의미한다. 그러나 규격화/정상화에 대한 저항은 충분한 것인가? 우선 규격화/정상화에 대한 저항은 필연적으로 특수한 규율 권력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확인해두자. 왜냐하면 규율 권력 이전에 미리 존재하는 개인들, 주체들이란 없으며, 규율 권력을 통해서만 비로소 개인들과 주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격화/정상화에 대한 저항은 규율 권력 내부에서 규율 권력이 개인들, 주체들을 생산하기 위해 설정한 “규준들normes”에서 벗어나는, 그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천하고 행위하는 데서 성립한다.[이 점에 관한 좋은 논의로는 Guillaume Le Blanc, La pensée Foucault, Ellipses 2006, 1장을 참조.] 더 나아가 각각의 규율의 영역들에서 고립되어 있는 규율된 주체들,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여 규율들의 연관망에 저항하는 “우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통의 망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이러한 경험들, 이러한 고립된 반역들이 공통의 지식과 상호 조정된 실천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DE II, p. 176.] 그리고 바로 여기에 특수한 지식인들의 역할이 있다. 특수한 지식인들은 규율 권력 내부에 있는 주체들이 (규율 권력 지식이 아니라) 규율 권력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고,[이 지식은 각각의 주체들이 이미 암묵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를 조직하고 다른 영역의 개인 주체들과 소통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한다.[푸코가 주창하여 설립한 “감옥에 관한 정보모임Group d'information sur les prisons”의 창설과 활동은 바로 이러한 특수한 지식인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모임의 결성 선언문과 활동 내용에 대해서는 DE II, pp. 174 이하 참조.]

 

하지만 권력이 특수한 개인들이 아니라 종으로서의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면,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고유한 규준에 따라 개인들을 규격화/정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집합적이고 익명적인 규준들에 따라 전체 인구를 조절하고 정상화하려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규율 권력에 저항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권력의 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가? 아니 그 이전에, 특수한 규율 권력의 영역 안에서 형성된 개인 주체들이 아니라 인구 전체의 차원에서 규격화/정상화의 작용에 저항하는 주체를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가? 규율 권력에 대한 분석의 성과들을 포기하지 않고 생명 권력이라는 새로운, 또 다른 유형의 권력의 작용에 맞서는 일은 어떻게 가능한가? 바로 이러한 질문들이 70년대 전반기까지 푸코가 수행했던 계보학 작업이 직면한 위기였으며, 생명 권력에 대한 작업은 이러한 위기를 전환시키기 위한 모색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4. 규율 권력과 생명 권력의 차이

 

규율 권력과 생명 권력 개념은 몇 가지 점에서 동일한 선상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양자는 권력에 대한 관계론적 관점을 방법론적 기초로 삼아 분석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노선 위에 있다. 또한 두 개념은 이전까지 정치의 영역이라고 간주되지 않았던 영역을 정치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또 그곳에서 정치 권력의 핵심 메커니즘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규율 권력 개념이 학교, 공장, 병원, 감옥 같은 곳에서 자본주의 사회의 주요 권력(곧 규율 권력)이 형성되고 정련되어 확산되는 장소를 발견하는 것이나 생명 권력 개념이 출생율과 사망률, 수명 등과 같은 인구에 관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19세기 이후 서양 사회를 조절하는 주요 권력의 징표들을 찾는 것에서 이를 잘 살펴볼 수 있다.

 

반면 양자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점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점들은 왜 푸코가 규율 권력에 대한 분석에서 생명 권력에 대한 분석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통치의 문제설정으로 이행하게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첫째, 두 가지 권력은 우선 대상에서 차이가 난다. 17세기-18세기에 걸쳐 등장한 규율 권력이 개인의 신체를 대상으로 삼아, 감시와 훈련, 이용 및 처벌이 가능한 순종적인 신체, 유순한 개인들로 해체하는 권력이라면, 18세기 말에 등장하기 시작한 생명 권력은 개체가 아니라 종으로서의 인간 또는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삼는 권력이다.

 

이러한 대상의 차이는 두 가지 권력의 기술이 추구하는 목표,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한 차이에서 유래한다. 규율 권력이 목표로 삼는 것은 정치권력에 순종하면서 자신이 지니고 있는 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개인들을 “제작해내는” 것이었다. 따라서 규율 권력의 목표는 다양한 규율의 기술들을 통해 예속적 주체, 개인들을 만들어내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생명 권력은 더는 개인들 및 그들의 신체가 아니라 생명 그 자체의 조절과 관리를 목표로 삼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개인들의 규율과 예속이 아니라 인구 전체의 생명의 보존과 증진, 강화가 문제가 되며, 보건 의료의 시행과 사회 보장 제도의 도입, 각종 인구 정책의 도입 등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구체적인 권력의 기술이다.

 

세 번째 차이점으로는 규율 권력에 대한 분석과 달리 생명 권력에 대한 논의에서는 국가의 활동, 국가의 작용이 전면에 등장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감시와 처벌󰡕에서 국가는 권력 관계 분석에서 아무런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오히려 국가는 권력 관계를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한 주요 장애물로만 인식될 뿐, 독자적인 실재성을 지닌 권력 관계로 파악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은 특히 알튀세르가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 국가장치」에서 국가를 분석하기 위한 주요 개념 장치로 제안한 “국가 장치appareil d'état” 개념에 대한 불신에서 잘 엿볼 수 있다. “우리는 국가장치라는 통념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는 너무 광범위하고 너무 추상적이어서 신체 및 개인들의 행위, 몸짓, 시간에 대해 행사되는 이 직접적이고 미세하며 모세관 같은 권력들을 가리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가 장치는 권력의 미시물리학을 해명하지 못한다.”[M. Foucault, PS, p. 17. 또한 “Questions à Michel Foucault sur la géographie”, in DE III도 참조.]

 

하지만 생명 권력/생명 정치에 대한 분석에서 국가는 권력의 주요 집행자로 등장한다. 푸코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3월 17일 강의 첫머리부터 이 점을 명시한다. “19세기의 기본 현상 중 하나는 소위 생명에 대한 권력의 관심인 것 같다. 권력이 생명체로서의 인간을 장악하는 것, 생물학의 국유화라고나 할까, 아니면 적어도 생물학의 국유화라고 부를 수 있는 어떤 것으로의 경도 현상이다.”(IFDS, p. 213/277쪽) 또한 푸코가 인종주의를 “국가 인종주의”로 제시하는 데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사실 각각의 개인이나 이러저러한 특수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종으로서 인구의 생명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작용이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푸코가 권력 분석에서 중심과 주변, 상부와 하부의 모델, 따라서 소유의 모델을 다시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문제는 국가라는 집행자를 더 이상 권력의 주체로, 지배의 주체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도록 계보학적 관점에서 국가 개념을 개조하는 것이다.[푸코는 2년 뒤에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했던 한 강의에서 이러한 방법론적 논점을 좀더 엄밀히 표현하고 있다. NB, pp. 78 이하 참조.]

 

그런데 이렇게 되면 푸코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또는 조심스러운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결국 푸코의 입장은 알튀세르의 관점과 그리 멀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신의학 권력󰡕에 관한 강의로부터 불과 2년 뒤에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에서 “장치”라는 용어, 심지어 “국가 장치”라는 용어가 긍정적으로 쓰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리고 제도들은 예컨대 경찰과 같은 장치들에서 볼 수 있듯이 손쉽게 국가적 차원으로 넘어간다. 경찰은 국가 장치이며 동시에 규율 장치un appareil de discipline et un appareil d'état다.”(IFDS, p. 223/ 288쪽)

 

하지만 푸코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1977-78년 강의록인 󰡔안전, 영토, 인구󰡕에서는 국가에 대한 분석에서 “통치gouvernement” 또는 “통치성gouvernementalité” 개념을 도입한다. 통치라는 용어는 서양 정치철학의 전통에서 면면히 이어 내려오는 것이지만,[특히 중세 정치철학에서 근대에 이르는 통치 개념의 역사에 관해서는 Michel Senellart, Les arts de gouverner, Seuil, 1995 참조.] 푸코가 주목하는 것은 16세기 반마키아벨리 저술가였던 기욤 드 라 페리에르Guillaume de La Perrière가 도입한 통치 개념이다. 그의 통치 개념은 특히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 첫째, 그는 통치를 군주와 신민의 관계에 제한하지 않고, 가족, 수도원, 학교 등과 같은 사회의 다양한 영역들에 적용되는 다양하고 내재적인 “기예”로 보았다. 둘째, 그는 마키아벨리와 달리 통치의 핵심 문제를 영토의 문제로, 곧 군주가 자신의 영토를 지키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신민들의 복종을 이끌어내는 능력의 문제로 이해하지 않고, 인구 또는 사람들과 사물들 사이의 복합체를 관리하고 다스리는 기예의 문제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푸코는 18세기 말 이후 서양 사회에 확산된 통치의 기술은 라 페리에르가 제시한 두 가지 개념적인 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본다.

 

통치 개념의 도입은 우리의 논의와 관련하여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이는 생명 권력 개념에 의해 권력 분석의 주요 대상이 된 국가를 계보학의 관점에서 다루기 위한 푸코의 의도를 대변해준다. 사실 푸코가 󰡔성의 역사 1권󰡕이나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에서 제시한 생명 권력이나 생명 정치에 대한 분석은 국가를 주요 집행자로 제시하고, 생명 권력이 작동하는 다양한 영역들을 예시하고 있지만, 국가가 권력의 장치로서 기능하는 구체적인 기술 또는 “기예”에 관해서는 충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통치 또는 통치성이라는 개념은 바로 이러한 권력의 기술을 해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의미에서 󰡔안전, 영토, 인구󰡕 및 󰡔생명정치의 탄생󰡕의 편집자인 세넬라르가 생명 권력 개념과 통치 개념을 대체의 관계로 보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 M. Senellart, “Situation des cours”, in STP, p. 399.] 둘째, 이 개념은 우리가 앞서 지적했던, 생명 권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생명 권력 개념이 그 이전까지의 푸코의 작업에 대해 제기하는 난점은 그것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사고하기 어렵다는 점이었는데, 이는 규율 권력과 달리 생명 권력은 개인 주체가 아니라 종으로서의 인구에 대해 작동하며, 그것이 제시하는 규준 역시 집합적이고 익명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푸코가 도입한 통치라는 개념은 이 문제를 좀더 구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해준다.

 

푸코는 「주체와 권력」이라는 글[이 글은 허버트 드레퓌스와 폴 레비나우의 저서에 부록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Hubert Dreyfus & Paul Rabinow, Michel Foucaul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주체와 권력」, 정일준 편역, 앞의 책.]에서 그때까지 자신의 작업을 세 가지로 구별하고 있다. 첫째는 스스로에게 과학의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질문 양식이고(이른바 고고학적 작업), 둘째는 “주체의 대상화”, 곧 미친 자와 정상인 자, 병자와 건강한 자, 범죄자와 착한 소년들을 구별하는 실천에 관한 분석이며, 셋째는 인간이 자신을 주체로 전환시키는 양식에 관한 연구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연구의 일반적 주제는 “권력이 아니라 주체”라고 말하고 있다. 또는 좀더 정확히 말하면 예속화assujettissement/sujétion 양식과 주체화subjectivation 양식의 갈등적인 과정에서 산출되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자기를 변형시켜나가는 주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푸코는 규율 권력에 대한 분석, 특히 󰡔감시와 처벌󰡕이나 󰡔비정상인들󰡕에서 근대 규율 권력이 어떻게 개인 주체들을 예속적 주체로 생산해내는지 분석한 반면, 생명 권력/생명 정치 개념이 도입된 이후 말년의 몇몇 글에서는 예속적 주체들, 규율된 주체들이 생산되는 예속화 양식과 구별되는 주체화 양식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푸코가 제시하는 주체화 양식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푸코에게서 권력은 관계론적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해두는 게 좋다. 하지만 권력이 관계론적이라는 것은 우리가 앞서 간단히 지적했던 것처럼 반드시 모든 주체가 예속적 주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권력을 관계로서 이해한다는 것은 권력의 기술에 따라 예속적인 주체가 산출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이전에, 권력의 작용 속에는 항상 이미 저항의 가능성이 들어 있다는 것, 또는 예속적인 주체는 항상 이미 그 예속에 저항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계로서의 권력은, 고착된 상태의 권력 관계, 곧 지배와 구별되며, 그 자체 안에 항상 저항과 자유의 가능성을 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저항과 자유 역시 관계론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다시 말해 예속과 지배가 관계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저항과 자유 역시 관계들로 구성된다.

 

다시 앞의 논의로 돌아간다면, 저항의 문제, 규격화/정상화의 작용에 대한 반항의 문제와 관련하여 생명 정치와 통치성의 개념은 두 가지의 상이한, 하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준다. 푸코는 후기에 씌어진 「반역하는 것은 무익한가Inutile de se soulever?」라는 짧은 글에서 생명 정치의 관점에서 “반역” 또는 “봉기”의 가능성을 제기한다.[DE III, pp. 790-94.] 푸코는 “반역”의 의미를 역사적인 한 사건이 아니라 역사와의 구체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는 가능성 자체로 이해한다. 그런데 푸코에게 이러한 가능성은 바로 “생명”에 근거를 두고 있다.

 

어떤 한 사람, 한 집단, 소수 집단이나 민족 모두가 “더 이상 복종하지 않겠다”고 말하면서 그가 부정의하다고 판단하는 권력의 면전에서 자신의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는 운동, 이 운동은 내가 보기에는 제거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권력도 이를 절대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 획득되거나 요구된 모든 형태의 자유, 사람들이 가치를 부여하는 모든 권리는 [...] 분명 여기에 자신의 궁극적인 고정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자연권”보다 더 견고하고 더 가깝다.(DE III, pp. 790-91)

 

이 구절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 먼저 푸코는 여기서 권력과 생명, 또는 자신의 목숨을 무릅쓰는 어떤 생명체들을 대비시키고 있다. 전자의 권력이 규격화/정상화하는 권력, 규율 권력이자 생명 권력이라면, 후자의 생명의 운동은 이러한 규격화/정상화에 저항하는 생명체에 고유한 규준성normativité의 표현(캉길렘의 의미에서),[하지만 이는 또한 스피노자, 푸코에게도 공통적이다. P. Macherey, “Pour une histoire naturelle des normes”, in collectif, Michel Foucault philosophe, Seuil, 1988; Guillaume Le Blanc & Pascal Sévérac, “Spinoza et la normativité du conatus”, in Jacqueline Lagrée ed., Spinoza et la norme, PUPC, 2001 참조.] 또는 일종의 생명 정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생명체의 규준성은 모든 권리의 궁극적인 기반이 된다. 다시 말해 반역 내지 봉기의 운동은 자연권이나 인권 같은 초월적인 규범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저러한 정상화에 저항하는 생명체에 고유한 규준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명의 규준성은 항상 역사 속에서 발현되고 역사에 내재하지만, 동시에 이러저러한 역사적 사건들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사 초월적이기도 하다. 이는 곧 아무리 강력한 권력일지라도 온전히 제거해버릴 수 없는 저항의 가능성이 항상 이미 생명 속에 내재해 있으며, 이것이야말로 모든 자유와 권리, 따라서 모든 정치의 가능성의 조건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푸코는 권력 관계가 함축하는 자유로운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말년의 한 대담에서 “자기 통치” 또는 “자기에 대한 자기의 관계”라는 개념을 도입한다.[이는 HdS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자유로운 개인들이 타인과 관련된 전략들을 구성하고 정의하고 조직하며 수단화할 수 있는 실천들의 총체”[정일준 편역, 앞의 책, 124쪽.]로서의 자기 통치 또는 자기 관계는 권력의 관계들에서 벗어나 있는 자유로운 개인들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권력의 전략적 관계들 속에서, 지배 권력의 기술들과 다른 새로운 자기 구성의 기술을 실행하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확립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기의 근거로서 생명체의 규준성이라는 관념이 푸코가 생각하는 생명 정치의 일단을 표현해준다면, 자기 통치의 개념은 지배적인 관계에 의해 포섭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지배 관계를 구성하지도 않는 일종의 생명 윤리의 한 방식을 보여준다. 이 두 가지가 서로 결합될 수 있을까? 푸코가 말년에 고심했던 핵심적인 문제 중 한 가지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이 문제는 또한 생명 권력에 대한 분석에 머물지 않고, 더욱이 인간의 존엄성, 생명의 신성함이라는 낡은 기독교적 관념에 의거하여 생명에 대한 새로운 지식의 발전과 생명체의 인공적인 변형 가능성에 대해 금지와 배제의 태도로 일관하는 기존의 생명 윤리의 고답적인 태도[이 문제에 관해서는 특히 도미니크 르쿠르, 󰡔인간 복제 논쟁󰡕 권순만 옮김, 지식의 풍경, 2005 참조.]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면 마땅히 숙고해봐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백작가 2014-08-16 2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이버 블로그 보내기가 없어서 담아가요!

balmas 2014-08-17 11:25   좋아요 0 | URL
예 알겠습니다.^^

개굴희 2015-12-16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 글 읽고 갑니다!

balmas 2015-12-17 19:28   좋아요 0 | URL
예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SOPHIA 2016-01-26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잘 봤습니다.^^ 좀더 읽고싶어 제 블로그에도 공유하고 싶네요~ 먼저 글 담아가고 허락을 구하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balmas 2016-01-26 23:17   좋아요 0 | URL
예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Brian 2016-03-16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덕분에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도 쉽게 이해했습니다.

balmas 2016-03-20 12:45   좋아요 0 | URL
도움이 되셨다니 반갑습니다.^^
 

지난 주말 경향신문 [21세기에 보는 20세기 사상 지도]에 실렸던 글 한 편 올립니다.

이 글 역시 인용이나 토론을 원하는 분들은 신문 지면에 실린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1930~2004)는 가장 유명한 현대 철학자 중 한 명이지만 역설적이게도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는 사상가이기도 하다. 왜 그럴까? 그것은 일차적으로 그의 저작이 꽤 난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나 󰡔기록과 차이󰡕(국내에는 󰡔글쓰기와 차이󰡕로 번역돼 있다) 같은 그의 저작들은 상당히 난해하다. 하지만 다른 한편 그의 저작들이 6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혀왔다는 사실은 그의 사상과 글쓰기가 많은 사람들을 매혹시켜왔음을 입증해준다. 무엇이 사람들을 그처럼 매혹시켰을까?

 

로고스 중심주의의 해체

 

이는 무엇보다 그의 철학의 전복적인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초기 데리다에게 서양의 철학사는 현존(presence)의 형이상학의 역사였다. 이 점에서 데리다는 하이데거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하이데거는 서양의 철학사를 존재 망각의 역사로 규정한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사상가들이 남긴 단편들에서는 존재가 ‘현존’으로, 곧 현존하는 것을 현존하게 해주는 운동 내지 사건으로서 이해되었으나, 플라톤 이후에는 존재가 실체로 이해되어 존재가 지닌 사건의 성격이 상실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의 형이상학은 그리스 초기 사상가들에서 나타났던 증여의 사건으로서 존재 의미가 점차로 망각되어온 역사이며, 이는 니체에 이르러 절정에 이르렀다.

 

데리다는 현존의 형이상학에 관한 하이데거의 관점을 받아들이되 그것을 두 가지 측면에서 수정한다. 첫째, 하이데거와 달리 데리다는 소크라테스 이전 사상가들의 단편에서 존재가 원초적으로 자신을 드러냈다고 보지 않으며, 철학자들의 저작 속에서만 서양 형이상학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것은 문학과 예술 및 인문과학에서도 나타난다. 둘째, 더 나아가 데리다는 하이데거도 역시 현존의 형이상학의 울타리 안에 갇혀 있다고 본다. 그 이유는 하이데거가 여전히 로고스 중심주의적 편향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데리다가 말하는 로고스중심주의 또는 음성 중심주의란 다음과 같은 뜻이다. 서양의 형이상학은 의미나 진리의 생생한 현존으로서 로고스를 추구해왔으며, 이러한 로고스는 음성을 통해서, 대화를 통해서 현존하는 그대로 드러난다고 간주해왔다. 이는 플라톤이나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오래된 철학자들만이 아니라 루소나 후설, 하이데거 같은 근대 철학자, 그리고 소쉬르나 레비스트로스 같은 20세기의 인문과학자들의 작업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음성을 로고스를 생생하게 구현해주는 본래적인 매체로 특권화하고 대신 문자나 기록 일반은 이러한 음성을 보조하는 데 불과한 부차적인 도구로 간주하는 이론에서는 어디서든 현존의 형이상학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데리다에게 현존의 형이상학은 ‘로고스중심주의’이자 ‘음성중심주의’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데리다는 서양 형이상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체 작업은 근본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하이데거가 ‘존재의 부름’이나 ‘존재의 목소리’ 같이 음성 중심주의가 깃든 은유들을 자주 사용하고, 또 진정한 존재의 의미는 기호들의 연관망에서 벗어나 있다고 간주하는 한에서 그는 여전히 서양 형이상학의 울타리 안에 갇혀 있다.

 

데리다는 이러한 현존의 형이상학을 정면으로 거부하거나 반박하는 대신 그것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타자를 전제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 타자는 바로 에크리튀르(écriture), 곧 기록이다. 서양 형이상학은 주체들끼리 주고받는 음성적 대화를 특권화하면서 기록을 하찮은 것으로 매도해왔지만, 데리다에 따르면 기록이야말로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준 기술적 토대다.

 

왜 기록이 그처럼 중요할까? 왜 이 주장이 그처럼 전복적이고 혁신적이었을까?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기원이나 로고스가 기원이나 로고스로서 존재할 수 있으려면, 그것들은 반복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기원이나 로고스가 일회적(一回的)인 것으로 그친다면, 그것들은 아무런 의미도 지닐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반복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바로 기록이다. 기록이 없이는 우리는 아무것도 보존할 수 없으며, 따라서 기원도 로고스도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록에 의해 비로소 기원이나 로고스가 가능하다면, 현존의 형이상학의 주장과는 달리 기원보다 앞서는 것, 로고스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기록이 된다. 기원, 로고스의 이면에는 카오스의 검은 구멍만이 존재하며, 이 카오스와 로고스의 경계를 세우는 것이 기록인 셈이다.

 

유령의 정치학

 

그러나 이렇게 해서 기원과 로고스가 현존의 형이상학 내에서, 서양의 문명 내에서 그것들이 지니던 지위를 상실하게 되면, 결국 회의주의와 상대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데리다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조로 불리게 된 배경에는 그의 해체 작업에 의해 현존의 형이상학, 더 나아가 기존의 서양 문명의 질서가 위협받고 있다는, 삶의 질서가 와해될지 모른다는 사람들의 두려움이 깔려 있다.

 

하지만 데리다의 진의는 여기에 있지 않다. 그는 우리가 현존의 형이상학처럼 기원과 로고스를 근원적인 진리로 가정하게 되면, 더 이상 역사도 정의도 존재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모든 것이 기원과 로고스에 담겨 있는 이상 새로운 어떤 것을 발견하거나 발명하는 일은 불가능하게 되며, 서양 문명의 원리인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한 것을 정의로 간주하는 이상, 서양의 문명과 다른 타자들에 자신을 개방하고 그들을 존중하는 일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리다가 1990년대 이후 󰡔마르크스의 유령들󰡕 같은 저작에서 유령론에 입각하여 자신의 윤리ㆍ정치사상을 전개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살아 있는 것도 죽은 것도 아니고 현존하는 것도 부재하는 것도 아닌 유령들이라는 형상은 기원의 부재라는 해체론의 원리에 충실하다. 더 나아가 유령은, 살아 있으되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는 사람들, 곧 인간으로서,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박탈당한 우리 시대의 수많은 약소자들을 나타나기에 적합한 명칭이다.

 

데리다는 이주노동자들, 인종차별과 종교적 박해의 피해자들, 사형수들 및 그 외 많은 약소자들에서 유령의 구체적인 현실태를 발견한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들의 부름, 정의에 대한 호소에 응답하고 환대하는 일이야말로 살아 있는 자들이 감당해야 할 윤리적ㆍ정치적 책임이라고 역설한다. 따라서 데리다가 1990년대 이후 사회적 문제들에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개입한 것은 그의 철학사상의 전개과정과 매우 합치하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중요한 것은 우리와 다른 타자들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 어떻게 타자들을 절대적으로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데리다 사상의 영향과 현재성

 

데리다가 현대 인문사회과학에 미친 영향은 엄청나다. 그는 현대 문학이론을 논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사람 중 하나로, 해체, 텍스트, 산종(散種), 은유, 장르, 수행성에 관한 그의 이론은 문학연구의 핵심 키워드가 되었다. 또한 가야트리 스피박이나 호미 바바 같은 탈식민주의 이론가들의 작업에서도 해체론은 핵심적인 원리로 작용하고 있다.

 

데리다의 사상은 법학, 정치학 등의 분야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정전(正典)인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와 샹탈 무페의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1985)은 고전 마르크스주의를 해체하기 위해 데리다 사상을 원용한 바 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 영미권에서 전개된 비판법학운동은 해체론이 없었다면 아마 불가능했을 것이다.

 

에티엔 발리바르나 자크 랑시에르, 조르조 아감벤 같은 정치철학자들의 작업에 미친 데리다의 영향도 빼놓을 수 없다. 발리바르는 고전 마르크스주의를 해체하고 현대 민주주의 이론을 재구성하는 데 데리다의 작업에서 여러 가지 이론적 자원을 빌려오고 있으며, 랑시에르와 아감벤은 데리다의 해체론과의 비판적 대결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구축하고 있다. 데모스에 대한 랑시에르의 재해석이나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개념 등에서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데리다에 관한 해설서

 

국내에는 데리다에 관한 여러 개론서가 나와 있는데, 그 중에서 다음과 같은 책들이 도움이 될 만하다. 데리다를 처음 접하는 독자는 페넬로페 도이처의 󰡔HOW TO READ 데리다󰡕(변성찬 옮김, 웅진지식하우스)를 읽는 게 좋다. 도이처는 쉬운 어법으로 데리다의 핵심 사상을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어서 고등학생 정도의 독자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제이슨 포웰의 󰡔데리다 평전󰡕(박현정 옮김, 인간사랑)은 데리다에 관한 지적 평전이다. 학부 상급 학년 정도의 독자들이라면 도전해 볼 만한 책이다. 에른스트 벨러의 󰡔데리다-니체 니체-데리다󰡕(책세상, 2003)는 데리다 사상의 원천 중 하나인 니체와 데리다의 관계를 다루는 책이다. 저자는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두 사상가를 연결하고 있다. 학부 상급 학년 이상 수준의 독자들에게 적합한 책이다. 국내 연구자의 저서로는 김상환 교수의 󰡔해체론 시대의 철학󰡕(문학과지성사)과 뉴턴 가버와 이승종 교수가 공동으로 저술한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민음사)이 추천할 만하다. 김 교수의 책은 데리다 사상을 폭넓은 철학사적ㆍ문학사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있고, 가버와 이 교수의 책은 현대 영미철학의 원천인 비트겐슈타인과 데리다의 사상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유럽철학과 영미철학의 접근 가능성을 살피고 있다. 두 책 모두 대학원생 수준의 독자들에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질문 2012-05-18 1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개인적인 견해로는 먼저 읽어 본 뒤에 해설서를 읽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해설서에서 설명하는 것이 맞는지 틀린지 알 수 있습니다.

역설적인 얘기이기는 하지만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을 먼저 읽어 보아야 그 해설서에서 설명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그 해설서의 문제점이나 의도의 의도 같은 것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밑에 푸코에 대해 읽다보니 이런 생각이 드는 군요. '고등학생 정도', '학부 상급 학년 정도', '대학원생 수준' 등등의 말 자체가 ("교양 대중"이라는 말과 아울러) 일종의 규격화 내지 정상화라는 생각이 듭니다.

balmas 2012-05-18 23:31   좋아요 0 | URL
ㅎㅎㅎ 해설서에 관해 일종의 등급을 표시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셨군요. 사실 난이도로 상, 중, 하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제딴에는 조금 더 알기쉽게 표현하자는 의미에서 그렇게 얘기한 것입니다. 일종의 규격화 내지 정상화 아니냐라고 하셨는데, 좋은 문제제기라고 생각이 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약간 과잉반응이라는 느낌도 듭니다.^^;

2012-05-22 2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12-05-23 03:02   좋아요 0 | URL
ㅎㅎ 오랜만에 오셨네요. 근데 저도 비교를 해보지 못해서 뭐가 제일 좋은지 잘 모르겠네요. 저는 서울대출판부에서 나온 김형길 교수의 번역본밖에 없거든요.^^

2012-05-31 0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역사비평] 여름호에 실릴 글 한 편 올립니다. 지난 20여년 동안 국내의 푸코 수용을 다루는 글입니다.

아직 교정이 다 끝난 글이 아니기 때문에, 이 글을 인용하거나 이 글에 관해 토론하기를 원하는 분들은

출판된 [역사비평]에 실린 글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푸코에 대한 연구에서 푸코적인 연구로: 한국에서 푸코 저작의 번역과 연구 현황

 

 

I. 친숙하면서 낯선 철학자,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흔히 ‘포스트구조주의’로 분류되는[ ‘포스트구조주의’라는 말에 따옴표를 친 이유는, 이 단어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말과 더불어 현대 프랑스 철학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통용되어 왔지만, 정작 프랑스에서는 이 두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미국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는, 즉 미국 학계 및 언론계의 발명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에서 발명된 용어들로 프랑스 철학을 지칭하는 관행에 대해서는 의심을 품어볼 만하다. 이 문제는 다른 자리에서 좀더 심층적으로 다뤄볼 만한 주제다.] 동시대의 다른 프랑스 철학자들에 비해 큰 행운을 누린 철학자였다. 알튀세르, 데리다, 들뢰즈, 리오타르 등과 같은 대부분의 다른 철학자들이 세계적인 명성을 누리고 있었음에도 정작 프랑스 학계에서는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던 데 비해, 푸코는 󰡔광기의 역사󰡕(1961), 󰡔임상의학의 탄생󰡕(1963), 󰡔말과 사물󰡕(1966) 같은 저작들의 성공에 힘입어 일찌감치 대학에 자리 잡았고, 1970년에는 장 이폴리트(Jean Hyppolite)의 후임으로 프랑스 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자리인 콜레주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의 교수로 취임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 부임 이후에도 󰡔감시와 처벌󰡕(1975), 󰡔성의 역사 1권: 지식의 의지󰡕(1976)와 같은 저작들을 통해 미셸 푸코는 대중적인 명성은 물론이거니와 프랑스 학계의 중심에서 확고한 권위를 누렸다.

 

그의 행운은 사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97년부터 출간되기 시작한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다시 한 번 서구 학계에 푸코에 대한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감시와 처벌󰡕과 󰡔지식의 의지󰡕 출간 직후 푸코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강의했던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1975-76), 󰡔안전, 영토, 인구󰡕(1977-78), 󰡔생명정치의 탄생󰡕(1978-79) 같은 강의록들은 복지국가의 위기 및 신자유주의의 도래에 관한 정교한 분석을 담고 있어서 광범위한 인문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말 그대로 푸코 르네상스가 도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들뢰즈와 더불어 한국에서도 보기 드문 행운을 누린 현대 프랑스 철학자 중 한 사람이었다.[반면 데리다와 장-프랑수아 리오타르는 꽤 불운한 프랑스 철학자들로 간주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너무나 많은 오역본들이 범람하는 까닭에 그의 사상에 대한 상당한 오해가 만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리오타르의 경우는 오역도 오역이거니와 그의 주저들이 거의 소개되지 않고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우선 그는 국내에 소개된 프랑스 철학자들 중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가장 잘 소개된 철학자다. 1979년 󰡔성의 역사 1권󰡕이 푸코 저작 중에서는 처음으로 번역된 이후,[󰡔성은 억압되었는가?󰡕, 박정자 옮김, 인간사, 1979. 하지만 이 번역본은 꽤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1987년 󰡔말과 사물󰡕이 번역되고,[이광래 옮김, 민음사, 1987. 이 번역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었는데, 2012년에 질적으로 더 우수한 새로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말과 사물󰡕, 이규현 옮김, 민음사, 2012.] 곧이어 불문학자 김현이 엮은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이 출간되었다.[김현 엮음, 문학과지성사, 1989. 이 책 역시 번역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초기에 번역된 이 세 권은 푸코 저작들 가운데서 오역이 심한 편에 속한다.] 그리고 그 뒤 󰡔성의 역사󰡕 1~3권,[󰡔성의 역사 1권: 지식의 의지󰡕, 이규현 옮김, 나남, 1990; 󰡔성의 역사 2권: 쾌락의 활용󰡕, 문경자ㆍ신은영 옮김, 나남, 1990; 󰡔성의 역사 3권: 자기에의 배려󰡕, 이혜숙ㆍ 이영목 옮김, 나남, 1990.] 󰡔광기의 역사󰡕 축약본,[김부용 옮김, 인간사랑, 1991. 이 책은 영역본으로 출간된 󰡔광기의 역사󰡕의 축약본, Madness and Civilization, Vintage Books, 1971의 번역이다. 󰡔광기의 역사󰡕 완역본은 2004년 출간됐다.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나남, 2004. 이 책은 전반적으로 무난한 번역이지만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상당히 많이 눈에 띈다. 개역본을 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식의 고고학󰡕,[이정우 옮김, 민음사, 1992. 이 책도 전반적으로 무난한 번역이지만, 좀더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같은 역자가 번역한 󰡔담론의 질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담론의 질서󰡕, 이정우 옮김,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감시와 처벌󰡕[󰡔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오생근 옮김, 나남, 1994. 󰡔감시와 처벌󰡕은 이 판본 이외에 또 다른 번역본도 출간된 적이 있다.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박홍규 옮김, 강원대출판부, 1993.] 등이 연이어 소개되었다. 또한 김현, 이광래, 이정우 같은 국내 학자들의 푸코 연구서도 일찌감치 출간되어, 푸코는 프랑스 철학자들 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먼저 각광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김현, 󰡔시칠리아의 암소󰡕, 문학과지성사, 1990; 이광래,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 민음사, 1989; 이정우, 󰡔담론의 공간: 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민음사, 1994.]

 

2000년대 들어서는 들뢰즈에 밀려 푸코 저작의 번역 및 연구가 주춤했지만, 최근 󰡔비정상인들󰡕,[박정자 옮김, 동문선, 2001.]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박정자 옮김, 동문선, 1998.] 󰡔주체의 해석학󰡕,[심세광 옮김, 동문선, 2007.] 󰡔안전, 영토, 인구󰡕[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1.] 같은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계속 출간됨으로써 국내에서도 푸코에 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국내에서 한 철학자에 대한 관심이 20여년 넘게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2000년대 한국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 및 교양 대중에게 큰 영향을 미친 들뢰즈(/가타리)에 대한 관심이 2010년대 들어서 현격하게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푸코는 그야말로 예외적인 행운을 누리고 있는 철학자라고 할 만하다.

 

물론 푸코가 외국 및 국내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에 의해 많이 연구되고 또 교양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는 현상을 단순히 행운의 문제로 돌릴 수는 없다. 그것은 그만큼 푸코의 면밀한 분석과 깊은 통찰이 연구자들과 독자들에게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푸코의 규율권력에 대한 분석은 마르크스주의를 비롯한 기존의 급진 좌파 이론이 소홀하게 다룬 국가의 공권력 바깥이나 그 말단에 위치한 영역, 곧 학교, 병원, 감옥, 군대 등에서 작동하는 권력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다루고 있어서 커다란 반향을 얻고 있다.

 

하지만 푸코 저작이 이처럼 널리 번역되고 읽히고 있음에도 과연 푸코가 한국 학계에 제대로 수용되고 있는가 묻는다면, 마냥 긍정적인 답변만을 제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푸코 연구 및 수용이 특정한 분야에 편중되어 있을뿐더러,[국내의 푸코 연구는 크게 세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장 널리 소개되고 연구된 영역은 권력의 계보학 분야다. 하지만 푸코의 권력이론은 지배 권력에 대한 분석에서는 많은 통찰을 주는 반면, 저항이나 해방의 가능성은 사고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이유로 2000년대 이후에는 뚜렷한 연구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두 번째 분야는 후기 푸코 저작에서 나타나는 윤리의 계보학 및 실존의 미학에 관한 연구다. 특히 철학 연구자들이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특히 󰡔안전, 영토, 인구󰡕 및 󰡔생명정치의 탄생󰡕과 관련된 신자유주의에 관한 분석에서 푸코가 주요한 이론적 전거로 활용되고 있다.] 20여년의 수용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 푸코 사상에 대한 총체적인 상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푸코가 고전적인 의미의 철학자라기보다는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근대 사회의 권력 구조와 근대적 인간의 정체성에 관해 끊임없이 다르게 사유하기를 실천해온 연구자이자 실천가였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과연 한국에서도 이런 의미의 푸코적인 연구와 실천이 존재하고 있는지 자문해보지 않을 수 없다.

 

II. 푸코 저작의 번역 및 연구 상황

 

푸코의 저작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우선 푸코가 생전에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한 저작들이 존재한다. 󰡔정신병과 심리학󰡕,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 󰡔말과 사물󰡕, 󰡔지식의 고고학󰡕을 비롯하여 󰡔감시와 처벌󰡕, 󰡔성의 역사󰡕 1~3권에 이르는 이 저서들은 푸코 연구의 중심이 되는 저작들이다. 국내에는 󰡔성의 역사󰡕 1~3권을 비롯하여 푸코가 생전에 출간한 저작들은 거의 모두 소개돼 있으며,[푸코가 생전에 출간한 책 중에서 유일하게 한글로 번역이 되지 않은 책은 레이몽 루셀에 관한 책이다. Michel Foucault, Raymond Roussel, Gallimard, 1963.] 몇 권의 예외를 제외한다면 비교적 번역도 좋은 편에 속한다.[푸코 저작들 중 특히 번역에 문제가 있는 저작은 󰡔말과 사물󰡕, 이광래 옮김, 민음사, 1987; 󰡔임상의학의 탄생󰡕, 홍성민 옮김, 이매진, 2006이다. 반면 좋은 번역으로 꼽을 만한 것은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들과 󰡔감시와 처벌󰡕, 󰡔성의 역사󰡕 1~3권이다. 나남 출판사에서 출간된 󰡔감시와 처벌󰡕 및 󰡔성의 역사󰡕 1~3권 번역들은 처음 출간됐을 때에는 상당한 번역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지만, 그 이후 개정판이 나오면서 처음의 문제점들이 많이 해소됐다.] 그리고 국내에서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된 것이 이 첫 번째 부류의 저작들이다.

 

다음으로 푸코 사후에 󰡔말과 글󰡕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논문, 인터뷰, 강의 원고, 서문과 후기 등을 묶은 네 권짜리 책이 있다.[Michel Foucault, Dits et écrits, ed., Daniel Defert, vol. 1~4, Gallimard, 1988. 이 저작은 최근 두 권짜리 책으로 재편집되어 출간되었다. Dits et écrits, vol. 1-2, collection "Quarto", Gallimard, 2001. 이 글에서 󰡔말과 글󰡕의 인용은 이 두 권짜리 판본을 중심으로 한다.] 푸코는 프랑스 철학자들 중에서도 가장 인터뷰를 많이 남긴 사람 중 한 명이며, 또한 책으로 묶이지 않은 그의 여러 글들 역시 독자적인 학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는 초기의 문학비평과 70년대의 권력의 계보학에 관한 연구 및 인터뷰들, 니체와 계보학에 관한 글, 마르크스에 관한 긴 인터뷰, 게이 및 레즈비언 운동에 관한 인터뷰, 1979년 이란혁명에 관한 보고, 윤리에 관한 여러 인터뷰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런 의미에서 3000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의 󰡔말과 글󰡕은 푸코 연구의 또 다른 보고라 할 만하다.

 

하지만 국내에는 이 방대한 저작 중 극히 일부만이 번역ㆍ소개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 중 상당수는 영어 중역본인 데다가 꽤 심각한 번역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김현이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이라는 제목 아래 1960년대 푸코의 문학비평에 관한 글들을 묶어서 출간한 바 있고, 1980년 영어권에서 출간된 지식과 권력에 관한 인터뷰 모음집인 󰡔권력과 지식󰡕이 소개된 바 있으며,[Michel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Colin Gordon, Pantheon Books, 1980; 󰡔권력과 지식: 미셸 푸코와의 대담󰡕, 홍성민 옮김, 나남, 1991.] 푸코의 권력론과 푸코-하버마스에 관한 논쟁 자료들이 일부 소개되었고,[정일준 엮음,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정일준 엮음,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새물결, 1999. 이 두 권의 책은 푸코의 저술들만 묶은 것이 아니라 푸코의 저술들 이외에 비판가들의 글도 함께 수록하고 있다.] 마르크스에 관한 이탈리아 언론과의 인터뷰 모음집이 최근 번역된 바 있다.[미셸 푸코, 󰡔푸코의 맑스: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 이승철 옮김, 갈무리, 2004. 이 책의 원서는 1981년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대담집이며, 푸코 생전에는 불어로 출간되지 않았다가 사후에 󰡔말과 글󰡕에 수록되었다. 국역본은 영역본을 번역한 것이다. Duccio Trombadori, Conversazione con Michel Foucault, 10/17, Salerno, 1981; “Entretien avec D. Trombadori”, in Dits et écrits, vol. II.] 이 중에서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과 󰡔권력과 지식󰡕은 번역에 꽤 문제가 있어서 푸코의 초기 문학비평과 70년대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이 지닌 다면적 함의를 국내의 독자들이 충실히 접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말과 글󰡕에 대한 좀더 체계적인 번역과 소개는 국내의 푸코 연구를 위해 시급한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독일과 영미권에서는 이미 󰡔말과 글󰡕에 수록된 거의 모든 글에 대한 체계적인 번역과 소개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Michel Foucault, Dits et Ecrits. Schriften: Schriften in vier Bänden, Suhrkamp, 2005; The Essential Works of Foucault, 1954-1984, vol. 1~3, New Press, 2001.] 이는 푸코의 저작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푸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말과 글󰡕에 대한 기획 번역이 하루빨리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총 13권으로 기획되어 1997년부터 출간되기 시작한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있다. 푸코는 1970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에 재직하면서, 안식년인 1976-1977년을 제외하고 1년에 한 차례 대중들을 상대로 공개 강의를 진행했다. 이 강의를 위해 푸코 자신이 작성한 강의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청중들의 녹음자료를 바탕으로 편집자들이 재구성해낸 강의록이 출간되면서 푸코 연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 강의록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이 강의록은 푸코 사상의 전개과정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망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푸코 사상의 전개과정에는 몇 차례의 휴지기가 존재한다. 1969년 󰡔지식의 고고학󰡕(또는 󰡔앎의 고고학󰡕이라고 옮길 수도 있다)과 1970년 콜레주 드 프랑스 취임강연인 󰡔담론의 질서󰡕가 출간된 뒤 1975년 󰡔감시와 처벌󰡕이 나오기까지 5년 간의 공백기가 존재한다. 또한 1976년 󰡔성의 역사 1권: 지식의 의지󰡕가 나온 뒤 1984년 푸코가 사망하기 직전에 󰡔성의 역사 2권: 쾌락의 활용󰡕과 󰡔성의 역사 3권: 자기에의 배려󰡕가 출간되기까지 푸코는 무려 8년 동안 아무런 저작도 출간하지 않았다.

 

이 두 개의 휴지기는 푸코 사상의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라는 점에서 푸코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한 시기였다. 푸코는 󰡔지식의 고고학󰡕과 󰡔담론의 질서󰡕에서는 연구의 초점을 담론에 맞추고 있으며, 특히 󰡔지식의 고고학󰡕에서는 고고학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있다. 하지만 󰡔감시와 처벌󰡕 이후에 푸코는 권력과 지식의 관계 또는 비담론과 담론의 관계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이 5년의 시기 동안 푸코가 했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현재 세 권이 출간되었는데,[Michel Foucault, Leçons sur la volonté de savoir: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0-1971), Gallimard/Seuil, 2011; Le Pouvoir psychiatrique: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3-1974), Gallimard/Seuil, 2003; Les Anormaux: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4-1975), Gallimard/Seuil, 1999; 󰡔비정상인들󰡕, 앞의 책.] 이 시기의 강의록이 모두 출간되면 이 5년 동안 푸코 작업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좀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푸코 사상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좀더 중요한 것은 󰡔지식의 의지󰡕와 󰡔쾌락의 활용󰡕 및 󰡔자기에의 배려󰡕 사이의 8년 동안 푸코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했던 강의 내용이다. 사실 강의록이 출간되기 전까지 푸코 연구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 중 하나는 󰡔지식의 의지󰡕와 󰡔쾌락의 활용󰡕 및 󰡔자기에의 배려󰡕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면적인 주제의 전환이라는 문제였다. 주지하다시피 푸코는 󰡔지식의 의지󰡕에서 프로이트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을 이루는 억압 가설, 곧 19세기 이후 서양 사회에서는 성이 억압되어왔다는 가설을 비판하는 것을 핵심 주제로 삼았다. 반면 󰡔쾌락의 활용󰡕과 󰡔자기에의 배려󰡕에서는 시대 배경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 및 초기 기독교 시대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논의의 주제 역시 권력과 지식의 계보학에서 실존의 미학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감시와 처벌󰡕 및 󰡔지식의 의지󰡕에서 전개된 권력의 계보학에서는 규율권력에 의한 예속적 주체의 생산이라는 문제가 중심 주제였던 반면에, 말년의 저작에서는 오히려 윤리적 주체의 구성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푸코 비판가들은 푸코 말년에 주체로 회귀했다고 주장하면서 푸코 사상은 비일관적이며,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은 이론적으로 (또는 적어도 규범적으로) 실패한 기획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이런 비판은 다음 저작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낸시 프레이저, 「푸코의 권력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험적 통찰과 규범적 혼란」, 정일준 엮음,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이진우 옮김, 문예출판사, 1994; Peter Dews, Logics of Disintegration: Post-tructuralist Thought and the Claims of Critical Theory, Verso, 1987. 이러한 비판에 대한 반비판도 숱하게 제시된 바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논의로는 Tom Keenan, “The ‘Paradox’ of Knowledge and Power: Reading Foucault on a Bias”, Political Theory, vol. 15, no. 1, 1987; David Campbell, “Why Fight: Humanitarianism, Principles, and Post-structuralism”, Millennium -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27, no. 3, 1998; Ben Golder, “Foucault and the Unfinished Human of Rights”, Law, Culture and the Humanities, vol. 6, no. 3, 2010 등을 참조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출간된 이 시기의 강의록은 푸코 작업의 전환이 비일관적인 이론적 태도의 결과이거나 권력의 계보학의 규범적 실패의 결과였다기보다는 집요하고 일관된 탐구를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령 󰡔감시와 처벌󰡕 및 󰡔지식의 의지󰡕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강의를 보면 푸코가 󰡔담론의 질서󰡕에서 󰡔감시와 처벌󰡕에 이르기까지 추구했던 권력의 계보학의 난점들에 관해 매우 명철하게 자각하고 있음이 잘 드러난다.[이하의 논의에 대한 좀더 자세한 분석은 진태원, 「생명정치의 탄생: 푸코와 생명권력의 문제」, 󰡔문학과 사회󰡕 75호, 2006 참조.] 푸코가 권력의 계보학을 추구했던 것은 에밀 졸라나 사르트르 등으로 대표되는 보편적인 지식인의 이상, 곧 보편적인 대의나 이상을 내세우면서 권력에 의해 억압받는 사람들을 대신하여 그들의 권리와 이익을 위해 투쟁하는 지식인이라는 이상이 이제는 더 이상 실효성도 없고 정당성도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 대신 푸코는 예속된 앎의 반항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곧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그들을 대신하여 투쟁하는 대신, 권력의 그물망에 따라 규격화되고 갇혀 있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앎을 깨닫고 그들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이제 지식인의 역할이 되었다는 것이다. 푸코는 이러한 지식인을 “특수한 지식인”(intellectuel spécfique)이라고 부른 바 있다.[Michel Foucault, “Entretien avec Michel Foucault”, in Dits et écrits, vol. II, Gallimard, 2001, p. 154.]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두 가지 난점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은 규율 권력(le pouvoir disciplinaire)이 근대 서양 사회를 지배하는 유일한 또는 적어도 지배적인 권력 형태라는 것을 전제한다. 하지만 푸코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와 󰡔안전, 영토, 인구󰡕에서 보여준 것처럼, 근대 사회에는 규율 권력 이외에 또 다른 주요한 권력 형태, 특히 생명 권력이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 상이한 권력 형태들 사이의 관계는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 또는 상이한 권력 형태들을 함께 설명해줄 수 있는 개념적 틀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둘째, 이에 따라 권력에 대한 저항의 문제 역시 새롭게 제기된다. 규율 권력이라는 문제설정 아래에서 저항은 규격화 내지 정상화(normalisation)에 대한 저항의 문제로 제기된다. 하지만 푸코가 강의록에서 제기하는 문제는 예속적인 개인적 주체들의 생산을 목표로 삼는 규율 권력과 달리 종으로서의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삼는 권력, 곧 생명 권력의 문제였다. 따라서 개인 주체들이 아니라 인구 전체의 차원에서 작용하는 권력에 저항하는 주체를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푸코가 󰡔안전, 영토, 인구󰡕 도중에 통치(gouvernement) 내지 통치성(gouvernementalité)이라는 새로운 문제설정을 도입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난점들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사실 통치 내지 통치성이라는 개념은 권력의 형태에 대한 분석만이 아니라, 권력이 생산하는 예속적 주체화 양식과 다른 자유로운 주체화 양식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푸코 강의록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보면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들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더 나아가 푸코 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이해하기 위해 관건이 되는 문제는 푸코가 언제, 어떻게 해서 권력의 분석론으로서의 통치 이론에서 주체화 양식론으로서의 통치 이론으로 넘어가게 되었으며, 그러한 ‘이행’의 분석적ㆍ규범적 근거들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일 것이다. 푸코는 󰡔안전, 영토, 인구󰡕와 󰡔생명정치의 탄생󰡕에서는 통치 개념을 주로 권력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반면, 1982~1984년에 이루어진 󰡔자기와 타자의 통치󰡕 및 󰡔진실의 용기: 자기와 타자의 통치 II󰡕에서는 주로 주체화 양식의 관점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프랑스에서 간행되지 않은 󰡔생명체의 통치에 대하여󰡕[Michel Foucault, Du Gouvernement des vivants (1979~1980).]가 나온다면 이 문제에 관해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에는 푸코 생전에 출간된 저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후기 푸코가 매우 중시했던 주제들이 담겨 있다. 가령 1977~1979년 사이에 이루어진 󰡔안전, 영토, 인구󰡕와 󰡔생명정치의 탄생󰡕 강의에서는 자유주의의 계보학 및 신자유주의에 대한 분석이 핵심적인 주제를 이루고 있다.[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1; Michel Foucault, La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Gallimard/Seuil, 2004; 󰡔생명정치의 탄생󰡕, 오트르망 옮김, 난장, 근간.] 1980년대 초 영국의 마가렛 대처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이 집권하면서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이전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한 이 강의들 중 일부는 이미 1990년대 일군의 영미권 이론가들에 의해 복지국가의 위기 및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을 분석하기 위한 핵심 준거로 활용된 바 있다.[니콜라스 로즈(Nikolas Rose), 피터 밀러(Peter Miller), 토마스 오스본(Thomas Osborne), 콜린 고든(Colin Gordon) 등을 중심으로 한 이 연구자들은 영국의 사회과학 학술지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푸코적인 통치성의 관점에서 복지국가 및 신자유주의를 분석하는 여러 저작을 남겼다. 특히 Colin Gordon ed.,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Andrew Barry et al. eds., Foucault and Political Reason: Liberalism, Neo-Liberalism, and Rationalities of Govern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Mitchell Dean, Governmentality: Power and Rule in Modern Society, Sage Publications, 1999; Nikolas Rose, Powers of Freedom: Reframing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Nikolas Rose & Peter Miller, Governing the Present: Administering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Life, Polity, 2008 등 참조.] 그리고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정식으로 출간되면서 푸코의 분석은,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더불어 오늘날 신자유주의 분석을 위한 주요한 이론적 틀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푸코적인 신자유주의 분석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있는 빼어난 저작으로는 특히 Pierre Dardot & Christian Laval, La Nouvelle raison du monde: Essai sur la société néolibérale, La Découverte, 2009; 피에르 다르도ㆍ크리스티앙 라발, 󰡔새로운 세계 이성: 신자유주의 사회에 관한 시론󰡕, 오트르망 옮김, 그린비, (근간)을 꼽을 수 있다. 국내의 연구로는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돌베개, 2009가 눈여겨볼 만한 업적이다.]

 

1982~1984년에 이루어진 󰡔자기와 타자의 통치󰡕 강의에서는 파레지아(parrhesia)라는 개념—이는 그리스어로 “진실을 말하기”를 뜻한다—이 정치와 윤리, 지식을 연결하는 핵심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Michel Foucault, Le Gouvernement de soi et des autres: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82-1983), Gallimard/Seuil, 2008; Le Courage de la vérité: Le Gouvernement de soi et des autres II: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83-1984), Gallimard/Seuil, 2009. 이 강의록들은 앞으로 난장 출판사에서 번역ㆍ출간될 예정이다.] 이 개념은 생전에 푸코가 발표한 저술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강의록에만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 이채롭다. 필자가 보기에 이 개념에 관한 푸코의 분석은 고대 그리스 철학과 문학, 정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뿐더러, 현대 민주주의 정치를 다른 시각에서 사고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아직 이 개념에 관한 연구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파레지아라는 주제는 앞으로 푸코 연구의 중요한 한 가지 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푸코의 파레지아에 관해서는 특히 Fulvia Carnevale, “La parrhèsia, le courage de la révolte et de la vérité”, in Pascal Michon et al., Foucault dans tous ses éclats, L'Harmattan, 2005; 프레데리크 그로 외, 󰡔미셸 푸코 진실의 용기󰡕, 심세광 외 옮김, 길, 2006 참조.]

 

그 밖에도 고대 그리스와 로마 및 초기 기독교의 윤리학에 관한 푸코의 분석, 계몽과 근대 개념을 중심으로 한 칸트 철학에 대한 재독해 등은 모두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 연구 주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단순히 푸코가 생전에 출간한 저작을 이해하기 위한 보충적인 자료에 그치지 않으며, 독자적인 이론적 가치를 지닌 또 다른 푸코 사상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1999년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가 번역되면서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한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현재까지 총 4권이 번역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번역될 예정이다. 한 가지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은 지금까지 번역된 이 4권의 강의록 모두 뛰어난 어학 능력과 푸코에 대한 지식을 갖춘 역자들에 의해 번역되어 번역의 질이 아주 높다는 점이다. 특히 가장 최근에 번역된 󰡔안전, 영토, 인구󰡕는 원문에 대한 꼼꼼하고 정확한 번역과 더불어 적절하고 풍부한 역주를 포함하고 있어서 독자들이 푸코의 강의록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기존에 번역된 푸코 저작들 중 가장 번역 수준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뛰어난 번역 덕분에 앞으로 계속 소개될 콜레주 드 프랑스 한국어판은 푸코 사상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II. 푸코적인 연구와 실천을 위하여

 

미셸 푸코는 다양한 모습을 지닌 철학자다. 그는 초기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이론과 문제설정을 끊임없이 정정해가면서 새로운 주제를 모색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만큼 푸코 사상의 이러한 면모가 잘 드러나는 곳은 없다. 대개 3달 정도 진행된 그의 강의에서는 첫 번째 강의에서 제시된 주제가 마지막 강의까지 지속되는 경우를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강의 초기에 제시된 주제는 강의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논의를 낳고 이러한 논의는 다시 강의 전체의 방향을 새로운 주제로 이끌어가게 된다. 가령 󰡔안전, 영토, 인구󰡕에서는 강의 첫 줄에서 “올해는 제가 두루뭉수리하게 생명관리권력이라고 불렀던 것을 연구해보려 합니다”[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17쪽.]라고 말하지만,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강의 주제는 통치 내지 통치성의 문제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마키아벨리와 국가이성에 관한 논의에서 시작됐던 통치의 문제는 고대 그리스와 초기 기독교를 거쳐 정치경제학의 탄생에 관한 분석으로 변화무쌍하게 진행되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그 다음해 강의인 󰡔생명정치의 탄생󰡕에서는 20세기 독일과 미국의 경제학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이어진다. 푸코 강의록의 묘미 중 하나는 이처럼 끊임없이 분석을 정정하고 변경해 가면서 이론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푸코의 지적 능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따라서 푸코를 이런저런 한 가지 틀 속에서 규정하려는 시도는 푸코에 대한 불구적인 이해를 낳기 십상이다. 푸코가 이처럼 다면적인 면모를 보이는 것은 푸코가 평생 자신을 일정한 틀에 따라 규정하기를 거부했고, “다르게 사유하기”를 자신의 철학적 규범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분류와 정체화가 사상가의 피할 수 없는 운명이고 또한 후배 연구자들이 감당해야 할 과제라고 한다면, 푸코 사상의 다면성과 독창성을 드러내기 위해서라도 그의 사상을 일정하게 분류하는 일은 마땅히 시도되어야 한다.

 

필자가 보기에 국내에서 푸코는 대략 네 가지 측면에서 수용되어 왔다. 먼저 푸코는 프랑스 바깥, 특히 영미권에서 ‘포스트 담론’[필자는 여기서 ‘포스트 담론’이란 말을 1990년대 이후 국내 학계와 언론계, 공론장 등에서 널리 수용된 바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 포스트식민주의 등을 통칭하기 위해 사용하겠다.]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거니와 이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푸코가 포스트 담론의 상징이었다는 것은 몇 가지 함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이것은 마르크스주의와 다른 새로운 진보 담론(또는 좌파 담론)이 등장했음을 뜻한다. 비마르크스주의적 진보 담론은 마르크스주의와 달리 노동자 계급을 역사와 정치의 유일한 주체로 상정하지 않으며, 자본주의 경제의 변혁을 정치의 배타적인 목표로 설정하지도 않는다. 둘째, 이러한 담론은 경제적인 적대와 계급투쟁으로 환원되지 않는 여러 가지 사회적 갈등을 새로운 정치와 윤리의 쟁점으로 제기한다. 이러한 담론의 관점에서 볼 때 성적 갈등, 인종 갈등, 환경 문제 등은 경제적 적대로 환원되지 않는 고유한 쟁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진보 담론은 필연적으로 투쟁의 다양성과 국지성을 설정하며, 상이한 투쟁들 사이의 연대 및 소통이라는 문제를 새로운 진보 정치의 중요한 과제로 파악한다. 푸코가 포스트 담론의 상징으로 간주되어 왔다면, 그것은 아마도 푸코가 1970년대의 계보학적인 분석을 통해 규율 권력이라는, 정치의 새로운 물질적 토대를 발굴해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푸코에 대한 연구 및 활용에서 권력의 계보학이 가장 주목을 많이 받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국내에서도 푸코는 무엇보다 권력의 계보학자로 주목을 받았다. 여기에는 권력의 계보학을 대표하는 두 권의 저작인 󰡔감시와 처벌󰡕 및 󰡔지식의 의지󰡕가 푸코 저작 중에서도 가장 번역이 잘된 저작이라는 사정도 중요한 동기로 작용했다. 하지만 돌이켜본다면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존재했지만, 푸코적인 권력의 계보학을 수행하려는 시도는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다. 김진균과 정근식이 주도한 식민지 규율 권력에 대한 집단적 연구는 푸코의 계보학적 권력론을 일제 식민지 시대 분석에 활용하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였으나,[김진균ㆍ정근식 엮음, 󰡔근대 주체와 식민지 규율 권력󰡕, 문화과학사, 1997.] 후속 작업은 푸코적인 문제설정과는 다소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가령 공제욱ㆍ김진균 엮음,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문화과학사, 2006.]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전자의 작업은 비교적 푸코의 규율권력론에 충실하게 공권력이 작동하는 국가 제도 바깥의 영역(공장, 학교, 병원, 군대 등)에서 작동하는 규율권력이 어떻게 (식민지의) 예속적 주체들을 생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후자의 작업은 (필자들에 따라 다소간의 관점의 차이는 있으나) 지배 권력의 주체로서 (식민지) 국가를 상정하는 가운데 지배자와 피지배 사이의 강압과 동의의 복합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푸코 특유의 관계론적 권력론과 다를 뿐만 아니라[푸코의 관계론적 권력론에 관해서는 진태원,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푸코 이후의 철학과 정치󰡕, 제 2회 그린비 심포지엄 자료집(2012. 2) 참조.] 푸코가 계보학적 권력 분석을 시도할 때 염두에 둔 “예속된 앎의 반항”이라는 규범적 원칙과도 다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주체화(subjectivation) 이론가로서의 푸코라는 모습이 존재한다. 국내에서는 권력의 계보학보다 덜 주목받고 있지만, 푸코가 말년의 작업에서 특히 관심을 기울인 문제는 주체화의 문제다. 주체화의 문제는 푸코가 생전에 출간한 저작 가운데서는 특히 󰡔쾌락의 활용󰡕과 󰡔자기에의 배려󰡕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 바 있으며, 유고작으로 출간된 󰡔말과 글󰡕의 여러 대담 및 80년대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생전에 출간된 저작에서 주체화의 문제는 실존의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졌으며, 따라서 국내의 연구도 대개 윤리학적인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의 출간이 갖는 의의 중 하나는 권력의 계보학과 실존의 미학 사이에서 균열을 보인 후기 푸코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앞으로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계속 번역ㆍ소개된다면, 통치의 문제설정을 중심으로 하여 규율 권력의 이론가 푸코와 주체화의 윤리학자 푸코 사이의 균열을 메우려는 국내의 연구도 좀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네 번째로 푸코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대한 분석가로서 주목받고 있다. 앞에서 지적했던 것처럼 신자유주의 비판가 내지 분석가로서 푸코의 면모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은 󰡔안전, 영토, 인구󰡕 및 󰡔생명정치의 탄생󰡕이라는 강의록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일부 연구를 제외하면 그다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가령 임동근, 「국가와 통치성」, 󰡔문화과학󰡕 54호, 2008년 여름호;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앞의 책; 「신자유주의 분석가로서의 푸코」, 󰡔문화과학󰡕 57호, 2009년 봄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프랑스와 영미권 또는 독일에서 현재 푸코 연구의 중심축의 하나를 이루는 것이 바로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관한 연구다.

 

푸코의 통치성 분석의 의의는 금융 자본의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는 마르크스주의적인 정치경제학 비판과 달리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핵심을 새로운 예속적 주체화 양식 및 그것과 연결된 새로운 합리성 체제의 구현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은 신자유주의를 자본의 음모로 이해하거나 자본에 의해 개인들에게 외재적으로 강제되는 경제 정책과 이데올로기로 파악하는 관점을 넘어, 사회 전체의 차원에서 개개인의 사고 양식과 행동 규범으로 내면화되고 체화되는 주체화 양식 및 합리화 체제로 이해한다. 따라서 신자유주의는 훨씬 더 견고하고 뿌리 깊은 새로운 통치 유형이기 때문에 단순히 복지국가를 실현한다거나 금융 자본의 활동을 통제하는 것으로 극복될 수 없으며, 그것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새로운 주체화 양식의 발명이 필수적인 과제로 요청된다.[이 문제에 관해서는 특히 Pierre Dardot & Christian Laval, La Nouvelle raison du monde: Essai sur la société néolibérale, op. cit.; 피에르 다르도ㆍ크리스티앙 라발, 󰡔새로운 세계 이성: 신자유주의 사회에 관한 시론󰡕, 앞의 책의 분석 참조.] 이러한 분석은 자칫 신자유주의를 내적인 균열이나 모순에서 벗어난 일종의 전체주의적 지배의 체제로 이해하게 만들 위험도 품고 있으나, 잘 활용된다면 신자유주의를 좀더 복합적이고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네 가지 측면과 달리 국내에서 가장 주목을 덜 받은, 따라서 앞으로 좀더 많은 관심과 연구 및 응용이 필요한 푸코는 역사학자로서의 푸코일 것이다. 푸코는 󰡔광기의 역사󰡕나 󰡔말과 사물󰡕(이 책의 부제는 ‘인문과학의 고고학’이다), 󰡔지식의 고고학󰡕 및 󰡔감시와 처벌󰡕(이 책은 ‘감옥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성의 역사󰡕 같은 그의 주요 저작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프랑스철학자들 중에서도 역사의 문제에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인 철학자였다. 실제로 그는 고고학이나 계보학 같은 새로운 역사 분석 방법론을 고안해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감시와 처벌󰡕 같은 책에서는 광범위한 1차 사료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역사학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하기도 했다.[프랑스의 정치학자인 마르셀 고셰(Marcel Gauchet)는 푸코의 󰡔감시와 처벌󰡕이 나온 직후 프랑스의 젊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동사무소에 해당하는 말단 관청의 고문서를 뒤지는 것이 크게 유행한 바 있다고 회고한 적이 있다. Marcel Gauchet, La condition historique: Entretiens avec François Azouvi et Sylvain Piron, Gallimard, 2005 참조. 물론 이러한 회고는 지적 유행에 쉽게 휩쓸리는 젊은 연구자들의 경박한 풍조에 관해 비판적으로 언급하는 대목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푸코의 역사 분석이 당시 얼마나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푸코 역사학의 독창성에 대한 좀더 전문적인 평가로는 폴 벤느,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김현경ㆍ이상길 옮김, 새물결, 2004 참조.]

 

하지만 국내에는 푸코의 역사학에 관한 서양사학자들의 몇몇 연구나 국사학자 이영남의 단행본 저술이 나와 있으나, 푸코 역사학의 혁신적인 면모를 밝히기에는 충분치 못하다.[가령 다음과 같은 연구들을 참조할 수 있다. 이윤미, 「미셸 푸코의 역사 연구 방법과 교육사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 28집, 1998; 천형균, 「푸코의 역사 인식」, 󰡔전북사학󰡕 제 21~22집, 1999; 고원, 「푸코와 브로델: 교차점과 쟁점」, 󰡔역사와 문화󰡕 9집, 2004; 고원, 「서양역사 속의 몸과 생명정치: 미셀 푸코와 몸의 역사」, 󰡔서양사론󰡕 104집, 2010. 이영남,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 푸른역사, 2007.] 사실 푸코 역사학의 면모를 정확히 해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일뿐더러, 그의 역사학 방법론을 특정한 분야에 응용하여 새로운 인식을 산출한다는 것은 더욱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서양사학계에서 푸코의 역사학이 미친 영향과 그것이 산출한 혁신적인 효과를 감안하면,[이 분야에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연구를 참조할 수 있다. Hayden White, “Foucault Decoded”, History and Theory, vol. 12, no. 1, 1973; Alan Megill, “The Reception of Foucault by Historians”,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vol. 48, no. 1, 1987; F. R. Ankersmit, “Historiography and Postmodernism”, History and Theory, vol. 28, no. 2, 1989; Gérard Noiriel, “Foucault and History: The Lessons of a Disillusion”,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vol. 66, no. 3, 1994; Jan Goldstein ed., Foucault and The Writing of History, Wiley-Blackwell, 1994; Mitchell Dean, Critical and Effective Histories, Routledge, 1994; John Neubauer ed., Cultural History after Foucault, Walter de Gruyter, 1998; Peter Ghosh, “Citizen Or Subject? Michel Foucault in the History of Ideas”, History of European Ideas, vol. 24, no. 2, 1998; 폴 벤느,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앞의 책.] 국내 학계에서도 푸코의 역사학이 지닌 강점과 생산성에 좀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여 년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푸코 저작의 번역 및 연구 현황을 돌이켜볼 때 가장 아쉬운 점은 그동안 푸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푸코적인 연구와 실천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프랑스를 비롯한 외국의 푸코 연구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가장 뛰어난 푸코 연구자들이라고 할 만한 사람들은 대개 푸코 저작에 관한 주석이나 해석을 시도하기보다는 푸코의 사상과 분석을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응용하고 변용하면서 푸코적인 문제설정을 수행적으로 실천한다는 점이다. 가령 프랑스의 자크 동즐로(Jacques Donzelot)나 로베르 카스텔(Robert Castel), 피에르 다르도, 크리스티앙 라발 같은 연구자들이나 영미권의 이른바 통치성 학파의 이론가들 또는 폴 레비나우(Paul Rabinow) 같은 인류학자의 작업, 그리고 독일의 토마스 렘케(Thomas Lemke) 등이 수행하고 있는 통치성 연구 및 생명권력에 대한 연구들이 그 빼어난 사례들이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푸코에 대한 연구는 푸코적인 연구, 푸코다운 연구와 분리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푸코가 생전에 출간한 저작들이 모두 번역되고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들이 속속 번역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의 푸코 연구자들도 이제 어떻게 푸코적인 연구와 실천을 수행할 것인지 질문해볼 때가 되지 않았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질문 2012-05-18 1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질문 아닙니다. 아직 교정 중이라는 글을 읽고 글을 올립니다.

1) 첫째, "국사학자 이영남"에서 國史라는 말 대신에 歷史학자라고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왜 국사학자라고 쓰시는 걸 선호하시는지도 모르겠고 서강대에 국사학과는 없습니다. 이영남 씨 본인도 스스로를 "역사가"라고 쓰더군요. 폴 벤느도 국사학자인가요? 역사와 국가가 합체라도 해야 하나요? 아무리 헤겔이나 랑케같은 사람들이 근대 역사학을 "국가"를 위한 팡파레로 만들었다고 지금의 우리까지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수정을 요구합니다.

2) 둘째, 진보/보수라는 구분법 자체가 푸코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구분법 자체에 도전했던 것이 푸코 아닌가요? 진보/보수가 알고 보면 동일한 인식론적 사유 안에서 춤추고 있다고 얘기하면서 그런 구분법을 넘어서려고 한 것이 푸코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수정을 요구하지는 않겠습니다.

3) 셋째, 푸코의 맹점 중 하나가 이데올로기를 간과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데올로기로 환원되지 않은 점들을 분석하는데는 강점을 보이지만 푸코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사람들이 이데올로기 바깥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정 요구 안 합니다.

4) 아울러 "전체주의"라는 말은 모호하기 짝이 없는 용어입니다. 이른바 "자유주의적"인 서유럽이 독일의 나치즘과 소련의 볼세비즘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이 용어의 사용법은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였습니다. 나치즘과 볼세비즘은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런 식으로 사용하면 이 세상은 전체주의 아닌 것이 없습니다. 파시즘이라고 쓰거나 다른 맥락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다른 용어를 쓰는 걸 권하겠습니다.

5) 마지막으로, 푸코는 역사학자가 아닙니다. 오히려 기존의 역사학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혁신한 철학자였죠.

푸코의 혁신이 역사학에 유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푸코를 역사학자라고 보는 것은 솔직히 말해 오해입니다.

역사학자라고 보겠다는 걸 뭐라 할 수는 없지만(왜 푸코를 역사학자로 만들지 못해 안달인 분들이 계신지 저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광기의 역사> 같은 저작물은 기존의 역사학자들을 비판하는 저작물이기도 합니다.

역사를 국가의 역사라고 이해하거나 실증적인 자료만 모아 놓으면 되는 것으로 이해하거나 아니면 역사를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이어지는 진보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또는 단절없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계승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헤겔이나 랑케 및 에드워드 카 (어쩌면 아날학파까지) 같은 역사학자들을 비판하는 저작입니다.

<광기의 역사>가 무엇보다 역사학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문제의식이 다르면 다른 방식의 역사서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입니다. (다르게 생각하기를 통해 기존의 역사학의 문제점을 보여주면서)

역사학에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며 역사책이라고도 볼 수 있는 책들이지만 그렇다고 푸코를 역사학자라고 보는 것은 오해 또는 "오버"입니다.






balmas 2012-05-18 23:28   좋아요 0 | URL
댓글 잘 읽었습니다. 다른 점들은 질문하신 분의 하나의 의견이라고 생각하고 싶고, 1)번에 관해서는 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국사학자라는 표현을 쓴 것은 국내에서 그런 표현들을 역사학자들이 스스로 쓰기 때문이고, 한국사를 전공한 학자가 푸코에 관한 책을 낸 것이 이채롭다, 눈여겨볼 만하다는 점을 좀 부각시키기 위해서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국사학, 서양사학, 동양사학 등이 전공별로 상당히 분화되어 있지 않나요? 제도상으로도 국사학과와 사학과로 나뉜 곳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사학과라는 명칭을 쓰더라도 국사학 전공인지 서양사 전공인지 동양사 전공인지 서로 구별하지 않나요? 그런 관행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고 보지만, 전공들이 구별돼 있고 학자들 스스로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을 그렇게 표현하는데 저같은 국외자가 그런 관행에 대해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은 좀 주제넘어보이는 것 같아서 지금까지는 굳이 '국사학자'라는 표현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았습니다. 아무튼 문제제기가 들어왔으니 좀더 생각해보기로 하겠습니다.
 
말과 사물 현대사상의 모험 27
미셸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 민음사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월 5일 경향신문 [명저 새로 읽기] 코너에 실릴 서평 한 편 올립니다.

 

------------------------------------------------------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1966)은 푸코의 저작 가운데 가장 유명한 책이지만 이 책을 좋은 번역으로 접해볼 기회를 갖지 못한 대개의 국내 독자들에게는 꽤 당혹스러울 만한 책이다.

 

우선 이 책은 [광기의 역사](1961)의 독자들이 보기에 낯선 책이다. 푸코는 [광기의 역사]에서 데카르트의 [성찰](1641)과 광인들의 대대적인 감금(1640)이 정확히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면서, 근대의 합리성이 어떻게 광기의 배제에 기초를 두고 있는지 분석한다. 따라서 이성과 광기는 서로 대립 관계에 있으며, 해방되어야 할 것은 광기다. 반면 [말과 사물]은 더 이상 광기를 이성과 대립하는 위치에 놓고 있지 않으며, 광기의 역사가 아니라 ‘인문과학의 고고학’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일종의 합리성의 역사, 이성의 역사를 쓰려고 시도한다.

 

그런가 하면 이 책은 푸코의 또 다른 유명한 책, [감시와 처벌](1975)의 독자들에게도 상당히 낯선 책이다. 푸코 하면 권력의 이론가, 지식과 권력의 계보학자를 떠올리게 되는데, 이 책에는 규율이나 감옥, 감시에 관한 논의는 전혀 등장하지 않고, 대신 우리에게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서양 르네상스(16세기)와 고전주의 시기(17-18세기)의 수많은 학자들, 문필가들의 저술에 관한 그야말로 박학다식한 논의가 종횡무진 펼쳐지기 때문이다. 푸코는 저 많은 책들을 언제 다 읽었을까? [말과 사물] 앞에서는 박식한 인문학자들마저도 평범한 교양 독자들이 떠올릴 법한 소박한 질문을 저절로 던져보게 된다.

 

하지만 [광기의 역사]와도 다르고 [감시와 처벌]과도 다른 이 책은 사실 푸코의 일관된 지적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푸코는 초기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늘 근대성의 한계를 모색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가 근대성이라고 부른 것은 대략 프랑스혁명 이후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서구 문명을 가리킨다. 이 시기의 성격과 한계를 밝히기 위해 푸코는 르네상스에서 고전주의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진보의 노선에 따라 역사를 분석하는 기존의 역사학 방법론을 거부하고, 대신 근대와 이전 시기들 사이의 불연속성을 새롭게 고찰한다.

 

특히 [말과 사물]은 고고학이라는 새로운 역사학 방법론에 따라 근대 인문과학이 이전 시기와 다른 새로운 ‘에피스테메’의 성립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음을 밝힌다. 어떤 역사적 시기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적 담론들의 차이와 대립, 거리의 관계가 전개되는 장(場)을 뜻하는 에피스테메라는 개념은 근대의 합리성이 고대 그리스는 고사하고 르네상스나 고전주의 시기와도 무관한 새로운 바탕에 기반하여 성립했음을 보여준다. 인문과학의 주체이자 대상인 “인간은 최근의 발견물이자 출현한 지 두 세기도 채 안 되는 형상”(20쪽)이라는 푸코의 충격적인 주장은 이러한 탐구의 결론인 셈이다.

 

1970년대에 들어 푸코는 분석의 영역을 담론에서 비(非)담론으로 바꾸고, 고고학 대신 계보학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채택한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말과 사물]의 결론의 폐기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인간이 근대 담론만이 아니라 근대 권력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히려는 새로운 시도의 표현이다. 따라서 이 책은 그 자체로도 가치가 있지만, 푸코 사상의 연속과 불연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너뛸 수 없는 책이다.

 

이 책이 국내에 처음 번역ㆍ출간된 것은 1987년이었으며, 이번에 나온 책은 근 30여 년 만에 새로 번역해서 낸 책이다. 그 사이의 온축 덕분인지 아니면 역자의 능력 덕분인지, 새 번역은 이전 번역보다 훨씬 정확하고 잘 읽히는 좋은 번역이다. “선험적 감성학” 내지 “초월론적 감성학”이라고 번역하는 게 적절할 원어가 “선험적 미학”(437쪽)으로 번역되는 등 사소한 시빗거리가 없지는 않지만, [광기의 역사]와 [말과 사물] 같은 난해한 대작을 공들여 번역한 역자의 노고에 비하면 그야말로 사소한 투정에 불과하다. 푸코의 가장 유명하지만 가장 덜 알려진 이 책을 버스나 지하철에서도 읽을 수 있게 됐으니 우선 역자에게 깊이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12-05-04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최근에 구입한 책입니다. 귀한 책이라... 열심히 읽어보려구요^^

balmas 2012-05-05 02:39   좋아요 0 | URL
비연님 오랜만이시네요.^^ 잘 지내시죠? 최근에 책을 구입하셨군요. 재미있게 읽으시기 바랍니다. :)

독자 2012-05-04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광기의 역사>에 대해 안과 밖으로 이분된 것이 아니라 모두 안에 있다고 '푸코의 이분법'을 비판한 데리다가 생각나는 군요. 프랑스혁명을 이성의 절정 또는 광기의 절정으로 이해한 푸코의 독특한 시선도 저에게는 잊혀지지 않는 군요.

다른 출판사에서 푸코의 책들이 출간되고 있으니 가능성은 없다고 보지만 혹시 그린비에서도 푸코의 책들이 출간되는 건가요? <푸코> 평전이 있는 걸 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달랑 평전만 있으니까 좀 어색하다는 생각도 들고요.

balmas 2012-05-23 03:12   좋아요 0 | URL
ㅎㅎ 예. 짐작하신 대로 그린비에서는 제가 알기로는 푸코 원전을 번역할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그럴 기회가 없다고 해야겠죠. 아시다시피 저작권이 있어야 책을 번역할 수 있는데, 푸코 주요 저작은 이미 거의 출간된 상태고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역시 저작권이 다 판매된 상태여서 번역을 하고 싶어도 법적으로 그럴 만한 기회가 없답니다.

Joule 2012-05-05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마스님 안녕하세요. 안 그래도 푸코의 책을 장바구니에 넣었다 뺐다 하고 있었는데 벌써 읽으셨네요. 예전에, 음... 한 5-6년쯤 전에 <말과 사물>을 읽긴 읽었는데 그땐 이해도 잘 안 되고 얼른 와 닿지도 않았었어요. 다시 한 번 읽어보면 이번에는 좀 다를까요.

그리고 뭐 하나만 여쭤보고 싶어요. 이번에 스피노자의 <에티카>를 읽어보려고 하는데 제가 염두에 두고 있는 책은 동서문화사에서 나온 추영현 번역, 피앤비에서 나온 황태연 번역, 책세상에서 나온 조현진 번역입니다. 세 권 중에 어떤 책을 선택하면 난해한 번역문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다 진만 빼고 포기하는 우를 범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꼭 읽어보시지 않았어도 발마스 님 느낌에 난 이 책이 좀 나을 것 같다 정도로 찍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balmas 2012-05-06 03:46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줄님.^^
[말과 사물]은 사실 재미있게 읽기는 쉽지 않은 책입니다. 워낙 많은 담론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고, 게다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전개된, 우리와 그다지 관련이 없는 담론들에 대한 분석이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만만치 않답니다. 그래도 이번 번역본은 번역도 잘 돼 있고 군데군데 상당히 매력적인 논의들이 많아서 읽어볼 만한 것 같습니다.^^

[에티카]를 읽으시겠다니 반가운 말씀이네요.^^ 말씀하신 번역본 중에는 유감스럽게도 제가 읽어본 게 없네요. 그래서 제가 읽어본 것 중에서 권하자면 서광사에서 나온 강영계 교수의 [에티카]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사실 강영계 교수의 번역본은, 개념 번역의 정확성이라든가 스피노자 논의 맥락의 세심한 전달 등에서는 꽤 문제가 많긴 해도, 전반적으로 큰 오역이 많지 않고 가독성도 좋은 편입니다. 그래서 국역본 중에서 권한다면 강 교수의 번역본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물론 새로 나온 번역본들 중에서 더 좋은 게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그것은 나중에 한번 읽어보고 다시 말씀드릴게요. :)

Joule 2012-05-07 00:55   좋아요 0 | URL
둘 다 반가운 소식이네요. 푸코도, 스피노자도. 강영계 번역의 <에티카>는 집에 있어요. 소중한 주말에 짬을 내어 다정한 답변 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D
 
 전출처 : balmas님의 "[코멘트]푸코 심포지엄 참관기-교수신문"

ㅎㅎ 예 맞습니다. 그게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였다고 할 수 있겠죠. 아마 알튀세르를 포함한 대부분의 고전 맑스주의자들의 이데올로기였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알튀세르의 경우에는 더 역설적일 수 있을 텐데요, 다른 누구보다도 비경제적인 것(곧 이데올로기)의 물질성을 강조하고 그것이 역사와 정치에서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사람이 알튀세르였으니 그렇겠죠. 다만 알튀세르(를 포함한 고전 맑스주의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왜 경제만 리얼리티냐, 젠더, 지역, 종교, 신분, 연령, 에스니시티 등등(하도 끝도 없다)도 모두 리얼리티 아니냐'라고 반문할 경우, 다시 말해 리얼리티의 복수성, 다수성을 무한정하게 확장할 경우, 인식론적 비규정성에, 따라서 정치적 무력화에 빠져들 수 있다는 점이 걱정스러웠겠죠. 사실 도그마님이 질문한 것처럼, 젠더, 지역, 종교, 신분, 연령, 에스니시티 등이 다 리얼리티라면, 따라서 경제와 똑같은 인식론적, 정치적 비중을 지니게 된다면, 거기에 더 이상 정치가 존재하기는 어려울 겁니다. 더욱이 어떤 포스트맑스주의자도 아마 지역, 종교, 신분, 연령, 에스니시티 같은 것을 '경제'와 대등한 리얼리티라고 하지는 않겠죠.

 

'선거를 통해 이 세계의 리얼리티를 바꿀 수 없다'는 말은 저로서는 잘 이해하기 어려운 말입니다. 선거말고 다른 것을 통해서만 리얼리티가 바뀐다는 뜻인지, 아니면 리얼리티는 바뀔 수 없는 것이다라는 뜻인지도 불분명하구요. 우선 도그마님의 생각을 스스로 좀더 정확히 정리해보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질문 2012-05-18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회의주의?

balmas 2012-05-10 16:55   좋아요 0 | URL
도그마님 저는 이 문제로 도그마님과 더 이야기를 계속 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참고문헌을 딱히 소개해드리기도 어려운 게, 저는 도그마님 생각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치나 권력 문제에 관해 공부하고 싶으시면 그쪽 문헌을 보시면 될 테고, 리얼리티와 회의주의 문제를 공부하고 싶으시면 가령 데이비드 흄의 저작들을 공부해보는 것도 좋겠죠.